공연비평
Vol.119-1 (2025.7.5.)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박병민
경희 댄스 시어터의 〈낭만의 땅〉(안무 박재현, 출연 김근영, 김라경, 방영미, 서정애, 이제형, 정기정, 박재현, 하이경, 홍채영)이 부산 시민공원 사랑채(백산홀)에서 공연한 지난 6월 22일은 장마 중에 때마침 햇살이 부드럽게 비추었다. 사방에 좁고 길게 인공 잔디 카펫이 깔린 바닥 주위로 관객이 앉을 나무 의자가 세 방향에 놓여있다. 관객이 마치 공원에 한가하게 앉아 있다가 우연히 잔디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보게 되는 설정처럼 보였다. 조명기가 객석 뒤편 네 귀퉁이에 어색하게 서 있는 공간에는 특별한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상상하기 힘든, 무료한 공기가 흐르고 있었다.
팸플릿에서 작품에 관한 글을 읽었지만, 글쓴이의 의식에 들어가 보지 않고는 맥락을 잡기가 쉽지 않다. 아무래도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팸플릿 내용보다 먼저 박재현의 전작들을 살펴봐야 할 것 같다. 박재현은 이 작품이 〈우물가 살인사건〉 〈수선되는 밤〉에 이어 자신의 5부작 중 세 번째 작품이라고 말한다. 〈우물가 살인사건〉에서 터전을 빼앗긴 사람들에 관해 이야기했는데, 그 사람들이 파라다이스를 찾아가는 여정을 보여준 작품이 〈수선되는 밤〉이다. 〈낭만의 땅〉은 도시에서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사람이 ‘낭만의 땅’에 들어와 겪는 이야기이다. 낭만의 땅은 전작에서 ‘파라다이스’와 같은 상징이다. 표정 없고 건조한 시민공원 백산홀 자체가 도시이고, 무대로 설정한 부분이 낭만의 땅이다.
객석이 없는 한 면에 의자와 테이블이 붙은 소품이 놓여있다. 공연이 시작되면 출연자들이 관객 뒤를 지나 그곳에 앉는다. 따로 등퇴장 통로를 확보할 수 없는 공간이어서 생각해 낸 장치로 보였는데, 이 장치가 의외의 효과를 연출했다. 〈낭만의 땅〉은 마당극처럼 사방이 열린 무대인데, 그 중 한 면을 출연자 공간으로 설정해 관객과 출연자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었다. 무대로 설정한 공간에서 춤을 추다가 뒤쪽 의자에 앉아 무대를 바라보는 장면이 종종 보인다. 출연자가 때에 따라 관객과 같은 위치에서 무대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지켜본다는 의미이며, 낭만의 땅과 그곳을 벗어난 상태를 대비해 보이는 것으로도 읽힌다. 이런 설정은 낭만의 땅이라는 비현실적 공간에서 있을 법한 위치의 유동성이다. 낭만을 떠올린다는 것은 현실에서 겪는 무기력과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정서적 자기 위로이자 일종의 도피이다. 그곳에서는 현실의 위계가 쉽게 무너지고, 그 상황은 출연자가 객석과 같은 위치에서 쉬는 장면 때문에 관객과 공유하게 한다. 출연자가 관객과 비슷한 위치에서 앉아 관조(觀照)하는 듯하다. 관조란 주관을 떠나 고요히 사물을 바라보는 태도인데, 무대를 관조하는 출연자의 모습은 관객 역시 감정에서 한발 물러나 사유하게 만든다. 이렇게 되면 관객은 과도한 몰입을 멈추고 절제된 감정으로 극을 보게 된다. 한국 전통 탈춤 마당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다. 관객은 무대에서 벌어지는 연희를 보면서 동시에 건너편에 앉은 다른 관객의 반응도 본다. 만약 나무 위에 걸터앉아 마당 판 전체를 보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모든 상황을 볼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판이 ‘열린 판’이다. 열린 판은 단순히 객석이 사방에 놓인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출연자와 관객이 서로를 관찰하고 감정을 주고받는 판이다. 〈낭만의 땅〉도 일종의 열린 판인데, 객석과 무대의 직접적 감정 교류는 일어나지 않지만, 출연자와 관객의 정서적 위치가 동등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여러 차례 연출된다.
관조적 태도는 무대 공간에서 느껴지는 진공(vacuum) 때문에 더욱 강화된다. 움직임은 조밀하고 때로는 격렬하기까지 한데, 고요하다.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리를 카펫이 흡수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의도한 줄 모르겠지만 다양한 장르 음악이 공간을 때리듯 울려도 무너지지 않는 묘한 정적이 '낭만의 땅'에 닿고 싶거나 그곳의 일을 보여주는 이미지들 사이에 진공 상태를 만들어 내었다. 현실과 낭만 사이의 넘나들지 못하는 벽처럼 느껴지는 진공은 존재가 정주하지 못하고 떠다니는 상태, 과거 현재 미래가 선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는 상태를 연출한다.
낭만의 땅에서 벌어지는 일을 상징하는 동작은 물구나무 자세이다. 물구나무 자세로 닿을 곳 없는 공중에서 불안하게 다리를 허우적거리고, 스스로 머리로 땅을 눌러 땅의 압박을 자초한다. 위아래가 역전된 상황이다, 내려다보는 시선이 올려다보는 시선으로 바뀐다. 그것도 고통스러운 압박을 견디면서 말이다. 잠시 하다가 마는 동작이 아니라 처음부터 집요하게 반복한다. 한 번 할 때마다 몇 분 동안 지속해, 물구나무 동작이 힘겨워 몸을 떠는 무용수도 보인다. 왜 이럴까. 단순하게 특이한 동작 이미지를 만들고 싶었다면 한두 번 보여주는 것으로 충분할 것인데, 반복은 분명 의도적이다. 현실에서는 고정된 위아래 규칙을 벗어날 수 없다. 낭만의 땅에서 현실 상황이 뒤바뀐다면, 그곳에서 인간은 물구나무서기를 견딜 만큼 힘들게 현실의 규칙에서 벗어나야 한다. 낭만의 땅에서도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낭만의 땅과 현실 세계는 카펫을 이리저리 옮기는 바닥 구획 짓기를 통해서 구별된다. 사방에 깔려있던 카펫은 작품이 진행되면서 이리저리 옮겨진다. 현실과 무의식을 분할하고, 관계 양상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표현한다. 고정된 것은 없다. 맥락도 유동적이다.
〈낭만의 땅〉은 박재현이 〈우물가 살인사건〉과 〈수선되는 밤〉을 통해 구축해 온 세계의 연장선에 있다. 과거를 끌어오고 밤을 농밀하게 직조하며 이야기한 것처럼, 이 작품 역시 상징적으로 응축된 ‘어떤 상태’를 제시한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낭만의 땅〉은 서사를 억지로 읽으려 하지 않을 때, 오히려 더 풍부한 상상력을 열어준다. 이 작품이 더 선명하게 읽히는 순간은, 남은 두 작품이 완성되어 하나의 세계관이 비로소 모습을 드러낼 때일지도 모른다. 그때까지 한 무용가의 미학적 세계관이 완성되는 과정을 지켜보는 일은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by Park Byeong-min
A post-realistic world woven with observation and vacuum: Kyunghee Dance Theater's 〈Land of Romance〉
On June 22, when Kyunghee Dance Theater's 〈Land of Romance〉 (choreographed by Park Jae-hyun, starring Kim Geun-young, Kim Ra-kyung, Bang Young-mi, Seo Jeong-ae, Lee Je-hyung, Jeong Gi-jeong, Park Jae-hyun, Hai Kyung, Hong Chae-young) was performed at Busan Citizen's Park Sarangchae (Baeksan Hall) during the rainy season, the sun was shining softly. Wooden chairs for the audience were placed in three directions around the narrow, long artificial grass carpeted floor. It seemed as if the audience was sitting leisurely in the park and happened to see an incident that happened on the grass. In the space where the lighting equipment stood awkwardly in the four corners behind the audience, there was a free air flowing that made it hard to imagine anything special happening.
I read about the work in the pamphlet, but it is not easy to grasp the context without entering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k, it seems necessary to look at Park Jae-hyun’s previous works before reading the pamphlet. Park Jae-hyun says that this work is the third of his five-part series, following 〈The Murder at the Well〉 and 〈The Night of Repairs〉. In 〈The Murder at the Well〉, he talked about people who had their homes taken away, and 〈The Night of Repairs〉 is a work that shows the journey of those people in search of paradise. 〈Land of Romanticism〉 is a story about a person who is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in the city and enters the 〈Land of Romanticism〉. The Land of Romanticism is a symbol similar to “paradise” in the previous work. The expressionless and dry Baeksan Hall in Citizen’s Park is the city itself, and the part set as the stage is the Land of Romanticism.
On one side where there are no seats, there are props with chairs and tables attached. When the performance begins, the performers pass behind the audience and sit there. It seemed like a device that was devised because there was no separate entrance and exit passage, but this device produced an unexpected effect. 〈Land of Romanticism〉 is a stage that is open on all sides like a madang play, and one side of it is set as the performer’s space,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er. There are often scenes where the performer dances in the space set as the stage and then sits on the back chair and looks at the stage. This means that the performer sometimes watches the situation on stage from the same position as the audience, and it can also be read as a contrast between the Land of Romanticism and the state of being away from it. This setting is the fluidity of positions that can occur in the unrealistic space of Land of Romanticism. Thinking of romance is an emotional self-consolation and a kind of escape from the helplessness and pain experienced in reality. There, the hierarchy of reality easily collapses, and the situation is shared with the audience because the performer rest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udience. The performer seems to be sitting in a similar position to the audience and observing. Observation is an attitude of quietly looking at things without subjectivity, and the performer observing the stage makes the audience take a step back from their emotions and think. When this happens, the audience stops being excessively immersed and watches the play with restrained emotions. A similar phenomenon occurs in traditional Korean mask dance performances. The audience watches the performance taking place on stage and at the same time sees the reactions of other audience members sitting across from them. If there is someone sitting on a tree and looking at the entire stage, he or she can see the entire situation. The stage where all of this happens at the same time is an ‘open stage.’ An open stage does not simply mean a state where the audience is placed on all sides, but rather a stage where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observe each other and exchange emotions. 〈Land of Romance〉 is also a kind of open stage, and although there is no direct emotional exchang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there are several moments where the emotional positions of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feel equal.
The contemplative attitude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vacuum felt in the stage space. The movement is dense and sometimes even violent, but it is quiet. It seems to be because the carpet absorbs the sound generated when moving. Although it is not intentional, the strange silence that does not collapse even when various genres of music beat the space creates a vacuum between the images that want to reach the 'Land of Romance' or show the events there. The vacuum that feels like an impassable wall between reality and romance creates a state in which existence cannot settle down and floats, a state in whic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not linearly fixed.
The movement that symbolizes what happens in the Land of Romance is the handstand. In the handstand, the dancer flails his legs anxiously in the air with nowhere to reach, and presses his head against the ground, inviting the pressure of the ground. It is a situation in which up and down are reversed, and the gaze looking down changes to the gaze looking up. And this is all while enduring the painful pressure. It is not a movement that is done for a moment and then stopped, but is repeated persistently from the beginning. It lasts for several minutes each time, and some dancers even tremble because the handstand is difficult. Why is this so? If you simply wanted to create a unique movement image, showing it once or twice would have been enough, but the repetition is clearly intentional. In reality, you cannot escape the fixed rules of up and down. If the real situation changes in the Land of Romanticism, there, humans must break away from the rules of reality as hard as they can stand on their hands. Even in the Land of Romanticism, efforts to adapt are necessary.
The Land of Romanticism and the real world are distinguished through the floor partitioning of moving the carpet here and there. The carpets that were laid out everywhere are moved here and there as the work progresses. It divides reality and the unconscious, and spatially expresses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Nothing is fixed. The context is also fluid.
〈Land of Romanticism〉 is an extension of the world that Park Jae-hyun has built through 〈Murder at the Well〉 and 〈Mending Night〉. Just as he brought up the past and told the story by densely weaving the night, this work also presents a ‘certain state’ that is symbolically condensed. In this context, when we do not try to force the narrative, 〈Land of Romanticism〉 opens up a richer imagination. The moment when this work can be read more clearly may be when the remaining two works are completed and a worldview finally emerges. Until then, it is worthwhile to watch the process of a dancer’s aesthetic worldview being completed.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