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현상 너머를 성찰하는 주체인 몸: Dance Project EGERO 〈염증〉

공연비평

Vol.119-1 (2025.7.5.)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박병민




Dance Project EGERO(이후 ‘에게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부산민주공원 상주단체로 활동했다. 당시 에게로는 대중성과 예술성의 기우뚱한 균형점을 모색하는 작품들을 발표하면서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해 갔다. 이후 3년 동안 상주단체에서 벗어나 활동을 했는데, 이 기간에도 ‘장르무용’ 실험을 이어갔다. 지난 6월 14-15일 공연한 〈염증〉(안무 이용진, 출연 강건, 배진아, 안희주, 이보미, 이용진, 장의정, 조동혁)은 에게로가 ‘씨어터링크 지원 사업’(2025-2027)에 선정되어 부산민주공원에 다시 돌아와 선보인 첫 작품이다. 그동안 장르 실험을 통해 시야를 확장한 에게로는, 출발점이었던 ‘몸’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지점으로 다시 돌아왔다. 에게로의 인간 본질 탐구는 관념적이지 않고 감각적이고 현실적이다. 몸을 매개로 하기 때문인데, 인간 내·외부의 감각이 단지 감각에 그치지 않고, 삶의 본질을 일깨울 수 있다는 성찰적 가능성을 보여주려 했다.


이 작품은 ‘염증은 단순히 질병의 신호가 아니라 몸의 방어적 반응’이라는 설명을 통해, 감각과 본질의 관계를 조명한다. 나아가, 염증을 고통이 아닌 성장의 의례로 승화시킬 수 있다는 태도를 제안한다. 


안무자 이용진은 여태껏 몸에 관한 고민을 벗어난 적이 거의 없다. 안무가라면 누구나 몸에 관해 나름의 고민이 있는데, 이용진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통해 존재의 본질을 현상학과 불교철학을 바탕으로 탐색한다. 현상학에서는 몸을 경험하는 주체, 다시 말해 ‘살(body)’로 다룬다. 신체는 정신과 물질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장(field)이다. 이 장에서 과거에 형성된 몸과 마음이 현재와 미래를 규정하는 역동적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을 춤으로 구현한 작품이 〈염증〉이다.




〈염증〉은 ‘역사가 깃든 몸’ ‘나아가는 몸’ ‘관계 맺는 몸’ ‘불만족스러운 몸’ ‘개정하는 몸’ ‘역사를 쓰는 몸’ 등 6개 장으로 짜였다. 앞 세 개장은 수동적 몸이다. ‘나’라는 개념조차 알지 못했던 시절부터 수많은 흔적이 몸에 축적되고, ‘나’를 어렴풋이 인지했지만, 몸은 일, 감정, 통증, 기억으로 잠식당한다. 이 과정에 ‘우리’라는 테두리 안에서 ‘나’를 잊고 체제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치게 된다. 나머지 세 장은 능동적 몸이다. 자기 몸(존재)에 스스로 상처 내고, 존재에 대한 고민 속에서 현상을 받아들이며, 결국 염증을 마주할 수밖에 없음을 깨닫고 염증을 고통만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성찰적 태도를 가지게 된다. 각 장의 구분은 뚜렷하지 않지만, 흐름의 변화를 파악하기에 불편하지는 않다. 


춤은 군무 중심이다. ‘(출연자) 각자 가진 신체적·정서적 염증에 관한 에피소드를 나누고, 이를 해체하며 움직임으로 재구성해’ 나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앞부분 톱 조명 아래 꿈틀대는 한 사람의 몸은 역사가 쌓여가며 몸이 인간화하는 과정을 표현하면서, 현상이 일어나고 쌓이고 변화하는 ‘존재자 몸’의 규정할 수 없는 역동성과 가능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부에 30분가량 등퇴장 없이 군무를 이어가면서 서사와 동작 에너지를 축적하고 균형 있는 분산을 준비한다. 군무는 차이와 반복을 통해 긴장을 점차 고조시킨다. 통일과 대비, 이완과 고조가 리드미컬하게 전개되다가 갑자기 춤을 멈추고 쌓아 올린 긴장을 확 풀어버리기도 한다. 열과 오를 느슨하게 맞추어 흐트러진 듯한 규칙성을 유지하면서 유연하고 깊게 동작을 이끈다. 호흡을 곳곳에서 꺾고 멈추면서 순환시키는 방식도 특별하다. 무용수끼리 보이지 않게 서로 지지해 주는 듯한 느낌은 춤을 부드러우면서도 단단하게 만든다. 조명으로 극적 효과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붉은색, 푸른색, 화이트를 바꾸어가며 서사의 전환을 암시하는데, 등퇴장을 최소화하면서 이미지 단절 없이 전개를 이어 나가려는 연출로 보인다.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춤을 놓지 않는다. 에게로의 이전 장르무용 실험 때와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염증〉은 출연자들의 에피소드를 모아 춤으로 해체하는 방식으로 만들었다. 이런 경우 출연자들의 기량이 균등해야 한다. 각 에피소드에서 공통점이나 보편적 부분은 군무로 표현하고 개별성은 군무 중에 각 출연자가 표현해야 해서 기량의 불균형이 보이면 안무, 연출 의도가 무너질 수 있다. 〈염증〉에서는 무용수들 기량이 균일하게 뛰어났다. 한, 두 명이 떨어져 나와 나머지와 대비되는 장면이나 군무 중에도 튀거나 처지는 부분이 보이지 않았다. 안무자의 의도를 잘 소화해서 표현할 무용수를 선택하는 일이 당연하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부산 무용계 현실에서는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에게로가 부산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춤판과 끊임없이 연대하고 춤꾼을 발굴한 노력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염증〉은 과거에서 미래를 담지 한 현실에 이르는 시간성을 보여주는데, 도달한 지점에서 멈추지 않는 것으로 선형적 시간성에서 다시 벗어난다. 우리는 현재를 산다고 생각하지만, 과거에 갇혀 산다. 자신을 소개할 때 과거의 자신을 설명하고, 이것이 자기 정체성의 뿌리가 된다. 이용진은 과거를 염증이 쌓이고, 쌓은 과정으로 본다. 자아는 자기 역사 가운데 특정 부분만 드러낸 기억의 편집이다. 이 과정에서 고통 같은 부정적인 부분을 삭제하기도 하는데, 이 작품은 고통이 단순한 통증이 아니라는 것을 성찰하면서 이 모든 것이 각 존재자의 개별 몸에서 일어나는 보편적 현상임을 보여준다. 즉, 누구나 겪지만 깨닫지 못했을 뿐이라는 뜻이다. 


이 작품은 ‘염증’을 단순한 고통이 아닌 성찰의 계기로 받아들이라는 주제처럼, 한 단체가 관성적으로 만든 작품이라기보다 에게로가 걸어 온 시간의 응축이다. 그들이 자신의 지난 시간(역사)을 어떤 식으로 성찰하고 있었는지, 지금까지 예민하게 고민하는 지점이 어디인지 보여주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성찰의 지점을 집요하게 탐색한 문제의식은 이 작품의 중요한 미덕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by Park Byeong-min



The body as a subject that reflects beyond the phenomenon: Dance Project EGERO 〈Inflammation〉



Dance Project EGERO (hereinafter referred to as ‘EGERO’) was a resident group at Busan Democracy Park from 2019 to 2021. At that time, EGERO pioneered its own field by presenting works that sought a shaky balance between popularity and artistry. After that, it worked away from the resident group for three years, and continued to experiment with ‘genre dance’ during this period. The 〈Inflammation〉(choreographed by Lee Yong-jin, starring Kang Geon, Bae Jin-ah, Ahn Hee-joo, Lee Bo-mi, Lee Yong-jin, Jang Ui-jeong, and Jo Dong-hyeok) performed on June 14-15 is the first work that Egero has presented since returning to Busan Democracy Park after being selected for the ‘Theater Link Support Project’ (2025-2027). Egero, who has expanded his horizons through genre experiments, has returned to the starting point of exploring the essence of humanity through the ‘body’. Egero’s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humanity is not conceptual but sensory and realistic. This is because it uses the body as a medium, and it attempts to show the reflective possibility that the senses inside and outside of humans are not just senses but can awaken the essence of life.


This work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s and essence through the explanation that ‘inflammation is not simply a sign of disease, but a defensive response of the body’. Furthermore, it suggests an attitude that inflammation can be sublimated into a ritual of growth rather than pain.


Choreographer Yongjin Lee has rarely escaped from his concerns about the body. While all choreographers have their own concerns about the body, Yongjin Lee explores the essence of existence through phenomena occurring in the body based on phenomenology and Buddhist philosophy. In phenomenology, the body is treated as a subject that experiences the body, or in other words, the ‘body.’ The body is a field where mental and material elements interact organically. In this field, the body and mind formed in the past cause dynamic changes that define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work that embodies this through dance is 〈Inflammation〉.


〈Inflammation〉 is composed of six chapters: ‘The Body Embraced by History,’ ‘The Body That Moves,’ ‘The Body That Forms Relationships,’ ‘The Dissatisfied Body,’ ‘The Body That Revises,’ and ‘The Body That Writes History.’ The first three chapters are about the passive body. Since the time when I didn’t even know the concept of ‘me,’ countless traces have accumulated on my body, and although I vaguely recognize ‘me,’ my body is consumed by work, emotions, pain, and memories. In this process, within the framework of ‘we’, they forget ‘me’ and struggle to survive within the system. The remaining three chapters are about active bodies. They hurt their own bodies (existence), accept phenomena while contemplating existence, and eventually realize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face inflammation, and they develop a reflective attitude that does not accept inflammation as just pain. The division of each chapter is not clear, but it is not difficult to grasp the changes in the flow.


The dance is centered around group dance. It seems that ‘(the performers) each shared episodes about physical and emotional inflammation, deconstructed them, and reconstructed them through movement’. The body of one person wriggling under the top light in the beginning seems to express the process of the body becoming human as history accumulates, while emphasizing the indefinable dynamism and possibility of the ‘body of existence’ where phenomena occur, accumulate, and change. In the first half, they continue the group dance without entering or leaving for about 30 minutes, accumulating narrative and movement energy and preparing for balanced distribution. The group dance gradually heightens tension through differences and repetitions. Unity and contrast, relaxation and heightening develop rhythmically, and then suddenly stop dancing and release the accumulated tension. By loosely matching the heat and cold, the movements are led flexibly and deeply while maintaining a disordered regularity. The way the breathing is broken and stopped here and there and circulated is also special. The feeling that the dancers support each other invisibly makes the dance soft yet solid. In addition to emphasizing the dramatic effect with lighting, the production suggests a change in the narrative by changing the colors of red, blue, and white, and it seems that the production is trying to continue the development without a break in the image while minimizing the entrance and exit. The work does not stop dancing from beginning to end. It is a clear difference from Egero’s previous experiments with genre dance.


〈Inflammation〉 was created by gathering the episodes of the performers and deconstructing them into dance. In this case, the skills of the performers must be equal. The commonalities or universal parts of each episode are expressed through group dance, and the individuality must be expressed by each performer during the group dance, so if there is an imbalance in skills, the choreography and production intention can be ruined. In 〈Inflammation〉, the dancers’ skills were consistently excellent. There were no scenes where one or two people stood out and contrasted with the rest, or even during the group dance, where there was no part that stood out or sagged. It may be natural to select dancers who can express the choreographer’s intention well, but it is by no means easy in the reality of the Busan dance world. It should be seen that Egero’s efforts to continuously connect with dance scenes in other regions as well as Busan and to discover dancers have produced some results.


〈Inflammation〉 shows the temporality from the past to the future, but it breaks away from linear temporality again by not stopping at the point where it has reached. We think we live in the present, but we are trapped in the past. When we introduce ourselves, we describe our past selves, and this becomes the root of our self-identity. Lee Yong-jin sees the past as a process in which inflammation accumulates and builds up. The self is an editing of memories that reveals only a specific part of one’s history. In this process, negative parts such as pain are sometimes deleted, but this work reflects that pain is not simple pain, and shows that all of this is a universal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individual body of each being. That is, it means that everyone experiences it but just doesn't realize it.


This work is not a work created by a group out of habit, but rather a condensation of the time Egero has walked, as the theme is to accept 'inflammation' a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rather than simple pain. It is because it shows how they have reflected on their past time (history) and where they have been sensitively contemplating until now. Above all, the critical awareness that persistently explores the point of reflection is an important virtue of this work.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