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9-1 (2025.7.5.) 발행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 국립현대무용단 최근우(스튜디오 오프비트)
2025 시즌에 들어서며 다각도의 시도를 펼치고 있는 국립현대무용단(예술감독 김성용)이 6월6-8일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세 명의 안무가 무이척인, 야마다 세츠코, 미나유의 트리플 빌 공연을 가졌다. 서구 현대무용의 전성기에 동양의 현대무용은 나름의 색깔을 지니며 자국의 정체성을 확립했는데, 이를 대표하는 홍콩, 일본, 한국 현대무용의 역사를 써 내린 세 명의 안무가가 세 명의 무용수를 직접 초이스 해서 선보이는 솔로 프로젝트는 흥미로운 기획이었다. 특히 안무가 자신의 개성뿐만 아니라 무용수와의 교감을 통해 인간 대 인간, 안무가 대 무용수로서의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은 오롯이 진정성을 드러냈다.
무이척인은 홍콩의 무용을 대표하는 솔로 아티스트로 명확한 미적 표현과 동시대성을 바탕으로 사람의 감정과 관계의 탐색에 집중한 작품을 선보여왔다. 일본의 야마다 세츠코는 1980년대 김매자 선생의 초청으로 한국에서 공연을 가졌고 남정호 선생의 초청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객원교수를 했기에 우리에게는 친숙한 안무가이다. 그녀는 일본 컨템퍼러리 댄스의 선구자로, 구심적이고 섬세한 형식의 작품을 선호한다. 한국의 미나유는 미니멀리즘적 연출을 통해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며,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무용계 트렌드를 선도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솔로 프로젝트는 각 30분의 무대를 무용수 한 명이 이끌어갔다. 확고한 춤어휘로 각국에서 꾸준히 활동을 펼쳐온 세 안무가의 작업 세계는 짧은 시간이지만 선명하게 각인되었다.
첫 작품, 무이척인의 〈붉은 제전〉은 피와 탄생, 생기와 부패, 두려움과 희망, 빨강과 검정, 삶과 죽음에 대해 반대되는 감정과 상황을 무용수 황서영의 몸을 통해 온전히 드러냈다. 피나 바우쉬의 〈봄의 제전〉을 오마주하며 작품의 제목답게 무대 위 선명한 색상의 붉은 천을 사용해 표현적인 춤을 선보였다. 때로는 선정적으로 때로는 신성하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황서영의 몸의 서사는 무대 뒤편에서 등장하는 시점부터 드라마틱했다.
여성과 희생이라는 피나 바우쉬의 주제를 붉은색 천에 투영시켜 붉은 천을 몸에 감싸기도 하고 천을 몸쪽으로 끌어당기기도 하며 펄럭이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면서 무이척인은 여성의 삶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작품 소개의 말처럼 두 가지의 상반되는 주제를 붉은색을 통해 강력하게 묘사한 것이 자칫 식상할 수 있지만 작품은 이를 극복하고 감각적으로 다뤄졌다. 무용수 황서영은 비교적 많이 알려진 인물은 아니나 작품을 통해 자신의 기량과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정록이, 여기에 있습니다〉는 안무가 야마다 세츠코의 손길을 통해 미세하면서도 과감하고, 꼼꼼하면서도 공백의 미가 있는 일본 특유의 움직임 특성을 반영해 밀도 있는 작품을 완성했다. 야마다 세츠코는 과거 우리에게 야마다 세츠코와 무용수 정록이는 둘의 대화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는데, 무용수의 존재 자체에 집중하는 특징을 지녔다. 오랜 대화의 결실은 각 장면마다 여실히 드러났는데, 정록이는 세심한 움직임이 강점인 야마다 세츠코의 안무를 이해하고 있었고, 자신의 이름을 제목에 넣은 만큼 본인의 감정과 몸짓의 모든 것을 표출해 냈다.
정록이는 미세한 분절 사용이 전신에 드러났고, 무심한 듯 움직이지만 많은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도 응집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춤에 실었다. 스스로 내향적인 성격이라고 밝인 그녀와 야마다 세츠코의 정적인 감성이 맞물려 무이척인의 작품이 강렬함으로 승부했다면 야마다 세츠코는 정제와 절제로 상반된 이미지를 담아냈다. 또한 무이척인의 작품이 여성적이고 미나유의 작품이 남성적이라면 야마다 세츠코는 중성적인 매력을 뽐내 독특한 감성으로 관객들에게 어필했다.
미나유의 〈온에어〉는 임종경에 의해 구현되었다. ‘온에어’는 방송중이란 뜻으로 미나유는 개인의 심리적 갈등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그 현재진행형의 의미를 제목에 담았다. 이번 작품에서는 LDP 느낌을 물씬 풍기며 사건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만나는 것임을 자유롭고 강렬한 춤어휘로 표현했다.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녀의 안무 특성에 맞게 변화무쌍한 현대사회 속에서 이리저리 치이며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해내고 무용단 작품의 안무를 통해 대작을 주로 내놨던 그녀는 솔로에서는 제자인 임종경이 드러내는 남성춤의 에너지를 살리면서 무대를 장악했다.
〈온에어〉는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노멀한 느낌이 없지 않았으나 현대인이 겪을 수 있는 다소 어두운 측면을 지하에 있는듯한 공간, 채찍 소리에 이리저리 할퀴어지며 고통을 겪는 장면, 할렐루야와 필소굿 같이 친숙한 노래, 무대 우측 상단에 있는 온에어 표시등과 같은 다양한 연출로 드라마틱하게 살려냈다. 이밖에도 임종경은 인상적인 표정과 능숙한 움직임을 통해 무대에서 on/off의 모습을 나타내는 우리의 고뇌를 보여주는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솔로 프로젝트의 세 작품은 중요한 쟁점을 가지고 있었다. 여성 안무가가 안무에 있어서 특정 성을 강조하기보다는 무용수 각자의 몸을 통해 표현되는 신체상을 주요 관전 포인트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무척이나 표현적이면서도 내밀한 조직력을 포함하기도 했다. 다만 드라마틱함이 부각된 것은 무이척인과 미나유의 작품이었고 내밀한 조직력이 더 돋보인 것은 야마다 세스코의 작품이었다. ‘춤이 말하다’라는 공연이 있을 정도로 춤은 무용수 자신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그런데 이번 작품들은 사적인 시선을 떠나 ‘나’를 객관적으로 보는 시각도 갖추고 있기에 관객들에게 집중과 사유의 시간을 선사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무대였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by Jang Ji-won (Dance Vritic)
Photo by Choi Geun-woo (Studio Offbeat) Ⓒ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solo project with expressive and organized multi-faceted charm
Entering the 2025 season,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rtistic Director Kim Seong-yong), which is making various attempts, held a triple bill performance by three choreographers Mui Cheok-in, Yamada Setsuko, and Mina Yu at the Seoul Arts Center Jayu Small Theater from June 6 to 8. During the heyday of Western modern dance, Eastern modern dance established its own identity with its own unique color, and the solo project in which three choreographers who have written the history of Hong Kong, Japan, and Korea, representing this, personally selected and presented three dancers was an interesting plan.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choreographer-to-danc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ancers as well as the choreographer's own personality revealed its sincerity.
Mui Cheok-in is a solo artist representing Hong Kong dance, and has presented works that focus on exploring human emotions and relationships based on clear aesthetic expression and contemporaneity. Japan's Yamada Setsuko is a choreographer familiar to us, having performed in Korea in the 1980s at the invitation of Professor Kim Mae-ja and served 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t the invitation of Professor Nam Jeong-ho. She is a pioneer of Japanese contemporary dance, and prefers works with a centripetal and delicate form. Korea's Mina Yu is evaluated as leading the trend in the dance world by intuitively conveying messages through minimalistic directing,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 As mentioned earlier, each 30-minute stage was led by one dancer in the solo project. The world of the work of three choreographers who have been consistently active in various countries with solid dance vocabulary has been clearly impri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first work, Muichukin's 〈Red Rite〉, fully expressed the opposing emotions and situations of blood and birth, vitality and decay, fear and hope, red and black, life and death through the body of dancer Hwang Seo-young. Paying homage to Pina Bausch's 〈Rite of Spring〉, the work used vivid red cloth on stage to present expressive dances, as the title suggests. The narrative of Hwang Seo-young's body, which sometimes reveals its presence in a provocative and sometimes sacred manner, was dramatic from the moment she appeared from the back of the stage.
Muichukin metaphorically expressed women's lives by projecting Pina Bausch's theme of women and sacrifice onto the red cloth, wrapping it around her body, pulling it toward her body, and fluttering it in various ways. As the introduction of the work states, the powerful depiction of two conflicting themes through the color red can be a bit cliche, but the work overcomes this and deals with it sensuously. Dancer Hwang Seo-young is not a relatively well-known figure, but she has confirmed her skills and potential through the work.
〈Jeongrok, Here〉 is a dense work that reflects the unique Japanes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being delicate yet bold, meticulous yet with the beauty of space through the hands of choreographer Yamada Setsuko. Yamada Setsuko and dancer Jeongrok were created based on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focusing on the dancer's very existence. The fruits of the long conversation were clearly revealed in each scene, and Jeongrok understood Yamada Setsuko's choreography, which is strong in meticulous movements, and expressed all of his emotions and gestures as he put his name in the title.
Jeongrok's use of fine segmentation was evident throughout her body, and although she moved indifferently, she conveyed her presence in the dance based on concentrated energy without using much space. While she, who revealed herself to be an introvert, and Yamada Setsuko's static sensibility intertwined, Muichukin's work won with intensity, while Yamada Setsuko captured contrasting images with refinement and restraint. In addition, while Muichukin's work is feminine and Minayu's work is masculine, Yamada Setsuko showed off her neutral charm and appealed to the audience with her unique sensibility.
Minayu's 〈On Air〉 was realized by Im Jong-gyeong. 〈On Air〉 means "on air", and Minayu included the meaning of the present tense in the title as she resolved her personal psychological conflict. In this work, she expressed the feeling of LDP and expressed the fact that events are not created but encountered with free and intense dance vocabulary. In line with her chore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 she realistically portrayed our lives, torn apart by the ever-changing modern society. Having produced numerous students and mainly choreographed masterpieces for dance troupes, she dominated the stage in her solo work, utilizing the energy of her student Lim Jong-kyung’s male dance.
〈On Air〉 had a somewhat more normal feel than the previous two works, but it dramatically brought to life the somewhat dark aspects that modern people can experience through various productions, such as the underground-like space, scenes of suffering while being scratched here and there by the sound of a whip, familiar songs like Hallelujah and Pilsogut, and the On Air sign on the upper right of the stage. In addition, Lim Jong-kyung played a great role in showing our agony, showing the on/off appearance on stage, through impressive expressions and skillful movements.
The three works of the solo project had important issues. The fact that female choreographers focus on the body image expressed through each dancer’s body rather than emphasizing a specific gender in their choreography is a major point of observation. It also includes a very expressive yet intimate organizational force. However, the works of Muichik-in and Minayu were more dramatic, while the works of Yamada Sesko were more prominent in their intimate organizational force. Dance fully reveals the dancers themselves, to the point that there is a performance called “Dance Speaks.” However, these works were positive stages in that they provided the audience with a time of concentration and reflection, as they also had a perspective that objectively viewed “me” beyond personal perspectives.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