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K발레, 한류는 가능한가?: 프랑스 발레 애호가의 〈춘향〉 관람기

공연비평

Vol.119-1 (2025.7.5.) 발행


글_ 손현철(KBS시사교양PD·시인)

사진_ Lyeowon Kim ⓒUniversal Ballet


  

가상의 프랑스인 자크 기트리 씨는 발레 애호가다. 17세기 고전 발레의 발상지 출신답게 기트리 씨는 프랑스가 완성한 고전 발레에 대한 자부심이 아주 강한 사람이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유럽의 고전 발레부터 미국과 아시아의 현대, 창작 발레의 무대를 직접 감상했다. 주말에는 집에서 시대별로 VHS 테잎, DVD, 블루 레이 포맷으로 발매된 발레 영상을 보는 열성적인 팬이다. 자신의 블로그에 공연 평을 올리는 아마추어 비평가이기도 하다. 그는 최근 한국을 방문한 김에 볼만한 발레 공연이 있을까 찾아봤다. 마침 유니버설 발레단의 〈춘향(The Love of Chunhyang)〉 을 공연 중이지 않은가. 그는 한국의 창작 발레가 어떤 수준인지 궁금 반 기대 반의 마음으로 극장 객석에 앉았다.


그에게 인상 깊었던 아시아의 창작 발레는 2018년 파리의 팔레 드 콩그레에서 공연한 레바논 카라칼라 무용단의 〈천일야화〉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dJOxTkicDIM). 아랍 건축의 모티브로 가득한 무대장식, 화려한 전통 의상과 고유한 음계와 리듬의 음악, 민속 무용의 동작을 활용한 활기찬 군무가 눈길을 사로잡았다. 고전 발레와는 한참 멀지만, 아랍 문화의 다양성과 발레의 요소를 하나로 녹여낸 용광로 같은 종합 예술이었다. 북아프리카 아랍권 식민지를 경영했던 프랑스인들에게는 익숙하면서도 이국적인 문화 경험이었다.


한국의 역사와 고전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던 기트리 씨는 한국인 친구로부터 〈춘향〉의 배경과 줄거리 설명을 들었다. 조선 왕조의 지배계급인 양반, 관리 임용 제도인 과거 시험, 암행어사, 지방 관청에 소속된 기생 등에 관한 사전 정보를. 기트리 씨는 프로그램 소개 전단의 영어 제목 〈춘향의 사랑〉을 보고 비극으로 치닫는 줄거리일까 아니면 행복한 결말로 끝나는 사랑 이야기일까 궁금해 하면서 막이 오르기를 기다렸다.




익숙한 오케스트라 전주곡이 연주되고 벚꽃잎이 눈처럼 내리는 남원의 광한루 영상이 비친다. 아름다운 사랑의 시작을 알리는듯하다. 그런데 가만, 이 선율은 어디서 많이 듣던 거다. 이런, 차이콥스키의 발레곡이잖아? 왜 창작 발레에 러시아 음악을 썼을까? 기트리 씨는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한국에 발레 음악을 쓸만한 역량의 작곡가가 없단 말인가? 기트리 씨가 아는 유명한 한국 작곡가 한두 명이 떠올랐다. 작고한 윤이상, 독일서 활동하는 진은숙도 한국 출신으로 아는데.


1막의 첫 무대 배경은 단순한 색채 조합에 상징적인 꽃문양의 구성으로, 직관적이고 신선했다. 한지로 바른 창문에 절제된 백라이트 조명이 더해진다. 곰방대를 문 춘향의 어미 퇴기 월매, 자수 놓는 춘향, 다듬이질하는 몸종 월매 세 명이 앉아 있다. 무대 오른쪽에는 대나무 숲을 배경으로 앉아서 책 읽는 몽룡이 보인다. 양쪽의 간소한 배경과 선명한 색채 대비가 꼭 영국의 예술영화 감독 피터 그리너웨이의 미장센을 보는듯했다. 기트리 씨는 나중에 그것이 소박하면서도 기품있는 한국적인 고졸미(古拙美)라는 것을 알게 됐다.


광한루 저잣거리의 민속 윷놀이, 엿장수의 엿판, 주막의 술자리, 잘 차려입고 놀러 나온 사람들의 유쾌함. 그리고 이어지는 군무는 흥겹고 멋들어졌다. 전통 의상, 안무의 구도, 무용수의 동작이 모두 조화롭게 어우러졌다. 한복의 맵시와 잘 어울리는 부채, 슈룹 (한지 우산), 머리의 화관 등 소품도 보는 재미를 주었다. 춤도 수준급이었다. 고전 발레의 기본 동작을 충실히 소화하고 한국적인 춤사위와 움직임을 적절하게 가미했다. 부채를 활용한 손동작, 우아한 팔 움직임이 새로웠다.




춘향과 몽룡의 첫 만남, 처음의 수줍음, 설렘과 끌림, 사랑의 감정선이 두 사람의 파드되를 무대에 둥실 떠올린다. 몽룡의 부친이 등장해 두 사람을 떼어놓자 몽룡은 밤에 몰래 방자를 보낸다. 이후 여러 장면에서 남원의 돌담과 징검다리가 연결 장면으로 등장한다. 춤으로 표현하기 복잡한 장면 전환을 돌담 배경의 재치 있는 동작으로 풀어낸다.


춘향과 몽룡의 첫날 밤, 병품 배경의 합환(合歡) 춤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은은히 쏟아지는 조명 아래 부끄러워하는 춘향의 얼굴을 부채로 가리는 배려와 여백미, 한국의 온돌 문화를 반영해, 앉아서 미끄러지며 부드럽게 섞이고 엮이는 2인무는 다른 어떤 발레에서도 볼 수 없는 〈춘향〉만의 백미다.


먹구름처럼 두 사람을 휩싸는 군무 속에서 몽룡과 춘향은 슬픈 이별의 춤을 춘다. 군무의 소용돌이가 거센 물길처럼 두 사람을 갈라놓는다. 평범한 파드되로 표현하기 힘든 별리의 애절함을 감동적으로 풀어 놓는다.




2막은 붓을 든 선비들이 모인 한양의 과거장에서 시작한다. 일필휘지(一筆揮之), 한 번의 붓질로 단숨에 써 내려간다는 고사성어처럼, 도포를 입은 무용수들의 몸이 붓이 되어 자유자재로 움직인다. 독특한 무리 춤이다. 급제자들은 합격 패를 들고 날렵하고 절도(節度)있게 기쁨의 춤을 이어간다.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을 사전에 들었기에 기트리 씨는 장면을 이해하기 쉬웠다.


남원에서는 새로 부임한 수령 변학도가 관청 소속 기생들을 점고한다. 화려한 조명 아래 기생들의 뽐내기, 변학도를 향한 추파와 희롱의 춤을 춘다. 밀고 당기는 한국적인 익살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변학도를 거부하는 춘향의 춤은 단호하면서도 처절하다. 연기 가득한 옥에 갇힌 춘향의 독무는 몽룡에 대한 사랑과 원망으로 가득하다.


변학도의 생일잔치, 4명의 거친 망나니가 칼을 들고 끌려 나온 춘향을 위협한다. 위기의 순간, 마패를 든 몽룡을 따라 역졸들이 등장해 역동적인 군무를 춘다. 몽룡은 칼을 들고 독무로 변학도를 제압한다. 마지막 군무가 생각보다 짧게 끝나 아쉬움이 남는다. 구성이 좀 더 드라마틱하면 좋을 뻔했다. 하지만 두 남녀의 재회 이인무를 보면서 부족한 점이 만회됐다. 두 사람이 환희의 춤으로 무대를 채우다가, 앉아서 서로 손을 잡았다가 놓으며 몇 번을 휘돈다. 가슴이 벅차올라 서로를 껴안는 마지막 장면은 사랑의 위대함에 무릎을 꿇는 두 연인의 행복한 운명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일어나서 열렬한 박수를 날리며 기트리 씨는, 이건 정말 자신이 본 가장 아름다운 파드되라고 되뇐다. 왜 이렇게 훌륭한 작품을 유럽에서 볼 수 없었던 거지.      


커튼콜이 끝나고 기트리 씨는 수첩에 간단한 감상평을 메모한다. 소공동의 호텔에 돌아가 자신의 블로그에 올릴 비평문의 초안인 셈이다. 

 

- 장면 구성과 안무는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흠잡을 데가 없다. 돌담 배경의 장면 연결 신은 재미있고 효과적이다.

- 의상, 무대 디자인은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우며 세련됐다. 한국적인 색채도 잘 살아있다. 

- 압도적인 기량, 폭발적인 힘에 반응하는 유럽인들의 눈으로 보면, 오늘 무대에 오른 한국 무용수들의 춤은 성에 안 찰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부족한 점을 세밀하고 전략적인 안무가 채워주고 있다. 

- 차이콥스키의 음악이 계속 마음에 걸린다. 한국적인 풍류와 해학, 흥(興)과 한(恨), 고유 음계와 음색을 반영한 발레곡이 있어야 할 것 같다. 러시아 현대발레의 명작 〈스파르타쿠스〉를 쓴 하차투리안 같은 걸출한 작곡가를 찾기는 쉽지 않겠지만, 시도는 해봐야 하지 않을까? 


- 얼마 전 한국 뮤지컬이 토니상 6관왕을 차지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발레 〈춘향〉도 충분히 세계 시장에 자신 있게 내놓아도 손색없는 작품이다.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극의 시대 배경을 설명하는 영어, 불어 프로그램 안내가 있으면 좋겠다.

- 참, 왜 이렇게 좋은 작품을 영상에 담은 DVD나 블루레이가 없지? 유튜브에 영어, 불어 요약본이라도 올려놓으면 발레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 텐데. 

기트리 씨는 〈춘향〉의 최종 별점을 얼마 줄까, 고민한다. 그의 평점 체계에서 별 5개가 만점이다. 지금까지 만점을 준 작품은 블라디미르 바실리에프(Vladimir Vasiliev)가 주연한 〈스파르타쿠스〉, 피나 바우쉬 안무 스트라빈스키 작곡의 〈봄의 제전〉, 덴마크 왕립 발레단의 〈라 실피드〉(니콜라이 휘베 안무) 등 20편 정도다. 


기트리 씨는 수첩에 별 4개를 그려 넣는다. 음악이 개선되면 별 한 개를 추가할 의향이 그에게는 충분하다.


※ 이 글은 한국 발레의 발전을 위해 가상의 외국인 관람객의 시선으로 작성한 리뷰임을 밝혀둡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by Son Hyun-cheol (KBS PD·Poet)

Photo by Lyeowon Kim ⓒUniversal Ballet



Is K-Ballet Possible for the Korean Wave?: A French Ballet Enthusiast’s Review of 〈The Love of Chunhyang〉



The fictional Frenchman Jacques Guitry is a ballet enthusiast. As someone who hails from the birthplace of classical ballet in the 17th century, Guitry is very proud of the classical ballet that France has perfected. Since his youth, he has personally watched performances of European classical ballet, American and Asian contemporary and creative ballet. On weekends, he is an avid fan of ballet videos released in VHS tape, DVD, and Blu-ray formats by era at home. He is also an amateur critic who posts performance reviews on his blog. While he was visiting Korea recently, he looked for a ballet performance worth seeing. As it turned out, Universal Ballet was performing 〈The Love of Chunhyang〉. He sat in the theater, half curious and half excited about the level of Korean creative ballet.


The Asian creative ballet that impressed him the most was 〈A Thousand and One Nights〉 by the Lebanese Caracalla Dance Company, performed at the Palais des Congrès in Paris in 2018 (https://www.youtube.com/watch?v=dJOxTkicDIM). The stage decorations filled with motifs of Arab architecture, the gorgeous traditional costumes, the music with unique scales and rhythms, and the lively corps de ballet using movements from folk dances caught his attention. Although it was far from classical ballet, it was a comprehensive art form that melted together the diversity of Arab culture and elements of ballet. It was a familiar yet exotic cultural experience for the French who ran the Arab colonies in North Africa.


Guitry, who had no prior knowledge of Korean history and classics, heard an explanation of the background and plot of 〈The Love of Chunhyang〉 from a Korean friend. He had prior information about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secret royal inspector, and the gisaengs who worked at local government offices. Guitry waited for the curtain to rise, wondering if the English title of the program introduction leaflet, “Chunhyang’s Love,” would be a tragic plot or a love story with a happy ending.


A familiar orchestral prelude was played and a video of Gwanghanru in Namwon, where cherry blossoms were falling like snow, was shown. It seemed to announce the beginning of a beautiful love. But wait, where had I heard this melody before? Oh, isn’t it Tchaikovsky’s ballet? Why did they use Russian music for a creative ballet? Guitry had a hard time understanding. Are there no composers in Korea capable of writing ballet music? Guitry thought of one or two famous Korean composers he knew. The late Yun Isang and Jin Eun-sook, who is active in Germany, are also Koreans.


The first stage background of Act 1 was intuitive and refreshing, with a simple color combination and symbolic flower pattern. The windows covered with Korean paper were added with restrained backlighting. Three people are sitting: Chunhyang’s mother, Wolmae, who is holding a bear’s head, Chunhyang embroidering, and Wolmae, who is trimming a quilt. On the right side of the stage, Mongryong is seen reading a book against the backdrop of a bamboo forest. The simple backgrounds and vivid color contrasts on both sides reminded me of the mise-en-scène of British art film director Peter Greenaway. Guitry later learned that it was a simple yet elegant Korean old-fashioned beauty.


The traditional Yutnori game in the Gwanghanru market, the candy vendor’s candy table, the drinking party at the tavern, and the cheerfulness of the people who came out to play dressed up. And the group dance that followed was exciting and wonderful. The traditional costumes, the choreography, and the dancers’ movements were all harmoniously combined. The props, such as the fans, shoop (Korean paper umbrella), and the flower crowns that went well with the style of the hanbok, were also fun to watch. The dancing was also top-notch. They faithfully performed the basic movements of classical ballet and appropriately added Korean dance moves and movements. The hand movements using the fan and the elegant arm movements were new.


The first meeting between Chunhyang and Mongryong, their initial shyness, excitement and attraction, and the emotional line of love make the two people’s pas de deux float on the stage. When Mongryong’s father appears and separates the two, Mongryong secretly sends a messenger at night. In several scenes after that, the stone wall and stepping stones of Namwon appear as connecting scenes. The scene transition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through dance are solved with witty movements against the stone wall background.


The Hap-hwan (合歡) dan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sick woman on the first night of Chunhyang and Mongryong is incredibly beautiful. The consideration and beauty of covering Chunhyang’s shy face with a fan under the softly pouring lights, the duet that reflects the Korean ondol culture, and the soft mixing and interweaving while sitting and sliding, are the best of 〈The Love of Chunhyang〉 that cannot be seen in any other ballet.


In the midst of the dance that envelops the two like dark clouds, Mongryong and Chunhyang dance a sad dance of separation. The whirlpool of the dance separates the two like a strong current. It movingly expresses the sadness of separation that is difficult to express in an ordinary pas de deux.


Act 2 begins at the imperial examination hall in Hanyang where scholars holding brushes have gathered. Just like the idiom “一筆揮之” (a stroke of a brush) meaning to write in one breath, the dancers in their robes move freely as if they were brushes. It is a unique group dance. The successful candidates continue the dance of joy with agility and discipline, holding their passing cards. Since they had heard an explanation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in advance, Guitry was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scene.


In Namwon, the newly appointed magistrate Byeon Hak-do takes stock of the gisaengs belonging to the government office. Under the splendid lights, the gisaengs show off and dance a dance of flirtation and teasing towards Byeon Hak-do. The Korean humor of pushing and pulling is eye-catching. Chunhyang's dance that rejects Byun Hak-do is firm yet desperate. Chunhyang's solo dance while locked in a smoke-filled prison is full of love and resentment for Mongryong.


At Byun Hak-do's birthday party, four rough men with swords threaten Chunhyang, who is dragged out. At the moment of crisis, the guards appear following Mongryong with a horse badge and dance a dynamic group dance. Mongryong subdues Byun Hak-do with a sword and a solo dance. The last group dance ends shorter than expected, leaving a sense of regret.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composition had been a bit more dramatic. However, the shortcomings were made up for by watching the two men and women's reunion dance. The two fill the stage with a dance of joy, then sit down and hold each other's hands, then let go, and swing them several times. The last scene, where their hearts swell and they embrace each other, movingly shows the happy fate of the two lovers who kneel before the greatness of love. Guitry stood up and applauded enthusiastically, saying, “This is truly the most beautiful pas de deux I have ever seen. Why haven’t I seen such a wonderful piece in Europe?”


After the curtain call, Guitry wrote a brief review in his notebook. It was a draft of a critique that he would post on his blog back at his hotel in Sogong-dong.


- The scene composition and choreography flowed naturally and flawlessly. The scene connection with the stone wall background was fun and effective.

- The costumes and stage design were simple yet beautiful and sophisticated. The Korean colors were also well preserved.

- From the perspective of Europeans who react to overwhelming skill and explosive power, the dance of the Korean dancers on stage today might not be satisfactory. However, the detailed and strategic choreography made up for that shortcoming.

- Tchaikovsky’s music keeps on bothering me. There should be a ballet piece that reflects Korean style and humor, excitement and resentment, and unique scales and tones. It may not be easy to find an outstanding composer like Khachaturian, who wrote the masterpiece of Russian modern ballet, 〈Spartacus〉, but shouldn’t we try?


- I recently heard that a Korean musical won six Tony Awards. The ballet 〈The Love of Chunhyang〉 is also a work that can confidently be introduced to the global market. It would be good to have an English and French program guide that explains the play’s historical background in an easy-to-understand way for foreigners.

- Oh, why aren’t there DVDs or Blu-rays that contain such a great piece of work? If they put up a summary in English or French on YouTube, it would attract the attention of ballet lovers.

Guitry is worried about how much he will give 〈The Love of Chunhyang〉 in its final star rating. In his rating system, five stars is the perfect score. So far, there are about 20 works that have received full marks, including 〈Spartacus〉 starring Vladimir Vasiliev, 〈The Rite of Spring〉 composed by Stravinsky and choreographed by Pina Bausch, and 〈La Sylphide〉 (choreographed by Nicolai Hübbe) by the Royal Danish Ballet.


Guitry writes four stars in his notebook. He is willing to add one star if the music improves.


※ ​​Please note that this article is a review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a hypothetical foreign audience membe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ballet.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