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9-1 (2025.7.5.)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국립현대무용단, 코리아댄스어브로드
국립현대무용단이 창단된 지 이제 겨우 15년이 지났을 뿐이지만 현 시대의 춤을 말하고자 할 때는 ‘컨템퍼러리 댄스’ 혹은 ‘컨템퍼러리 춤’으로 주로 호명되고 ‘현대무용’은 이제 사어(死語)가 된 것처럼 단체명을 지칭할 때 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국립현대무용단보다 한 세대 전인 1981년 창단된 대구시립무용단은 현대무용단체이지만 단체명에 아예 ‘현대무용’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장르에 대한 정의가 무색해진 현재에 와서는 이 ‘컨템퍼러리’를 앞세운 창작물에서 중요한 질문은 ‘지금’ ‘여기’를 담고 있는가이지 어떤 움직임을 보여주는가가 아니다.
무대라는 공간도, 움직임의 정의도, ‘지금’ ‘여기’에 대한 상상마저 빠르게 해체되고 있는 시대에 현대무용의 발원지로 돌아간 듯한 두 개의 무대가 차례로 올려졌다. 국립현대무용단의 〈솔로 프로젝트〉와 코리아댄스어브로드의 〈모노탄츠 서울〉이다.
세 안무가와 세 무용수의 세 가지 색 솔로
그 장엄한 역사성과 반짝이는 장식미를 걷어내고 나면 발레는 결혼각본, 토슈즈, 2인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反)의 개념으로 등장한 초기 현대무용은 다시 여성, 솔로, 맨발로 요약된다.
현대무용의 창시자라고 하면 대부분 이사도라 던컨을 떠올리는데, 발레의 엄격한 형식주의에서 벗어나 맨발로 무대에 올라 자연스러운 신체 움직임과 감정을 드러내는 춤을 선보인 그의 모습은 현대무용 정신의 현현(顯現)이나 다름없다. 그 자연스러움의 추구로 이렇다 할 메소드를 남기지 않았기 그의 춤을 이어받아 후대로 전승한 무용가가 없음에도 그의 이름이 현대무용사에서 지워지지 않고 꼭대기에 남아 있는 이유다.
국립현대무용단이 지난 6월 6일부터 8일까지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선보인 〈솔로 프로젝트〉는 이 같은 초기 현대무용의 정신을 간접적으로나마 접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무대가 되었다. 〈솔로 프로젝트〉는 ‘아시아’, ‘여성’, ‘현대무용’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 일본, 홍콩의 여성 안무가 세 명의 솔로 무대를 모은 트리플 빌 무대다. 김성용 예술감독은 취임 후부터 ‘아시아’라는 키워드를 뚝심 있게 밀어붙이며 다양한 무대를 만들고 있는데, 덕분에 각자의 나라에서 각자의 세계를 뚜렷하게 정립하며 활동하는 동안 서로 만난 적 없었던 세 안무가가 한자리에 모이게 되었다.
한국의 미나유, 일본의 야마다 세츠코, 홍콩의 무이척인. 세 명이 모여 하나의 무대를 완성하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세 안무가의 이름만으로도 기대를 모은다. 세 안무가는 한국인 무용수 한 명과 각각 팀을 이루어 공연을 선보이는데, 안무가가 무대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에 공연은 2인 1각 경주처럼 진행된다.
공연은 무이척인의 〈붉은 제전〉으로 시작되었다. 무이척인은 중국 전통무용과 민속무용을 섭렵한 뒤 접촉즉흥과 포스트모던 댄스로 넘어와 사람의 감정과 관계를 탐색하며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왔다. 〈붉은 제전〉은 피나 바우쉬의 〈봄의 제전〉을 오마주한 작품으로, 마침 공연이 올려진 6월은 바우쉬가 세상을 떠난 달이기도 해 헌정작으로서의 의미가 더욱 각별해졌다.
피나 바우쉬의 1975년 작 〈봄의 제전〉은 니진스키 원작의 주제인 원시적인 제의와 희생의 의미를 여성의 시각에서 재해석한 작품이다. 무이척인은 〈봄의 제전〉에서 표현된 여성의 불안과 두려움, 고통과 저항 등의 세밀한 감정과 행위들을 다시 재해석해 〈붉은 제전〉이라는 새로운 제목을 붙이고 이를 여성의 삶으로 돌려놓는다.
무용수 황서영은 레드카펫처럼 기다란 붉은 천을 몸에 두르거나 바닥에 펼쳐놓고 끌어당기거나 펄럭거리며 천의 움직임으로 비정형적인 곡선을 만드는 등 솔로 댄스를 선보이면서도 천과 함께 2인무를 추는 듯한 역동적인 무대를 만들어낸다. 붉은 천은 생명의 탄생과 소멸, 피가 피를 부르는 전쟁과 집단학살 등 다양한 이미지로 전유되며 한 여성의 삶으로부터 세상 전체로 확장된다. 이를 통해 〈봄의 제전〉에서 희생된 여성들은 하나로 뭉뚱그려진 집단적인 죽음이 아니라 개별적인 희생의 주체로 되살아나 〈붉은 제전〉으로 위무받게 된다.
두 번째 무대인 〈정록이, 여기에 있습니다〉는 안무가 야마다 세츠코와 무용수 정록이의 대화를 무대로 옮겨놓은 듯하다. 무용수의 모놀로그로 진행되지만 그의 움직임 하나하나가 모두 무대에 등장하지 않은 안무가와의 대화이다. 이 대화는 컨템퍼러리 예술가인 정록이가 ‘지금’ ‘여기’에 ‘어떻게’ 존재하는지, 제목에서 생략된 ‘어떻게’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시종일관 손끝부터 발끝까지 관절을 세밀하게 사용해 절제된 움직임으로 전개되는 정록이의 무대는 움직임이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감각해내고 이를 통해 어떤 이야기가 만들어지는지를 조밀하게 보여준다. 조금만 주의가 흐트러져도 이야기의 맥락을 놓칠 수 있어 객석에도 집중력을 요하며, 그렇기에 관객들은 긴장한 상태로 움직임 하나하나를 따라가야 한다. 컨템퍼러리 무대에 선 창작자들은 모두가 입을 모아 ‘지금’ ‘여기’를 말하지만, 야마다와 정록이는 그에 앞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말한다. 짧고 단순하지만 매우 묵직한 울림을 주는 작품이다.
마지막 작품인 〈온에어〉는 사제지간인 안무가 미나유와 무용수 임종경의 긴밀한 호흡을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안무가와 무용수가 서로에게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했을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매우 자연스럽고 편안한 전개를 보여준다. 제목의 ‘온에어’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방송 중’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일상 혹은 인생에서 돌발적으로 만나는 사건과 그 현장, 그리고 그에 대한 반응이 일어나는 순간을 의미한다.
세 작품 가운데 가장 연극적으로 전개되는 작품으로, 음악과 조명디자인, 무대세트 등 매체의 활용으로 드라마틱한 변주를 보여주는 무대 위에서 임종경은 노련한 연기와 장악력으로 관객들의 감정을 쥐락펴락하며 무대의 ‘현장감’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증명해 보였다.
같은 오브제에서 출발한 세 가지 다른 이야기
코리아댄스어브로드는 2019년부터 헝가리 부다페스트 베틀렌 극장에서 열리는 모노탄츠 페스티벌과의 협업으로 ‘모노탄츠 서울’을 진행하고 있다. 2005년 시작되어 격년으로 열리고 있는 모노탄츠 페스티벌은 솔로 퍼포먼스의 예술성과 실험성을 조명해 온 현대무용 축제로, 소극장과 1인무라는 구조를 통해 무용수 개인의 신체와 감각, 내면적 서사에 집중하는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여 왔다.
모노탄츠 페스티벌의 이 같은 철학을 공유하며 창설된 모노탄츠 서울은 연극의 모놀로그 개념을 무용으로 확장해 시대와 정체성, 사회적 맥락을 몸으로 말하는 작품을 꾸준히 소개하며 관객들에게 다층적 독백을 듣는 경험을 제공해 왔다. 모노탄츠 페스티벌과 마찬가지로 격년으로 진행되며, 부다페스트에서는 짝수해에, 서울에서는 홀수해에 열리는 형태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사흘간 진행된 올해 공연에서는 오프닝 무대에서 선보인 기획 프로젝트 ‘모노쉬프팅’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 ‘모노쉬프팅(Mono Shifting)’은 하나의 안무 콘셉트를 서로 다른 신체와 배경을 지닌 세 명의 무용수가 각자의 해석으로 풀어내는 프로젝트로, 센트럴 유러피언 댄스시어터의 예술감독인 라슬로 마디가 이번 프로젝트의 멘토를 맡아 서정빈, 레카 제브나르, 정정운 세 무용수와 공동창작 형식으로 공연을 완성했다.
라슬로 마디는 ‘모노쉬프팅’에 대해 기존 솔로 장르에서의 이동 또는 전환이라고 정의하며 이때의 ‘이동’은 익숙하고 안전한 영역을 벗어나려는 시도이자, 무용수와 관객 모두에게 새로운 감각을 열어주는 여정이라고 설명한다. 무용수들은 책과 비상담요라는 공통된 오브제를 가지고 각자의 해석대로 서로 다른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
가장 먼저 무대에 등장한 서정빈은 〈한 권의 자세〉라는 제목으로 공간과 여성의 관계, 그리고 여성의 행동 교정에 대해 탐색했다. 공연 초반 서정빈은 누운 채로 바닥을 뒹굴고 몸을 비틀고 얼굴을 일그러뜨리며 움직인다. 본능에서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움직임 같기도 하고, 인간이 되기 전의 짐승이었던 시절의 움직임 같기도 하다. 방 안에는 그 혼자밖에 없고 하나뿐인 창은 비상담요로 막혀 있어 그가 어떻게, 얼마나 기괴하게 움직이건 간에 그를 볼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제멋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던 시간은 금세 지나가 버리고 서정빈은 곧 일어나 반듯하게 서서 책을 머리에 얹고 단정하게 걷기 시작한다. 역시 혼자뿐인 방 안에서 그가 책을 떨어뜨린다고 해서 누가 벌을 주는 것도 아니지만 그는 신중하게 한 걸음 한 걸음 떼어놓으며 걸음을 교정한다. 이때 창문을 가린 비상담요에서 반사되는 은빛은 그의 걸음을 비추는 조명이 된다. 조명을 받는다는 것은 누군가의 시선에 포착될 수 있다는 뜻이다.
아무도 없는 곳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던 그는 책을 머리에 올린 순간부터 책의 무게를 감당하며 반듯한 자세로 걸어야 한다. 대개 지식의 보고로 상징되는 책을 교정의 도구로 해석하며 움직임의 변화와 여성의 문제로까지 이어서 풀어낸 기지가 돋보였다.
두 번째 무대에 오른 레카 제브나르는 따로 제목을 붙이지 않고 바닥에 깔린 비상담요와 손에 든 책을 통해 공간성과 관계성을 되짚어간다. 그의 발아래에서 은빛 무대를 이루는 비상담요는 특정 장소일 수도, 특정 시기일 수도 있으며, 그는 담요가 깔린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을 오가며 일상을 영위하고 인생을 살아간다. 그가 담요 위를 떠나건 떠나지 않건 그의 손에는 항상 책이 들려 있는데, 여기서도 책은 펼쳐서 읽으며 지식을 접하는 사전적이고 물리적인 의미로서의 책이 아니라 그가 어디를 가건 항상 곁에 있는 친구나 동반자, 아니면 그가 중요시하는 가치일 수도 있다.
마지막 작품으로 〈보이후드〉를 선보인 정정운은 제목 그대로 거리낄 것도, 무서운 것도 없던 소년시절의 순수함과 치기를 연기하며 객석에 웃음을 선사한다. 책은 그의 결심이나 숙제가 담긴 일기 혹은 수첩이 되고, 그는 이 결심들을 책을 덮고 잊어버리지 않고 책장을 찢어 벽에 붙여놓으며 되새긴다. 그리고 그런 결심들로 채워진 하루하루가 지나고 ‘보이후드’를 관통해 어른이 된 그는 스스로에게 은종이 꽃가루를 날려주며 자축한다.
앞서 국립현대무용단의 솔로 프로젝트가 안무가와 무용수의 대화로 완성된 2인 1각 경기를 보는 듯했다면, 올해 모노탄츠 서울에서 선보인 모노쉬프팅은 같은 오브제를 배턴 터치하듯 받아 다른 무대로 만들어내는 계주 경기를 보는 듯했다. 라슬로 마디가 앞서 말했듯, 같은 오브제임에도 창작자들의 해석에 따라 전혀 다른 무대가 만들어지는 것을 보고 있는 동안 객석의 관객들도 상상력의 확장을 경험하게 된다. 무대의 ‘이동’과 ‘전환’이 객석으로까지 전이되는 것이다. 솔로 무대가 독백으로 그치지 않고 흥미로운 대화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 이 인상적인 무대 다음이 궁금해진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by Yoon Dan-woo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s provided by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Korea Dance Abroad
Conversations or monologues of soloists on stag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Solo Project & Korea Dance Abroad 2025 Monotanz Seoul
It has only been 15 years since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was founded, but when we want to talk about contemporary dance, we mostly refer to it as ‘contemporary dance’ or ‘contemporary dance’, and ‘contemporary dance’ is now a dead word, rarely used except when referring to the group’s name (Daegu City Dance Company, founded in 1981, a generation before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is a contemporary dance group, but does not use ‘contemporary dance’ in its name at all). And in the present, when the definition of genre has become meaningless, the important question in this ‘contemporary’ creative work is whether it contains the ‘now’ and ‘here’, not what kind of movement it shows.
In an era where the space of the stage, the definition of movement, and even the imagination of the ‘now’ and ‘here’ are rapidly disintegrating, two stages that seem to have returned to the birthplace of modern dance were presented one after another. These are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Solo Project and Korea Dance Abroad’s Monotanz Seoul.
Three colorful solos by three choreographers and three dancers
If you take away its magnificent historical nature and glittering decoration, ballet can be summarized with three keywords: wedding script, toe shoes, and duet. And the early modern dance that emerged as a counter concept to this is summarized again with women, solo, and bare feet.
When it comes to the founder of modern dance, most people think of Isadora Duncan. Her performance, which broke away from the strict formalism of ballet and showed natural body movements and emotions by going on stage barefoot, is nothing less than the epitome of the spirit of modern dance. In pursuit of naturalness, she left behind no method to speak of, and despite the fact that no dancer has inherited her dance and passed it on to future generations, her name remains at the top of the history of modern dance.
The Solo Project presented by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t the Jayu Small Theater in the Seoul Arts Center from June 6 to 8 was a meaningful stage where one could indirectly experience the spirit of early modern dance. Solo Project is a triple bill stage that brings together solo performances by three female choreographers from Korea, Japan, and Hong Kong, centered around the three keywords of ‘Asia,’ ‘women,’ and ‘modern dance.’ Since taking office, Artistic Director Kim Sung-yong has been persistently pushing the keyword “Asia” and creating various stages. Thanks to this, three choreographers who had never met each other while working in their own countries and establishing their own worlds have come together in one place.
Just the names of the three choreograp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in which three people come together to complete one stage, raise expectations. The three choreographers each team up with a Korean dancer to present a performance, and since the choreographer does not appear on stage, the performance proceeds like a two-person, one-legged race.
The performance began with Mu Yi-cheok-in’s “Red Ritual.” Mu Yi-cheok-in studied traditional Chinese dance and folk dance, then moved on to contact improvisation and postmodern dance, exploring human emotions and relationships to create new works. 〈Red Rite〉 is a work that pays homage to Pina Bausch’s 〈Rite of Spring〉, and since June, when the performance was held, was also the month that Bausch passed away, its significance as a tribute piece became even more special.
Pina Bausch’s 1975 〈Rite of Spring〉 is a work that reinterprets the meaning of primitive ritual and sacrifice, which is the theme of Nijinsky’s original work, from a woman’s perspective. Muichukin reinterprets the detailed emotions and actions of women, such as anxiety, fear, pain, and resistance, expressed in 〈Rite of Spring〉, and gives it a new title, 〈Red Rite〉, and returns it to women’s lives.
Dancer Hwang Seo-young creates a dynamic stage that seems like a duet while performing a solo dance, such as wrapping a long red cloth around her body like a red carpet, spreading it out on the floor, pulling it, or fluttering it, creating irregular curves with the movement of the cloth. The red cloth is used as various images such as the birth and death of life, war where blood calls for blood, and massacre, and it expands from the life of one woman to the entire world. Through this, the women sacrificed in “Spring Rite” are not lumped together as a collective death, but are revived as individual subjects of sacrifice and are consoled by “Red Rite.”
The second stage, 〈Jeong Rok-i, Here〉 seems to have transferred the conversation between choreographer Setsuko Yamada and dancer Jeong Rok-i to the stage. Although it is performed as a monologue by the dancer, each of his movements is a conversation with the choreographer who does not appear on stage. This conversation is a process of exploring “how” contemporary artist Jeong Rok-i exists “now” and “here,” the “how” omitted from the title.
Jeongrok's stage, which unfolds with restrained movements using joints from the fingertips to the toes, meticulously shows how movements sense time and space and what kind of story is created through them. Even a slight distraction can cause the context of the story to be lost, so the audience must also concentrate, and so the audience must follow each movement in a tense state. While all creators on the contemporary stage unanimously say "now" and "here," Yamada and Jeongrok say that they must exist as themselves before that. It is a short and simple work, but it leaves a very heavy resonance.
The last work, 〈On Air〉 is a work where you can feel the close chemistry between choreographer Minayu and dancer Im Jong-kyung, who are disciples, and it shows a very natural and comfortable develop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two works where the choreographer and dancer had to approach each other carefully. The title’s ‘On Air’ does not mean ‘on air’ as we are familiar with, but rather refers to an incident that we encounter unexpectedly in our daily lives, the scene, and the moment when we react to it.
Among the three works, this one is the most theatrically developed, and on stage, where dramatic variations are shown through the use of media such as music, lighting design, and stage sets, Lim Jong-kyung once again proved what the ‘realism’ of the stage is by controlling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with his skilled acting and commanding power.
Three different stories starting from the same object
Korea Dance Abroad has been hosting ‘Monotanz Seoul’ since 2019 in collaboration with the Monotanz Festival held at Bethlen Theater in Budapest, Hungary. The Monotanz Festival, which began in 2005 and is held every other year, is a contemporary dance festival that has highlighted the artistry and experimental nature of solo performances, and has presented various works that focus on the body, senses, and inner narrative of individual dancers through the structure of small theaters and one-person dances.
Monotanz Seoul, which was founded with the same philosophy as the Monotanz Festival, has consistently introduced works that expand the concept of monologue in theater to dance and speak about the times, identity, and social context through the body, providing the audience with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multi-layered monologues. Like the Monotanz Festival, it is held every other year, and has continued to be held in Budapest in even-numbered years and in Seoul in odd-numbered years.
In this year’s performance, which took place for three days from June 20 to 22 at the small theater of the Arko Arts Theater, the special project ‘Monoshifting’ presented on the opening stage particularly caught the eye. ‘Monoshifting’ is a project in which three dancers with different bodies and backgrounds interpret a single choreographic concept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s. Laszlo Madi, the artistic director of the Central European Dance Theater, served as the mentor for this project and completed the performance in a co-creation format with the three dancers, Seo Jeong-bin, Reka Zevnar, and Jeong Jeong-un.
Laszlo Madi defines ‘monoshifting’ as a shift or transition from the existing solo genre, and explains that ‘movement’ here is an attempt to break out of a familiar and safe area, and a journey that opens up new senses for both the dancer and the audience. The dancers unfold different stories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the common objects of books and emergency blankets.
Seo Jeong-bin, who appeared first on stag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women, and the correction of women’s behavior, under the title of 〈Posture of a Book〉. At the beginning of the performance, Seo Jeong-bin lies down and rolls around on the floor, twisting his body and distorting his face. It seems like a natural movement that comes from instinct, or like the movement of an animal before becoming human. He is the only one in the room, and the only window is blocked by an emergency blanket, so no one can see him, no matter how or how bizarrely he moves.
However, the time when he could move freely as he pleased quickly passes, and Seo Jeong-bin soon stands up straight, puts the book on his head, and begins to walk neatly. Even though he drops a book in a room where he is alone, no one punishes him, but he carefully corrects his steps by taking each step. At this time, the silver light reflecting off the emergency blanket covering the window becomes the light that illuminates his steps. Being illuminated means that he can be caught by someone’s eyes.
He, who used to move freely in a place where no one was around, has to walk upright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book from the moment he puts it on his head. The book, which is usually symbolized as a treasure trove of knowledge, is interpreted as a tool of correction, and the wit that extends it to the changes in movement and women’s issues stands out.
Reka Jebnar, who went on stage for the second time, does not give it a separate title and instead reflects on spatiality and relationships through the emergency blanket on the floor and the book in his hand. The emergency blanket that forms the silver stage under his feet could be a specific place or a specific time, and h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space with and without a blanket to conduct his daily life and live his life. Whether he leaves the blanket or not, he always has a book in his hand. Here again, a book is not a book in the dictionary and physical sense that one opens and reads to gain knowledge, but a friend or companion that is always by his side wherever he goes, or a value that he holds important.
As his last work, Jung Jung-woon, who presented 〈Boyhood〉, brings laughter to the audience by acting out the innocence and silliness of his childhood when there was nothing to be afraid of or to be afraid of, just as the title suggests. The book becomes a diary or notebook containing his resolutions and homework, and he does not forget these resolutions after closing the book, but rips the pages and sticks them on the wall to reflect on them. And after each day filled with such resolutions, he celebrates by blowing silver paper flower pollen on himself as he becomes an adult through 〈Boyhood〉.
If the Solo Project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was like watching a two-person, one-person competition completed through dialogue between a choreographer and a dancer, 〈Monoshifting〉 presented at Monotanz Seoul this year was like watching a relay race where the same object is passed like a baton and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stage. As Laszlo Madi said earlier, the audience in the audience also experiences an expansion of imagination while watching the same object being interpreted by the creators to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stage. The ‘movement’ and ‘transition’ of the stage are transferred to the audience. This impressive stage, which shows that a solo stage does not end as a monologue but leads to an interesting conversation, makes us wonder what happens next.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