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실체화된, 그러나 여전히 부유하는 유령들의 메시지: 최상철 현대무용단 〈민주주의에 말을 걸다〉

공연비평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_ 옥상훈



역사 속 개인이 겪은 사건은 후대에서 사료의 한 줄 기록이나 당사자의 불행한 삶으로 축소되어 소비되기 마련이다. 종종 프로시니엄 무대에서 이를 상상력과 예술적인 관습을 동원해 되살리지만, 그 과정에서 처절한 삶의 실존은 상당 부분 퇴색한다. 이는 현실과 괴리된 ‘창작물’의 한계이자 극복해야 할 과제다. 그래도 이런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소재를 다룰 때 대안 중 하나가 장소 특정적(site-specific) 공연이다. 그 시공간에 담긴 옛 개인의 고통과 슬픔을 체험하며 그 삶의 무게를 오늘의 관객에게 전이하는 방식이다. 


지난 6월 11-12일 서울 민주화운동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펼쳐진 〈2025 Exhibition of Democracy-민주주의에 말을 걸다〉(예술감독 김화숙, 안무 최상철)는 그 장소에 담긴 역사적 고통과 의미를 현실로 호출하는 작품이다. 1970-1980년대, 군사 독재의 폭압에 항거하는 이들을 연행해 고문이 자행됐던 이 공간은 당대를 경험하지 못한 세대에게는 그저 과거의 유물에 불과했다. 하지만 근래에 빚어진 비상식적 사건으로 인해 시대정신으로 떠오른 민주주의 이념은 독재 정권의 상징이던 이 장소를 오늘날에도 의미 있는 곳으로 만들고 있다. 이 작품은 그런 세태와 맞물려 지난 시대 민주화 운동 투사들의 실존을 ‘지금, 여기’로 소환하는 시도다.



기념관으로 탈바꿈했지만 이곳은 기본적으로 생기가 사라진 과거의 공간이다. 이를 현대의 관객 앞에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 창작진의 선택은 비극적이고 암울한 역사의 기억을 생생하게 육화(肉化)하는 연출이다. 해가 저문 후 어두워진 야외에서 시작한 공연은 건물 옥상 난간에 위태롭게 앉아 있는 남자를 조명으로 비추며 시선을 집중시킨다. 몸을 일으켜 어딘가를 응시하는 남자. 그 시선이 가리키는 대공분실 건물에서 시작되는 미디어 파사드는 단숨에 관객의 이목을 지배한다. 을씨년스러운 외벽에 프로젝션 매핑 되는 인간 형상의 파장과 균열의 이미지는 부당하게 신체를 구속당하고 훼손당했던 이들의 역사를 그려낸다. 이러한 신체 이미지의 붕괴와 해체의 서사는 잠시 후 입장할 공간에서 (과거에 벌어졌었고) 벌어질 일을 암시하는 프롤로그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그룹별로 나눠 각 공간을 체험하는 관람 형태는 굳이 ‘이머시브 퍼포먼스’라는 개념을 빌리지 않아도 관념을 넘어선 직관적 경험을 선사한다. 장소 특정적 공연의 특징은 이런 소재에서 특히 위력을 발휘한다. 극장 무대에서는 추상적인 움직임에 불과했을 몸짓은 기억의 현장에선 하나하나 구체적인 의미를 갖는다. ‘도륙된 몸과 몸’을 연출한 2층 공간에서는 폭압과 저항을 상징하는 두 남자의 먹이사슬 관계가 펼쳐진다. 위계를 다룬 단순한 구성이기는 해도 이런 장소에서는 관념이 아니라 실존의 문제로 관객의 몸에 저리게 새겨진다. 3층 ‘시각의 틈’에선 군사 독재 시절의 영상과 ‘국기에 대한 맹세’가 재생되는 LED 영상이 솔로 퍼포먼스와 어우러진다. 세뇌하듯 끊임없이 반복되는 아나운서의 멘트에 땀 흘리며 꿈틀거리는 남자의 모습은 국가 이데올로기에 박탈당한 자유, 즉 가짜 민주주의의 시대를 환기한다. 


거의 모든 공간에 고문 도구와 가해자/피해자의 흔적이 남아 있기에 어떤 이들에게 이곳은 또 하나의 서대문형무소 같은 역사적 상흔 체험의 장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최상철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민주주의가 관념이 아닌 몸을 통한 실천이라는 메시지를 안무에 담았다. 좁고 긴 복도의 좌우로 빛바랜 초록 페인트의 철문이 관람객을 기다리는 5층 공간은 이를 위한 무대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의 한계를 보여주는 두 남자의 몸부림은 여전히 그 장소를 떠도는 지박령을 연상시킨다. 이런 풍경 때문에 ‘A garden of strange flowers’라는 이 장의 제목에서는 위화감이 느껴지는데, 이런 풍경과 어울리지 않는 초현실적인 핑크빛 꽃 패턴으로 채운 영상을 보면 납득이 간다. 자유를 향한 갈망과 현실 도피의 욕망을 춤과 영상이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최상철의 안무와 미디어 아티스트 황선정의 협업이 빛나는 대목이다.




이러한 현실의 한계와 자유 욕망의 대비는 또 다른 공간인 ‘어느 날개의 기억’ 방에서 정점을 찍는다. 두 평 남짓한 좁은 공간에서 죽음 직전까지 몰렸던 영혼이 그 순간 갈망했던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죽음의 냄새만이 가득한 공간에 어울리지 않는 한 쌍의 날개 오브제, 그와 어우러지는 여성 춤꾼의 좌절과 희망의 양가적인 정서를 처연한 시선과 담담한 몸짓으로 담아낸다. 이러한 기조는 건물 밖 마당 공간에서 이어진 에필로그 장에서도 이어진다. 타악의 명인 이주희 교수가 거대한 철문 구조물을 두드리는 퍼포먼스와 그 뒤 벽체로 프로젝션되는 거대한 물결 영상은 이곳이 더 이상 폐쇄된 공간이 아닌, 새로운 가치가 흘러드는 장소임을 선언하는 행위와 같다. 역동적이고 희망적인 군무로 마무리되는 에필로그 장면은 다소 전형적이기는 하지만, 역사적 아픔이 새겨진 장소를 과거에 머무르게 두지 않고 현재와 미래의 공간으로 재생하자는 메시지는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건물 바깥에서 시작해 대공분실의 각 층에 분포된 고문의 역사는 그 시대를 통과해온 이들에겐 뒤늦은 채무감을, 그렇지 않은 젊은 세대에게는 불운한 시대의 희생자들에 대한 연민과 비슷한 감정, 독재 권력의 부당함과 잔혹함을 느끼게 한다. 퍼포먼스와 영상이 하나의 목소리를 내는 〈민주주의에 말을 걸다〉의 공간 구성은 단순히 끔찍한 고문의 현장을 재현하는 데만 치중하지 않은 균형감각이 돋보인다. 무엇보다 장소 특정적 공연의 특성을 십분 활용해 공간 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국가라는 시스템의 폭력과 공포, 그 앞에서 무력한 개인의 신체, 그럼에도 끝내 굴하지 않았던 강인한 신념들을 두루 비추는 연출은 관객에게 새삼 민주주의라는 이념의 실체를 사유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by Ok Sang-hoon



The messages of ghosts that have materialized but still float: Choi Sang-cheol Contemporary Dance Company’s 〈Speaking to Democracy〉



Incidents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history are often consumed by later generations as a single line of historical records or the unfortunate lives of the parties involved. Often, these events are revived on proscenium stages using imagination and artistic conventions, but in the process, the harsh reality of life fades considerably. This is the limitation of ‘creations’ that are disconnected from reality and a task that must be overcome. However, when dealing with materials related to such historical facts, one of the alternatives is site-specific performance. It is a way to experience the pain and sorrow of an old individual contained in that space and time and to transfer the weight of that life to today’s audience.


The 〈2025 Exhibition of Democracy-Speaking to Democracy〉 (Artistic Director Kim Hwa-sook, Choreographer Choi Sang-cheol), held at the Seoul Democracy Memorial Hall (formerly the Namyeong-dong Public Security Office) on June 11-12, is a work that calls to life the historical pain and meaning contained in that place. In the 1970s and 1980s, this space, where those protesting the military dictatorship’s oppression were taken away and tortured, was nothing more than a relic of the past for generations who did not experience that era. However, the ideology of democracy, which has emerged as the zeitgeist due to recent extraordinary events, is making this place, which was once a symbol of the dictatorship, a meaningful place even today. This work is an attempt to summon the existence of the democracy movement fighters of the past to the ‘here and now’ in line with such social conditions.


Although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emorial hall, this place is basically a space of the past that has lost its vitality. How can we revive it for a modern audience? The creative team’s choice is a production that vividly embodies the memories of tragic and dark history. The performance, which started in the dark outdoors after the sun set, focuses attention on a man sitting precariously on the railing of a building’s rooftop with lights. The man raises his body and stares somewhere. The media façade that begins at the building where the gaze points to immediately dominates the audience’s attention. The images of waves and cracks in the human figure projected onto the dreary exterior wall depict the history of those whose bodies were unjustly restrained and damaged. This narrative of the collapse and disintegration of body images effectively serves as a prologue that hints at what has happened (in the past) and will happen in the space they will enter shortly.


The form of viewing where groups experience each space provides an intuitive experience that goes beyond concepts without necessarily borrowing the concept of ‘immersive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are particularly powerful in such materials. Gestures that would have been abstract movements on a theater stage have specific meanings in the scene of memory. In the second floor space where ‘Body and Body Slaughtered’ is performed, the food chain relationship between two men symbolizing oppression and resistance unfolds. Although it is a simple composition dealing with hierarchy, in this place, it is not an idea but an existential issue that is deeply engraved on the audience’s body. In the third floor ‘Visual Crack’, a video from the military dictatorship era and an LED video playing ‘Pledge to the National Flag’ are combined with a solo performance. The image of a man sweating and squirming to the announcer’s comments that are constantly repeated as if brainwashing, evokes the era of freedom taken away by the state ideology, that is, fake democracy.


Since torture tools and traces of perpetrators/victims remain in almost every space, to some, this place may feel like another Seodaemun Prison, a place where they experience historical scars. However, Choi Sang-cheol did not stop there and choreographed the message that democracy is not an idea but a practice through the body. The fifth floor space, where faded green iron doors on both sides of a narrow and long hallway await the audience, is the stage for this. The struggles of the two men, who show the limits of reality that cannot be escaped no matter how much they struggle, remind us of the ghosts that still wander the place. Because of this scenery, the title of this chapter, ‘A garden of strange flowers,’ feels dissonant, but when you see the video filled with surreal pink flower patterns that do not match this scenery, it makes sense. This is because the dance and the video paradoxically express the longing for freedom and the desire to escape reality. This is where Choi Sang-cheol’s choreography and the collaboration of media artist Hwang Seon-jeong shine.


This contrast between the limits of reality and the desire for freedom reaches its peak in another space, the ‘Memory of a Wing.’ What kind of world did the soul, driven to the brink of death in a narrow space of about two pyeong, yearn for at that moment? A pair of wing objects that do not fit in a space filled only with the smell of death, and the ambivalent emotions of frustration and hope of a female dancer who harmonizes with them are captured with a sorrowful gaze and calm gestures. This tone continues in the epilogue chapter that continues in the courtyard outside the building. The performance of Professor Lee Ju-hee, a master of percussion, knocking on a huge iron gate structure and the huge wave video projected onto the wall behind it are like an act of declaring that this is no longer a closed space, but a place where new values flow in. The epilogue scene, which ends with a dynamic and hopeful group dance, is somewhat typical, but the message that we should not leave the place with historical pain in the past but regenerate it as a space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very effectively delivered.


The history of torture distributed on each floor of the interrogation room, start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kes those who lived through that era feel a sense of belated debt, and for the younger generation who did not, it makes them feel a sense similar to compassion for the victims of that unfortunate era, and the injustice and cruelty of the dictatorial power. The spatial composition of 〈Speaking to Democracy〉, where the performance and video speak as one, stands out for its sense of balance that does not simply focus on reproducing the horrific scene of torture. Above all, it is noteworthy that it fully utilized the characteristics of site-specific performances to show the possibility of spatial regeneration. The production, which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violence and fear of the system called the state, the helpless bodies of individuals in the face of it, and the strong beliefs that never give in, is meaningful in that it makes the audience think anew about the reality of the ideology called democrac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