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K-컬쳐를 향한 또 하나의 시도: K-컬처시리즈 〈단심(單沈)〉

공연비평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염혜규(춤평론가)

사진제공_ 국립정동극장



지난 5, 6월 국립정동극장 개관 30주년 기념 신작으로 무대에 올려졌던 〈단심(單沈)〉(5월 8일-6월 28일, 국립정동극장)은 K-컬쳐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보다 주목하게 하는 작품이다.  ‘K-컬처시리즈’는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담아내겠다는 의지를 담은 국립정동극장의 공연브랜드로서 전 세계인이 즐기는 우리의 전통 공연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표의 실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를 생각해본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소를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전 세계”를 아우를 수 있는 ‘보편성’과 “전통”이 갖는 ‘고유성’ 내지는 ‘독자성’이다. 〈단심〉은 이런 상이한 두 요소를 내용과 형식의 양 측면에서 조화시키고자 한 작품이다. 또한 세계 이전에 국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대중의 관심도가 낮은 전통 공연의 대중성 강화를 통해 이런 목표를 구체화 시키고자 하였다.


〈단심〉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고전 설화 ‘심청’을 바탕으로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작품이다. 기존의 아버지를 위한 희생으로 ‘효’를 실천하는 심청의 내면에 한 인간으로서 자신을 위해 살고자 하는 또 다른 마음이 있었으리라는 설정을 더 해 갈등하는 심청의 두 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하지만 〈단심〉은 이러한 두 개의 마음이 하나의 마음이 됨으로써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야기가 될 것임을 짐작하게 하는 제목이기도 하다.  


2023년 뉴욕 링컨센터 공연까지 서울시무용단의 〈일무〉로 함께 했던 정구호 연출가와 정혜진 안무가의 만남 또한 K-컬쳐시리즈로서의 포부를 보여준다. 특히 미니멀한 감각으로 정평이 나 있는 정구호는 시노그라피에도 이름을 올리며 각 막에 따른 무대디자인으로 〈단심〉이 갖는 고전적 색깔에 현대적인 감각을 입히고자 하였다. 모두 3막으로 이루어진 공연은 서사를 단순화시킨 반면, 무대 벽의 삼면과 바닥을 모두 LED 패널의 영상으로 덮어 공간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각 막의 정서와 극의 서사를 시각화했다. 이 같은 시각적 연출은 비언어적 매체인 춤이 가진 추상성을 보완하며 전통연희극으로서의 서사의 전달을 용이하게 해준다. 각 막 사이에 이야기하듯 엮어가는 사설인 ‘아니리’를 넣은 점 또한 판소리 창이 익숙하지 않은 관객의 극 이해를 돕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1막은 두 명의 심청을 등장시켜 바다로 뛰어들기 직전까지의 내면의 갈등을 보여준다. 흰색과 검은색 저고리의 심청으로 시각화된 심청의 두 마음,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과 깊은 감정의 결을 담기 위해 무채색의 수묵화적 이미지로 단순화한 무대, 감정의 갈등에 따라 흩날림을 더하는 배경 속 매화 등 그 목적에 부합하는 연출이다. 또한 파도치는 영상으로 무대 삼면과 바닥을 덮어 그려낸 인당수 역시 거친 파도의 사나움을 감각하기에 부족함이 없어 극적 상황을 효과적으로 고조시킨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보여지는 흑백의 극단적인 절제미는 한국적이기보다는 일본의 젠 스타일을 먼저 떠올리게 한다. 

 

두 심청이 나란히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마주 보고 호응하며 움직이다 그 호응이 깨지는 식의 안무는 심청의 내면에 갈등이 생기는 과정을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 지팡이를 빼앗는 검은 심청과 지팡이를 심봉사에게 돌려주려 하는 흰색 심청의 대립 또한 심청이의 두 마음을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 하지만 심청의 복잡한 내면을 보여준다고 하기에는 두 마음이 선과 악의 대결 구도로 단순화됐다는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 생에 대한 본능적인 욕구나 나의 삶도 중요하다 여기는 마음이 아버지에 대한 효심에 대립하는 마음이라고만 볼 수 있을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당수에 빠진 심청이 도착한 용궁의 모습을 보여주는 2막은 1막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연출한다. 파란 바다라는 고정관념을 깨는 높은 명도의 핑크빛 영상으로 뒤덮인 비현실적인 공간은 해파리를 연상시키는 해양생물의 유영으로 바닷속임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음악 또한 긴장을 더 해주는 1막과는 상반되는 분위기의 곡으로 비현실적인 분위기의 연출에 일조하고 있다. 


물고기의 지느러미와 꼬리 등을 연상시키는, 역시 핑크색 계열의 반짝이는 소재의 의상을 입은 용궁 신녀의 군무와 여왕의 춤은 2막 전체를 차지한다. 하지만 공연의 1/3에 이르는 시간 내내 이렇다 할 서사 없이 지속되는 춤은 화려한 시각적 구성으로 관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겠다는 의도 외에 다른 것을 짐작하기 어렵게 한다. 무대 전체를 사선으로 가로지르는 등의 동선과 연꽃 부채를 이용한 안무 또한 이런 구성에 대한 설득력을 높인다. 이 또한 K-컬쳐시리즈를 위한 구성일 수 있겠으나,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분량을 줄였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준다. 미약할지라도 서사적 구성으로 맥을 같이 하는 1막과 3막 사이에 위치하기에는 장시간 군무의 그 이질적인 존재감이 다소 비대하다. 그럼에도 용왕을 여왕으로 설정하여 심청을 품에 안아주는 마지막 대목은 어릴 적 세상을 떠난 엄마와 심청의 재회를 연상시키며 감동을 자아낼 뿐 아니라, 동시에 엄마없이 자라며 가졌을지 모를 심청의 결핍을 해소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이는 ‘효’에 중심이 가있던 기존 설화와 달리 심청이라는 인물의 내면을 살피고자 한 의도를 엿볼수 있다는 점에서 2막의 아쉬움을 상쇄시킨다.




3막은 육지로 올라온 심청이 왕을 만나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여는 봉사들을 위한 연회와 왕과 결혼식을 그리고 있다. 궁중무용 수제천 등이 등장하는 3막은 전체 작품에 있어 전통문화의 동시대적 감각으로의 재구성이 가장 돋보이는 부분이다. 기와지붕, 책가도, 단청 문양 등 군중 건축 요소를 그래픽 언어로 재해석한 무대 영상에서 정구호의 미니멀리즘은 효과적이다. 기와지붕 등 궁의 건축을 분해하여 재구성한 영상은 무대장치로 보여주기 힘든 평지 위에 넓게 펼쳐진 궁궐의 모습을 열린 구조의 공간감으로 무대 위에서 구현해 낸다. 한편 단청 문양을 응용한 영상은 궁 내부를 과하지 않은 절제미로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봉사들의 연회는 영상을 이용한 연출이 가장 빛을 발하는 대목이다. 연회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방을 둘러싼 흑백의 책가도 영상은 봉사들이 눈을 뜨는 순간 컬러로 바뀐다. 지팡이를 이용한 봉사들의 춤 또한 눈이 보이지 않는다는 설정을 자연스레 보여주며 해학이 넘친다.


〈단심〉은 ‘심청’의 내용 및 형식을 모두 단순화시키며 전통이 갖는 고유성을 동시대의 감각으로 풀어냄으로서 보편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그 시도의 하나인 영상을 이용한 무대디자인은 단순한 공간연출을 넘어 작품 전체를 이끌고 가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각 막을 각기 다른 색깔로 차별화하는 등 대중성과 더 나아가 글로벌 관객을 염두에 둔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 작품이다. 하지만 심청의 깊은 내면을 보여주고자 한 기획 의도의 실현은 1막에 집중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작품의 홍보에 있어 수정을 가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Yum Hye-gyu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Another attempt toward K-culture: K-culture series 〈Dansim〉



〈Dansim〉(May 8-June 28, National Jeongdong Theater), which was performed on stage as a new work commemo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in May and June, is the second work in the K-culture series and is a work that is drawing more attention. The ‘K-culture series’ is a performance brand of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that contains the will to contain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and aims to create our traditional performances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can enjoy. If we think about what is needed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two factors can be considered. The ‘universality’ that can encompass the “world” and the ‘uniqueness’ or ‘originality’ of “tradition”. 〈Dansim〉 is a work that attempts to harmonize these two different elements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form. It also attempts to concretize this goal by strengthening the popularity of traditional performances that have relatively low public interest in Korea before the world.


〈Dansim〉 is a work that reinterprets the well-known classical tale ‘Simcheong’ from a modern perspective. It attempts to show the conflicting minds of Simcheong by adding the setting that Simcheong, who practices ‘filial piety’ by sacrificing for her father, has another mind that wants to live for herself as a human being. However, 〈Dansim〉 is also a title that suggests that these two minds will become one mind and become a story we are familiar with.


The meeting of director Jeong Gu-ho and choreographer Jeong Hye-jin, who worked together with the Seoul Metropolitan Dance Company for 〈Ilmu〉 until the 2023 New York Lincoln Center performance, also shows their ambition as a K-culture series. Jeong Gu-ho, who is especially known for his minimalist sensibility, also put his name on the scenography and tried to give a modern sensibility to the classical colors of 〈Dansim〉 with stage designs for each act. The performance, which consists of three acts, simplified the narrative while visualizing the emotions of each act and the narrative of the play by covering the three sides of the stage wall and the floor with images of LED panels to create space. This visual direction complements the abstractness of dance as a nonverbal medium and facilitates the delivery of the narrative as a traditional play. The inclusion of ‘Aniri’, a narrative that is woven in between each act, was also an effective way to help audiences who are not familiar with pansori understand the play.


Act 1 features two Simcheongs and shows their inner conflicts right before they jump into the sea. The two minds of Simcheong visualized in a white and black jeogori, the stage simplified with achromatic ink-and-wash painting images to contain the invisible inner self and the knot of deep emotions, and the plum blossoms in the background that add scattering according to the emotional conflict are all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In addition, the indangsu, which covers three sides of the stage and the floor with wavy images, is also sufficient to sense the fierceness of the rough waves, effectively heightening the dramatic situation. However, the extreme restraint of black and white that is shown throughout reminds us of the Japanese Zen style rather than Korean.


The choreography in which the two Simcheongs move side by side in the same way or face each other and respond, and then the response is broken, shows the process of the conflict within Simcheong in a simple and easy-to-understand way. The conflict between the black Simcheong who takes the cane and the white Simcheong who tries to return the cane to Sim Bongsa also shows the two minds of Simcheong in an easy-to-understand way. However, it is difficult to erase the impression that the two minds have been simplified into a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rather than showing Simcheong’s complex inner self.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instinctive desire for life or the feeling that one's own life is important can be seen only as a feeling that opposes filial piety toward one's father.


Act 2, which shows the appearance of the Dragon Palace where Simcheong, who fell into the water, arrived, creates a completely different atmosphere from Act 1. The unrealistic space covered in high-brightness pink that breaks the stereotype of a blue sea is only guessed to be underwater by the swimming of marine life reminiscent of jellyfish. The music also adds tension and has a different atmosphere from Act 1, contributing to the unrealistic atmosphere.


The dance of the Dragon Palace priestesses and the queen, who are dressed in sparkling costumes reminiscent of the fins and tails of pink-colored fish, takes up the entire second act. However, the dance that continues for the entire first third of the performance without any particular narrative makes it difficult to guess that there is anything other than the intention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a spectacle through a splendid visual composition. The choreography using the lotus fan and the movement line that crosses the entire stage diagonally also enhances the persuasiveness of this composition. This may also be a composition for the K-Culture Series, but even so, if the volume had been reduced,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would have been higher. Although it is weak, its heterogeneous presence is somewhat excessive for it to be located between Act 1 and Act 3, which share the same narrative structure. Nevertheless, the last part where the Dragon King is set as the queen and embraces Simcheong is moving, reminiscent of Simcheong’s reunion with her mother who passed away when she was young, and it offsets the regret of Act 2.


Act 3 depicts Simcheong’s banquet for the servants who come up to the land to meet the king and her father, and her wedding with the king. Act 3, which features court dances such as Sujecheon, is the part where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to a contemporary sensibility stands out the most in the entire work. In the stage video that reinterprets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crowd, such as the tiled roof, the bookcase, and the Dancheong pattern, in graphic language, Jeong Gu-ho’s minimalism is effective. The video that disassembles and reconstructs the architecture of the palace, such as the tiled roof, and implements the appearance of the palace spread out on the flat ground, which is difficult to show with stage sets, with the open spatial sense of the structure on the stage. Meanwhile, the video that applies the Dancheong pattern effectively shows the interior of the palace with a restrained beauty that is not excessive. The banquet of the servants is the part where the directing using the video shines the most. The black and white bookcase video surrounding the banquet hall symbolically changes to color the moment the servants open their eyes. The dance of the servants using canes also naturally shows the setting that they are blind, and it is full of humor.


〈Dansim〉 simplifies both the content and form of ‘Simcheong’ and attempts to gain universality by interpreting the uniqueness of tradition with a contemporary sensibility. One of those attempts was the stage design using video, which went beyond simple spatial direction and played a role in leading the entire piece. It is also a piece that shows various attempts with the popularity and global audience in mind, such as differentiating each act with different colors. However, the realization of the planning intention to show Simcheong's deep inner self should be considered limited to the first act. It is doubtful whether it can be seen as a theme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piece. It seems necessary to make modifications in the promotion of the piec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