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커뮤니티댄스의 정석을 보여주며 한국의 정서를 세계로 알린 〈2025 수월래〉

공연비평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아이엔지콜라보그룹



202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 썸 페스타 선정축제 중 하나인 아츠인탱크 무용축제 in Korea(ADFK: 예술감독 최문애)가 올해로 8회를 맞이했다. 이 축제는 세계 11개국 정상급 무용가와 함께 하는 대규모 글로벌 무용축제로, 온라인 영화제도 함께 이뤄지는데 성남에서 7월에 행해졌다. 7월 1일부터 6일까지 서울과 성남 전역에서 개최되며 7월 15일부터 27일까지는 온라인에서 아츠인탱크 무용영화제가 열린다. 구체적으로 융·복합 무용축제로서 국내외 아티스트 협업, 시민 프로그램,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킹에 중점을 둔 한국 최대 규모의 국제 무용 축제란 점에서 주목 받을만했다.



축제란 모두의 참여가 중심이 되며 특별한 사건이나 시기를 기념하여 공동체가 행하는 일상적이지 않은 큰 행사를 의미한다. 종교의 성일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는데 핵심은 함께라는 상황에서 의례에 놀이 요소가 가미된다는 것이다. ADFK는 공연 관람을 넘어 예술가와 관객이 같이 호흡하는 참여형 예술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축제의 근원에 여실히 부합하고 있었다. 특히 전통 민속놀이에 기반해 유희적 요소와 전체적 대동을 동시에 도모했다는 의도가 충분히 파악가능했고, 필자는 7월 3일에 성남아트리움대극장에서 〈2025 수월래〉 그 두 번째 이야기를 관람했다. 성남이라는 도시가 대도시이며 성남아트센터와 성남아트리움 등 대규모 극장이 위치해 있고 예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만큼 글로벌한 축제를 바탕으로 더욱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본 공연은 성남문화재단 2024-2025년 성남창작예술인 다년 사업으로 선정된 프로젝트로, 2024년 한국과 캐나다 수교 60주년 캐나다 예술위원회 국제협업 선정으로 202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댄스페스티벌과 서울국제댄스페티벌 인 탱크에서 리서치 퍼포먼스를 완료했다. 당시 실내와 야외를 오가며 움직임과 영상촬영, 보이스와 음악이 조화를 이뤘고 이를 바탕으로 2025년 두 번째 이야기이자 첫 무대공연으로 성남시민과 함께하는 춤, 음악, 영상의 콜라보가 중요한 과제인 공연이었다. 또한 〈2025 수월래〉는 상생과 화합의 이야기로 캐나다국제영화제 수상단체 Migration Dance Film Project와 아이엔지콜라보그룹의 협업으로 60주년 기념 프로젝트로 이뤄졌다. 구성은 예술감독 및 총안무에 최문애, 협업 안무에 김현선, 음악에 이소연, 협업 안무에 Sandy Silva, 협업 영상에 Marlene Millar가 담당했다. 연출의 역할까지 수행한 최문애와 협업 안무를 맡은 김현선은 한국무용의 춤사위와 감성을 가미했고, 협업 안무의 Sandy Silva와 Marlene Millar는 이국적 정서를 더해 글로벌한 작품으로 진행되고 있다.


보통 추석날 보름달 아래에서 하는 대한민국의 전통 민속놀이로 중요무형문화재 8호인 ‘강강술래’는 한국의 정서와 민족성을 잘 드러내는 놀이이다. 이러한 놀이적 특성을 살리면서도 무대예술로서의 예술성을 살렸다는 점이 시선을 끌었다. 기획 의도에도 나와 있듯이 “강강술래”춤은 한국에서 유일하게 손을 잡고 추는 춤이며 달을 보고 하나의 원을 만들어 원무를 그린다. 이것은 손에 손잡고 개인이 아닌 모두가 하나되는 공존을 표방하며 달과 원의 상징성이 춤에 담겼다. 특히 캐나다 Migration Dance Film Project는 이주자들의 이야기를 영상에 담아내고자 했는데, 인간은 모두가 존중받아야 할 구성원이며 현대인들의 개별적인 삶에 대한 질문을 예리하게 던졌다. 춤, 노래, 음악은 이를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영상이라는 매체를 통해 풍경과 풍경의 장면 변화를 시도해 스토리 라인을 전개했다. 여기에 지속적인 연구와 발표가 더해지면서 이번에는 성남시를 대표하는 화합무로, 이후 캐나다 관객들에게 〈2025 수월래〉를 공유하는 것으로의 끝맺을 예정이다.




〈2025 수월래〉는 총 3개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땅의 노래는 생명을 품은 대지의 에너지를 표현했다. 바닥에 낮게 누워 움직임을 시작한 무용수들은 대지의 에너지를 채워 생명력을 분출했다. 한국춤의 근원은 땅을 딛고 호흡을 통해 춤을 추며 미적 승화를 이뤄내는데, 땅의 노래 장면이 느린 춤사위로 서로의 호흡을 느끼며 응답하고 대지의 기운으로 서막을 알렸다. 2장 하늘 바라기에서는 개인의 욕망을 위한 경쟁, 분열이 오늘날의 현실을 반영한다. 땅에서 시작해 하늘을 바라보는 우리의 모습은 고군분투(孤軍奮鬪)이나 하늘에 닿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인지 1장에 비해 활발하고 치열하게 움직이는 모습이 사실적이다. 3장 원은 모두가 함께 그리는 하나의 원을 통해 상생과 화합을 완성해냈다. 50여 명의 인원이 무대 바깥에서 이동해 무대로 올라와 펼쳐지는 공생의 이미지는 진한 여운을 남겼다. 이때 3장 원의 협력에는 호주 Edith Cowan University, 멕시코 Compania de Danza de la FAE, 미국 bbMoves, 금곡 FC, 꽃춤-아이엔지콜라보, 권명주느루무용단, 춤벗댄스 아카데미 & 스튜디오, 대광사 템플스테이가 함께 했다. 경계 없이 춤추는 몸은 하늘과 땅 사이, 그 사이에 존재하는 인간의 삶의 표명이었다. 


강강술래는 남생이놀이·멍석말이·고사리꺾기·청어엮기·문열기· 와밟기·쥔쥐새끼놀이·가마등·도굿대당기기·수건찾기·품고동·봉사놀이 등이 잇달아 놀이를 한층 즐겁게 만드는데, 〈2025 수월래〉는 이 모두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재해석과 변용을 통해 발전시켰다. 더불어 전통 강강술래의 구조와 의미를 바탕으로 현대화된 창작 화합무로 재탄생한 케이스였다. 따라서 성남시의 대표 예술 콘텐츠로 다양한 행사와 축제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점쳐본다. 또한 현대적 가사 개사, 리듬 변형, 놀이 요소의 예술화는 장르 간 융합 창작의 새로운 모델로의 방향성을 지향한다. 〈2025 수월래〉는 여러 간극을 초월해 전통, 현대, 지역, 글로벌을 연계하는 독창적인 공연으로, 예술을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회복하고자 하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 


한국과 캐나다 수교60주년 프로젝트 국제협업이라는 큰 전제 하에 공연은 그들이 원했던 ‘상생과 화합’이라는 서사를 모범적으로 보여주었으며 강강술래를 통해 한국인이 갖는 공동체의 저력을 세계로 확인시킨 무대였다. 그리고 제작과 관련된 모든 인물들이 여성이라는 점도 한번 고려할만 하다. 여성이 내포한 수용과 공존의 자세가 작품 속에도 수용되었고, 커뮤니티 댄스가 삶과 예술 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둔 과정 중심적 프로그램이라면 추후 진행될 과정의 방향도 예견케 했다. 음양오행의 조화로운 삶의 기원을 ‘지금, 여기’라는 시공간에서 펼치는 화합의 장으로 확장시킨 〈2025 수월래〉는 화려하고 스펙터클한 장면이 아니라 모두의 진정성이 담긴 장면 곳곳에서 빛을 발했다. 공연에서 파생되는 긍정적인 에너지가 참여하는 사람도, 관람하는 사람도 느껴지는 시간이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Jang Ji-w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ING Collaboration Group



2025 Suwollae, which showed the essence of community dance and introduced Korean sentiment to the world



Arts in Tank Dance Festival in Korea (ADFK: Artistic Director Choi Moon-ae), one of the festivals selected by the 2025 Korea Arts and Culture Committee Arco Some Festa, is now in its 8th year. This festival is a large-scale global dance festival with top dancers from 11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n online film festival is also held, which took place in Seongnam in July. It will be held in Seoul and Seongnam from July 1 to 6, and the Arts in Tank Dance Film Festival will be held online from July 15 to 27. Specifically, it was noteworthy as the largest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in Korea, focusing on collaboration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citizen programs, and global networking as a fusion dance festival.


A festival is a large-scale event that is not ordinary and is centered on everyone’s participation and is held by a community to commemorate a special event or period. It comes from the Latin word meaning a religious holy day, and the key point is that the ritual is combined with playful elements in a situation where people are together. ADFK is positioned as a participatory arts festival where artists and audiences breathe together, going beyond watching performances, and it is in line with the origins of a festival.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simultaneously seek playful elements and overall unity based on traditional folk games was fully understandable, and I watched the second story of 〈2025 Suwollae〉 at Seongnam Atrium Grand Theater on July 3. Seongnam is a large city with large theaters such as Seongnam Arts Center and Seongnam Atrium, and it has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art, so it was an opportunity to make a further leap forward based on a global festival.


This performance was selected as a multi-year project for Seongnam Creative Artists by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in 2024-2025, and was selected as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by the Canada Arts Council for the 6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anada in 2024, completing a research performance at the Los Angeles Dance Festival and the Seou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in Tank in 2024. At that time, it was a harmony of movement and video shooting, voice and music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and based on this, it was a performance where the collaboration of dance, music, and video with Seongnam citizens was an important task as the second story and the first stage performance in 2025. In addition, 〈2025 Suwollae〉 was a 60th anniversary commemorative project in collaboration with the Migration Dance Film Project, a Canadi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ward-winning group, and ING Collabo Group, as a story of coexistence and harmony. The composition was handled by Choi Moon-ae as artistic director and general choreography, Kim Hyun-sun as collaborative choreography, Lee So-yeon as music, Sandy Silva as collaborative choreography, and Marlene Millar as collaborative video. Choi Moon-ae, who also took on the role of director, and Kim Hyun-sun, who took on the collaborative choreography, added the dance movements and emotions of Korean dance, and Sandy Silva and Marlene Millar, who took on the collaborative choreography, added exotic emotions to create a global work.


Ganggangsullae, a traditional Korean folk game usually played under the full moon on Chuseok and designate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8, is a game that well expresses Korean emotions and nationality. It caught attention because it utilized these playful characteristics while also bringing out the artistic value of stage art. As stated in the planning intention, the “Ganggangsullae” dance is the only dance in Korea where people hold hands and dance, and they make a circle by looking at the moon. This dance symbolizes coexistence where everyone is one, not an individual, holding hands, and the symbolism of the moon and circle is included in the dance. In particular, the Canadian Migration Dance Film Project aimed to capture the stories of immigrants on film, and it sharply asked questions about the individual lives of modern people, saying that all humans should be respected members. Dance, song, and music are one means for this, and the storyline was developed by attempting to change the scenery and the scenery through the medium of video. With continued research and presentation, this time, it will end with a harmony dance representing Seongnam City, and then sharing 〈2025 Suwollae〉 with Canadian audiences.


〈2025 Suwollae〉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scenes. Chapter 1, Song of the Earth, expressed the energy of the earth that holds life. The dancers, lying low on the ground and starting their movements, filled the earth with energy and erupted with vitality. The origin of Korean dance is to dance while stepping on the ground and breathing to achieve aesthetic sublimation, and the Song of the Earth scene responded by feeling each other’s breathing with slow dance steps and announced the beginning with the energy of the earth. Chapter 2, Looking Up at the Sky, reflects the reality of today, with competition and division for personal desires. Our appearance of starting from the ground and looking up at the sky is a struggle (孤軍奮鬪), but it is not easy to reach the sky. Perhaps that is why the lively and intense movement is more realistic than in Chapter 1. Chapter 3, Circle, completed coexistence and harmony through a single circle drawn by everyone. The image of coexistence unfolding as about 50 people moved from outside the stage and came up on the stage left a deep aftertaste. At this time, the collaboration of Chapter 3 Circle included Edith Cowan University in Australia, Compania de Danza de la FAE in Mexico, bbMoves in the US, Geumgok FC, Kkotchum-ING Collaboration, Kwon Myung-joo Neuru Dance Company, Chumbut Dance Academy & Studio, and Daegwangsa Temple Stay. The body dancing without boundaries was a representation of human life existing between the sky and the earth, in between. 


Ganggangsullae is a series of games that make the play even more enjoyable, including Namsaengi Nori, Meongseokmalli, Gosari Kkeokgi, Cheongeo Yeolgi, Munyeolgi, Wabalgi, Junjwisaegi Nori, Gamadeng, Dogutdaedanggi, Sugeonchagi, Pumgodong, and Bongsa Nori. However, 〈2025 Suwollae〉 developed them through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rather than simply accepting them all. In addition, it was a case of rebirth as a modernized creative harmony dance based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raditional Ganggangsulla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events and festivals as a representative art content of Seongnam City. In addition, the modern lyrics, rhythm modification, and artisticization of play elements aim for a new model of genre-interdisciplinary creation. 〈2025 Suwollae〉 is a unique performance that connects tradition, modernity, region, and globality by transcending various gaps, and was a meaningful attempt to restore the value of the community through art.


Under the grand premise of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project for the 6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anada, the performance exemplified the narrative of ‘coexistence and harmony’ that they wanted, and it was a stage that confirmed the community power of Koreans to the world through Ganggangsullae. It is also worth considering that all the people involved in the production were women. The attitude of acceptance and coexistence implied by women was also incorporated into the work, and if community dance is a process-centered program tha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art, it also foreshadowed the direction of the process that will proceed in the future. 〈2025 Suwollae〉, which expanded the origin of the harmonious life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into a place of harmony unfolding in the space and time of ‘now, here,’ shone not in flashy and spectacular scenes but in scenes containing everyone’s sincerity. It was a time when both the participants and the audience could feel the positive energy derived from the performanc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