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남성성 혹은 남자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 하나: 뉴어드벤처스 〈백조의 호수〉

공연비평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LG아트센터



영화 〈빌리 엘리어트〉에는 주인공 빌리가 발레에 이끌리는 스스로를 향해 “남자가 발레라니, 호모나 하는 거지”라며 동성애 혐오를 드러내거나, 빌리의 발레 수업을 반대하는 아버지가 “남자는 축구나 권투, 레슬링을 해야지. 네가 아버지 얼굴에 먹칠을 하는구나”라며 발레가 ‘남자답지 못한’ 예술이라는 편견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나온다.



영화가 개봉된 지 4반세기가 지나는 동안 영화를 원작으로 한 동명 뮤지컬이 전 세계에서 공연되며 유소년들에게 발레에 대한 꿈을 심어주고 있고, 최근에는 춤 서바이벌 〈스테이지 파이터〉가 남성 무용수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며 이 같은 편견에 정면으로 도전한 바 있지만, 발레에 대한, 그리고 무용에 대한 고정관념은 아직 강고하다.


여전히 무용 무대는 여성의 것이라는 성별 고정관념에 붙들려 있기에 남성이 다수 오르거나 남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무대는 무용 무대의 전형을 깨트린 것으로 여겨지며 혁신이라는 수식어를 쉽게 획득한다. 마치 그동안 여성들이 만들어온 무대가 게으름의 결과이거나 결핍된 무엇이었다는 듯이.


하여 본고에서는 두 편의 남성 중심 무대를 통해 남성성 혹은 남자다움이라는 통념에 대해 창작자들이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살핀다. 어느덧 30주년을 맞이한 매튜 본 안무의 〈백조의 호수〉와 국립무용단이 예효승 안무로 선보인 신작 〈파이브 바이브〉다. 본고에서는 〈백조의 호수〉를 먼저 살피고 다음 편에서는 〈파이브 바이브〉를 다룬다.


영국 왕실 스캔들에서 시작된 남성 백조의 전설


매튜 본이 이끄는 뉴어드벤처스가 대표작 〈백조의 호수〉를 다시 한번 선보였다. 2003년 LG아트센터에서 국내 관객들 앞에 첫선을 보인 뒤 지금까지 여섯 차례 내한 공연이 올려지며 1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화제작이다. 1995년 영국 새들러스웰스 극장에서 초연이 올려진 후 30주년을 기념해 투어 공연에 나선 뉴어드벤처스와 올해로 개관 25주년을 맞은 LG아트센터 측의 이해가 맞물리며 성사된 이번 공연은 지난 6월 18일부터 29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 LG시그니처홀에서 11일간 16회차의 공연이 올려지며 변함없는 인기를 과시했다.



원작의 처연하고 서정적인 여성 군무를 남성 무용수들의 파워풀한 군무로 바꾸며 당대 공연계에 충격을 안긴 작품은 백조라는 모티브만을 남기고 아예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었다. 영국 왕실을 배경으로 어머니의 애정을 갈구하는 유약한 왕자와 그를 아들이 아니라 왕자로만 대하는 여왕, 왕자에게 구원처럼 다가오는 백조와 그를 꼭 닮은 낯선 남자, 왕자를 유혹하기 위해 접근하는 젊은 여자 등이 뒤얽혀 인간성을 제거하는 삭막한 왕실과 인간으로서의 본능과 욕망의 대립을 이야기한다.


매튜 본은 90년대 영국은 물론 전 세계를 뒤흔든 영국 왕실 스캔들, 찰스와 다이애나, 카밀라의 삼각관계에서 작품의 영감을 얻었다. 드라마로, 영화로, 현재까지도 끊임없이 리메이크되며 창작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이 왕실 스캔들은 1995년 다이애나 당시 왕세자빈이 BBC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결혼생활에는 세 사람이 있었다고 고백하며 점화되었다.


매튜 본은 불륜의 피해자인 다이애나가 아니라 왕자라는 신분의 제약에 묶여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수 없었던 찰스의 내적 고통에 주목했다. 프티파의 〈백조의 호수〉 원작에서 성인이 된 왕자는 어머니인 여왕으로부터 왕자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며 결혼을 강요받고, 다이애나의 인터뷰와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 초연이 있었던 1995년은 영국에서 아직 동성혼이 합법화되기 전이었다. 매튜 본이 남편의 불륜으로 고통받은 다이애나가 아니라 사랑 없는 결혼을 해야 했던 찰스에게 깊이 감정이입한 이유다.


다만 찰스에 대한 매튜 본의 이 같은 연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찰스와 다이애나의 결혼을 성소수자 남성의 위장결혼과 등치시키고 찰스와 카밀라의 관계를 흔한 불륜이 아니라 평등혼으로부터 소외된 성소수자 커플로 위치를 이동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 연민은 피해자와 가해자를 뒤바꾸는 왜곡된 결론에 도달한다는 점에서 여성 피해자보다 남성 피해자에게 공감하고 감정이입하는 ‘힘패시(himpathy)’ 현상과 연결된다.


비정한 모성, 연약한 남성성


매튜 본의 주인공 왕자는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하지만 그의 사랑은 대부분 배신으로 끝난다. 여왕은 아들의 어머니가 아니라 왕자의 군주로서 존재하며 어린 왕자를 방치하고 다른 남자의 유혹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해 준다고 믿었던 여자친구는 여왕의 비서가 보낸 스파이로, 그를 순수하게 남자로 바라본 게 아니라 왕자라는 이유로 접근한 불순한 목적을 들키고 만다.



절망에 빠져 자살을 기도하는 왕자를 구해준 것은 호수의 백조다. 백조의 사랑을 통해 살아갈 용기를 되찾은 왕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왕실 무도회에 백조와 똑같이 생긴 남자가 나타나 여왕을 유혹하자 혼란에 빠진다. 여왕이 남자와 재혼할 거라는 소문이 퍼지자 왕자는 여왕에게 총을 겨누고,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나선 비서는 왕자의 여자친구를 총으로 쏘아 살해한다. 충격을 받은 왕자는 시름시름 앓다 백조의 품에 안겨 세상을 떠나고, 여왕은 그제야 아들의 시신을 안고 오열한다.


무도회에 나타난 낯선 남자가 비서의 아들이라는 해석도 존재하는데, 낯선 남자가 백조와 똑같이 생겼다는 설정, 그리고 원작에서 로트바르트와 오딜의 관계성을 떠올린다면 납득이 가는 해석이다. 비서는 원작의 로트바르트만큼 강렬한 존재감을 보이는 인물은 아니지만 여왕과의 사이를 이간질하고 왕자를 심리적으로 조종하기 위해 젊은 여자를 포섭해 왕자의 여자친구로 만들고 왕자가 정신적으로 혼란에 빠지자 여자를 살해하는 등 악역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다.



무용평론가들이나 문화부 공연 담당 기자들의 리뷰가 대부분 남성 백조들이 펼치는 강렬한 군무에 대한 상찬에 할애되는 탓에 작품에 내재된 짙은 여성혐오에 대해서는 거의 지적되지 않는다. 이는 작품을 아껴 그와 같은 지적을 유보하는 것이 아니라 이 작품의 가장 강력한 관전 포인트인 남성 백조라는 콘셉트, 그리고 원작의 여성 군무를 남성 군무로 옮겨놓은 남성이라는 렌즈가 이 작품의 여성에 대해 말하는 것이 적절치 않은 듯한 압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작품은 표면적으로 왕자가 짊어진 왕실의 무게를 통해 남성성 혹은 남자다움이라는 맨박스에 대한 비판으로 읽을 수 있다. 왕자는 왕실의 의무에 묶여 그 자신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자연스러운 본능을 억누르며 의전과 예장을 통한 상징으로 살아가야 하는 불행한 존재다. 하지만 왕자에게 왕자다울 것을 주문하는 주체가 어머니인 여왕이고, 여왕은 어머니로서의 의무는 방기하는 한편, 애정을 갈구하는 아들을 외면하고 낯선 남자의 유혹에 넘어감으로써 군주로서의 의무 또한 방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왕실로 대표되는 신분제 사회가 가족애와 인간성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작동한다면 비판이 겨냥해야 할 과녁 역시 왕실이 되어야 할 것이나 작품은 여왕을 과녁으로 세우고 이를 모성애의 문제로 치환한다. 


성별 고정관념 타파에 가려진 여성혐오


여왕보다 더욱 문제적인 것은 여자친구의 조형이다. 발레 무대에서의 죽음은 결혼 각본 위에서 전개되는 줄거리상 사랑과 구원에 관계되는 숭고한 것으로 그려지기 마련이고, 연극 무대로 확장해 결혼각본에서 벗어나더라도 죽음은 국가 혹은 사회의 승계와 관계되거나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함으로써 숭고함을 획득한다. 그리고 이 작품의 왕자 역시 왕실의 비인간성과 여왕의 비정한 모성을 고발하는 숭고한 죽음을 맞이한다.



그러나 비서에게 총을 맞아 목숨을 잃는 여자친구의 죽음은 맥거핀조차 되지 못하고, 맥거핀이 유발하는 긴장감조차 없이 소모된다. 그는 왕자의 기만자로 등장했다가 쓸모가 다하자 버려진다. 이 죽음은 무엇도 고발하지 않고 어떤 의미도 부여받지 못하며 누구의 동정도 연민도 받지 못하는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것이다. 이 여자친구라는 인물은 남성에게 특정 이득을 취하기 위해 접근하는 소위 ‘꽃뱀’에 대한 매튜 본의 혐오를 보여주는데, 매튜 본은 2000년 작 〈카 맨〉에서도 여성이 마음만 먹으면 남성을 강간범으로 만들 수 있다는 남성 사회에 팽배한 ‘무고 신화’를 작품 속에 심은 바 있다.


『제인 에어』를 읽은 진 리스는 분개하며 이렇게 말했다. “단지 한쪽 면일 뿐이잖아. ― 영국 쪽 말이야.” 그러고 나서 리스는 『제인 에어』의 프리퀄이나 다름없는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를 쓰며 영국 쪽이 아닌 다른 쪽을 조명했다. 〈백조의 호수〉는 30주년을 맞아 ‘넥스트 제너레이션’이라는 이름 아래 다음 세대로 영향력을 확장하며 투어를 이어가고 있는데, 이 작품에 대해 지난 30년간 성별 고정관념을 깨트린 혁신의 측면에서 말해 왔다면, 이제는 이 작품이 30년간 재생산해 온 여성혐오와 힘패시에 대해서도 말해야 할 것이다. ‘넥스트 제너레이션’을 위해서라면 더더욱 그래야 할 것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Danwoo Yoon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 provided by LG Arts Center



An Answer to What Masculinity or Manliness Is: New Adventures, Swan Lake


 

In the movie Billy Elliot, there are scenes where the main character Billy, who is attracted to ballet, expresses homophobia by saying, “A man should do ballet, he’s a homosexual,” and his father, who opposes Billy’s ballet lessons, says, “A man should do soccer, boxing, or wrestling. You’re ruining his father’s face,” showing his prejudice that ballet is an “unmanly” art.


In the four and a half centuries since the film was released, the musical of the same name based on the film has been performed around the world, planting dreams of ballet in young people, and recently, the dance survival show 〈Stage Fighter〉 has challenged this prejudice head-on by focusing on male dancers. However, the stereotypes about ballet and dance are still strong.


Since the gender stereotype that the dance stage is still held by women is still strong, a stage where many men perform or talk about men is considered to have broken the stereotype of the dance stage and easily receives the modifier of innovation. As if the stages created by women up until now were the result of laziness or something lacking.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how creators approach the stereotype of masculinity or manliness through two male-centered stages. Matthew Bourne's 〈Swan Lake〉, which is now celebrating its 30th anniversary, and the National Dance Company's new work 〈Five Vibes〉, choreographed by Ye Hyo-seung. In this article, we will first look at 〈Swan Lake〉 and then 〈Five Vibes〉 in the next article.


The legend of the male swan that started from a scandal in the British royal family


New Adventures, led by Matthew Bourne, has once again presented their masterpiece 〈Swan Lake〉. Since its debut in front of domestic audiences at the LG Arts Center in 2003, it has been performed six times in Korea and has attracted over 100,000 audiences. This performance, which was made possible by the combined interests of New Adventures, who celebrated its 30th anniversary after its premiere at the Sadler’s Wells Theatre in England in 1995, and LG Arts Center, which is celebrating its 25th anniversary this year, was held for 16 performances over 11 days from June 18 to 29 at the LG Arts Center’s Seoul LG Signature Hall, and showed off its consistent popularity.


The original work, which shocked the performing arts world at the time by changing the original's sad and lyrical female corps de ballet into a powerful corps de ballet by male dancers, created a completely new story, leaving only the motif of the swan. Set in the British royal family, it tells the story of a weak prince who longs for his mother's affection, a queen who treats him only as a prince, not a son, a swan who approaches the prince as salvation, a strange man who looks exactly like him, and a young woman who approaches the prince to seduce him, intertwining them to tell the story of a bleak royal family that eliminates humanity and the conflict between human instincts and desires.


Matthew Vaughn was inspired by the British royal scandal that shook Britain and the entire world in the 90s, the love triangle between Charles, Diana, and Camilla. This royal scandal, which has been continuously remade into dramas, movies, and even today, and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from creators, was ignited in 1995 when then-Princess Diana confessed in an interview with the BBC that there were three people in her marriage.


Matthew Bourne focused on the inner pain of Charles, who was unable to be with the person he truly loved due to the constraints of his status as a prince, rather than on Diana, who was the victim of an affair. In Petipa's original 〈Swan Lake〉, the adult prince is forced to marry by his mother, the queen, to fulfill his duties as a prince, and in 1995, when Diana's interview and Matthew Bourne's 〈Swan Lake〉 premiered, same-sex marriage had not yet been legalized in the UK. This is why Matthew Bourne deeply empathized with Charles, who had to enter into a loveless marriage, rather than with Diana, who suffered from her husband's affair.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Matthew Bourne's compassion for Char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harles and Diana's marriage must be equated with the sham marriage of a sexual minority m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les and Camilla must be repositioned from a common affair to a sexual minority couple alienated from equal marriage. And this compassion is connected to the phenomenon of ‘himpathy’, which sympathizes and empathizes with male victims more than female victims, in that it reaches a distorted conclusion that reverses the roles of victim and perpetrator.


Cruel motherhood, weak masculinity


Matthew Bourne’s protagonist, the prince, constantly longs for love, but his love mostly ends in betrayal. The queen exists not as the mother of her son but as the prince’s monarch, neglecting the young prince and accepting the seduction of another man, and the girlfriend who he believed truly loved him is a spy sent by the queen’s secretary, and she approaches him not because she sees him as a man, but because he is a prince, and her impure intentions are discovered.


The swan of the lake saves the prince from despair as he attempts suicide. The prince, who regains the courage to live through the swan’s love, soon falls into confusion when a man who looks exactly like the swan appears at the royal ball and seduces the queen. When rumors spread that the queen would remarry a man, the prince points a gun at the queen, and the secretary, who came out to deal with the situation, shoots and kills the prince's girlfriend. The shocked prince dies in agony in the arms of a swan, and only then does the queen hold her son's body and cry.


There is also an interpretation that the strange man who appeared at the ball is the secretary's son, which is understandable if you consider the setting that the strange man looks exactly like a sw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thbart and Odile in the original. The secretary does not have as strong a presence as Rothbart in the original, but she fully displays her villainous side by sowing discord between the queen and the prince and psychologically manipulating him by recruiting a young woman to become the prince's girlfriend, and when the prince becomes mentally unstable, she kills the woman.


Since most reviews by dance critics or culture reporters are devoted to praising the powerful corps de ballet performed by the male swans, the work’s inherently deep misogyny is rarely pointed out. This is not because the work is spared from such criticism, but because the concept of male swans, the work’s strongest point of observation, and the lens of men who have transferred the original female corps de ballet to male corps de ballet, work as pressures that make it seem inappropriate to talk about women in this work.


On the surface, the work can be read as a critique of the man box of masculinity or manliness through the weight of the royal family that the prince carries. The prince is an unfortunate being who is bound by royal duties and cannot exist as himself, suppressing his natural instincts and living as a symbol through ceremonies and formalities. However, the subject who orders the prince to be a prince is the queen, the mother, and while the queen abandons her duties as a mother, she also abandons her duties as a monarch by turning away from her son who longs for affection and falling for the seduction of a strange man. If the class society represented by the royal family is the cause of destroying family love and humanity, then the target of criticism should also be the royal family, but the work sets the queen as the target and replaces it with the issue of maternal love.


Misogyny hidden in breaking gender stereotypes


More problematic than the queen is the girlfriend's appearance. Death on the ballet stage is usually depicted as something sublime related to love and salvation in the plot that unfolds on the wedding script, and even if it expands to the stage and deviates from the wedding script, death acquires sublimity by being related to the succession of the nation or society or by denouncing the absurdity of society. And the prince in this work also meets a sublime death that denounces the inhumanity of the royal family and the queen's cruel maternal love.


However, the death of the girlfriend, who is shot by the secretary and loses her life, does not even become a MacGuffin, and is consumed without even the tension that a MacGuffin causes. He appears as the prince's deceiver and is abandoned when his usefulness runs out. This death is meaningless and worthless, not indicting anything, not given any meaning, and not receiving any sympathy or pity from anyone. This girlfriend character shows Matthew Vaughn’s disgust for the so-called ‘gold-snake’ who approaches men for a specific benefit. Matthew Vaughn also planted the ‘myth of innocence’ prevalent in male society in his 2000 work 〈Car Man〉, in which women can make men rapists if they want to.


After reading 『Jane Eyre』, Jean Rhys said indignantly, “That’s only one side of it – the British side.” Then Rhys wrote 『The Wide Sargasso Sea』, which is basically a prequel to 『Jane Eyre』, and shed light on the other side, not the British side. As 〈Swan Lake〉 celebrates its 30th anniversary, it continues its tour under the name of “Next Generation,” expanding its influence to the next generation. If we have talked about this work in terms of the innovation that broke gender stereotypes over the past 30 years, we should now talk about the misogyny and powerlessness that this work has reproduced for 30 years.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e “Next Generation.”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