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남성성 혹은 남자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 둘: 국립무용단 〈파이브 바이브〉

공연비평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국립극장



국립극장은 국립무용단의 신작 〈파이브 바이브〉로 2024-25 국립레퍼토리시즌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6월 25일부터 29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올려진 공연은 예효승이 안무와 연출을 맡고, 박진영이 콘셉트와 구성을 다듬었다. 관객들에게는 지난 5월 공연된 국립현대무용단의 〈우리는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에 이어 다시 한번 이들의 파트너십을 확인할 기회가 되었다.



제목의 ‘파이브 바이브’는 미국 안무가 가브리엘 로스의 ‘파이브 리듬’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1970년대 로스는 원래 하나였던 몸과 영혼이 사회적 도그마에 의해 분리되었음을 깨닫고 혼돈, 흐름, 정적, 스타카토, 서정성이라는 다섯 가지 키워드를 통해 몸과 영혼이 일치를 느끼는 황홀경의 상태를 추구하고자 했다. 로스의 이 같은 접근은 명상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고, 창작의 방법론으로서의 춤 메소드보다는 춤 테라피로 발전해 예술치료의 한 흐름을 형성했다.


〈파이브 바이브〉는 ‘몸의 연기(緣起)’를 작품의 출발점으로 삼아 한국춤을 한국춤으로 만드는 본질적인 감각을 탐색했다. ‘緣起’란 불교에서 모든 현상은 상호 관계라는 인과 속에 생성되고 소멸되며, 따라서 인연이 없으면 결과도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다. 예효승과 박진영은 국립무용단이 축적해 온 ‘시간’을 어떻게 춤으로 사유할 수 있을지 고민했고, ‘몸의 연기’를 통해 이 축적된 ‘시간’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춤의 감각을 선, 장단, 숨, 흥, 시간이라는 다섯 개의 키워드로 정리하고, 이 키워드를 통해 움직임을 만들어 나갔다.


‘남성’이라는 디폴트(default)


〈파이브 바이브〉는 20대부터 50대까지, 몸에 축적된 시간성은 물론 각자의 몸에 내재된 장단도, 숨도, 흥도 다 다른 20명의 무용수가 함께했다. 전원 남성 무용수로 구성되어 상반기 화제작이었던 〈미인〉과 자연스러운 비교가 되었다. 예효승은 이 같은 선택에 대해 “팔다리를 주로 사용하는 창작춤에는 남자의 거친 에너지가 안 느껴졌”다며, “몸 전체를 쓰고 싶어 아크로바틱을 가져왔다”고 설명한다. 안무에 있어 무용수들의 기교가 아니라 몸 자체를 도구로 사용했다는 의미다.



공연은 AI가 생성한 근미래가 펼쳐지는 영상을 배경으로 무용수들 한 명 한 명이 런웨이에서 캣워크를 하듯 무대로 걸어 나오며 시작된다. 이 캣워크는 〈미인〉에서도 현대성을 보여주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 활용되었지만 두 작품의 캣워크는 동작만 같을 뿐 그 의미는 전혀 다르다. 〈미인〉에서 여성의 아름다움 혹은 아름다운 여성의 대표성을 보여주기 위한 상징으로 패션모델의 캣워크를 차용했다면 〈파이브 바이브〉의 무용수들은 ‘나 자신’으로 존재하기 위해 무대 위를 걷는다.

 

〈미인〉이 무용수들이 입은 의상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여성=꾸밈=아름다움’이라는 공식을 완성해 사회적 여성성을 공고히 하고 있는 것과 달리 〈파이브 바이브〉는 무용수들이 단순하고 장식 없는 바디슈트를 입고 나와 자신의 몸과 그 몸에 체화된 호흡, 그리고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움직임을 보여줌으로써 나 자신으로 존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예효승은 이 장면을 “국립무용단 역사를 상징하는 장면”이라고 말하며 “단원들의 개별적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려고” 캣워크를 차용했다고 의도를 설명한다. 바닥을 구르고 일어나 걷고 뛰어오르고 달리고 뭉쳤다 흩어지며 춤추는 내내 무용수들은 저마다 개별적인 우주로 존재하는 동시에 한데 모여 새로운 우주를 만들어낸다. 이는 ‘나 자신’으로 충분한 자신감과 그 자신감의 근거가 되는 몸에 누적된 시간이다. 


남성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미인〉과 〈파이브 바이브〉의, 이처럼 같은 출발점에서 시작된 걸음은 결과적으로 전혀 다른 도착지에 가 닿는다. 〈미인〉의 무용수들이 아름다움의 도구로 종속되어 본연의 모습이 아니라 꾸밈으로 아름다움을 획득해야만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면 〈파이브 바이브〉의 무용수들은 과거에서 현재로 이르는 이 시간성을 통해 다시 미래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이들에게 주어진 과제는 오로지 자기 자신일 것, 그뿐이다. 이 같은 다른 방향성은 두 작품이 여성과 남성으로 성별화되며 결국 다른 결론에 도달한다. 여성은 꾸며서 아름다워져야 비로소 여성이 되며, 남성은 남성인 본연의 모습 그대로 인간이 된다는 것이다.


나는 〈우리는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의 리뷰에서 이들이 던진 ‘왜 움직이는가’라는 질문이 ‘너는 왜 너로 존재하는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으로 연결된다고 썼다. 그리고 본고는 이들이 던진 ‘우리의 몸은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또 다른 질문에 대해 ‘남성의 몸이 본연의 모습으로 존재할 때 왜 여성의 몸은 그럴 수 없는가’라는 새로운 질문을 연결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겠다. 이 질문이 〈파이브 바이브〉를 넘어 〈미인〉에까지 가 닿을 수 있다면 공연을 보고 글을 쓰는 보람이 있을 것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Danwoo Yoon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s provided by National Theater of Korea



Two Answers to What Masculinity or Manliness Is: National Dance Company's 〈Five Vibes〉



The National Theater has concluded the 2024-25 National Repertory Season with the National Dance Company’s new work 〈Five Vibes〉. The performance, which was held at the National Theater’s Daloreum Theater from June 25 to 29, was choreographed and directed by Ye Hyo-seung, and the concept and composition were refined by Park Jin-young. It was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once again confirm their partnership, following the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s 〈We Had No Choice But to Move〉 performed in May.


The title, “Five Vibes” is inspired by American choreographer Gabriel Roth’s “Five Rhythms.” In the 1970s, Roth realized that the body and soul, which were originally one, were separated by social dogma, and sought to pursue a state of ecstasy where the body and soul feel one through five keywords: chaos, flow, stillness, staccato, and lyricism. Roth’s approach gave birth to a new genre called meditative dance, and developed from dance method as a creative methodology to dance therapy, forming a new trend in art therapy.


〈Five Vibes〉 explores the essential sense of making Korean dance Korean dance by using “the karma of the body (緣起)”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work. “緣起” is a term used in Buddhism to mean that all phenomena are created and destroyed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mutual relationships, and therefore, if there is no karma, no result is created. Ye Hyo-seung and Park Jin-young pondered how to think about the ‘time’ accumulated by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through dance, and tried to reveal this accumulated ‘time’ through ‘body performance.’ To this end, they organized the sense of Korean dance into five keywords: line, rhythm, breath, excitement, and time, and created movements through these keywords.


The default of ‘male’


〈Five Vibes〉 featured 20 dancers in their 20s to 50s, each with their own unique rhythm, breath, and excitement, as well as the accumulated time in their bodies. It was composed entirely of male dancers, making for a natural comparison with 〈Beauty〉, which was a hot topic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Ye Hyo-seung explained this choice, saying, “I didn’t feel the rough energy of men in creative dances that mainly use arms and legs,” and “I wanted to use my entire body, so I brought in acrobatics.” This means that the dancers’ techniques, not their own bodies, were used as tools in the choreography.


The performance begins with the dancers walking out onto the stage one by one like a catwalk on a runway against the backdrop of a near-future video generated by AI. This catwalk was also used as an important device to show modernity in 〈Beauty〉 but the catwalks in the two works are completely different in meaning, although their movements are the same. While 〈Beauty〉 borrowed the catwalk of a fashion model as a symbol to show the beauty of women or the representation of beautiful women, the dancers in 〈Five Vibes〉 walk on the stage to exist as “themselves.”


Unlike 〈Beauty〉, which emphasizes the beauty of the costumes worn by the dancers and thereby solidifies the formula of “women = decoration = beauty,” 〈Five Vibes〉 shows the dancers wearing simple, unadorned bodysuits, and shows their bodies, the breathing embodied in those bodies, and the movements that naturally emerge, thereby saying that it is enough to exist as themselves.


Yehyoseung describes this scene as “a scene that symbolizes the history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and explains her intention to borrow the catwalk “to show the individual identities of the members.” While dancing, rolling on the floor, getting up, walking, jumping, running, gathering, and dispersing, the dancers exist as individual universes while coming together to create a new universe. This is the time accumulated in the body that is sufficient confidence as “myself” and the basis of that confidence.


How do men become “humans”?


The steps of 〈Beauty〉 and 〈Five Vibes〉 that started from the same starting point end up reaching completely different destinations. While the dancers of 〈Beauty〉 were subordinated to tools of beauty and had to acquire beauty through decoration rather than their original appearance, the dancers of 〈Five Vibes〉 were able to move forward into the future through this temporality that go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task given to them is only themselves, that’s all. These different directions lead to the two works being gendered as female and male, and ultimately reaching different conclusions. Women become women only when they are made beautiful through decoration, and men become human beings as they are in their original male form.


In my review of 〈We Had No Choice but to Move〉 I wrote that the question they raised, “Why do we move?” leads to the ontological question, “Why do you exist as you?” And I will conclude this paper by connecting the new question they raised, “How do our bodies exist?” to the question, “Why can’t women’s bodies exist as they are in their original form?” If this question can reach beyond 〈Five Vibes〉 and reach 〈Beauty〉 it will be worthwhile to see the performance and write about it.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