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20-1 (2025.8.5.) 발행
글_ 손현철(前 KBS 교양다큐 프로듀서, 시인)
사진_ ⓒ대학로극장 쿼드·황승택
요즘 모든 지적 활동의 필수도구가 된 생성형 AI에게 현대무용 안무를 맡겨보면 어떨까? 궁금해서 한 모델을 선택해 이런 과제를 줘봤다.
남자 무용수 4명 여자 무용수 4명으로 40분짜리 현대무용 한 편을 안무해줘. 20대 청춘들의 삶의 고민, 즉 사랑과 이별, 진로 갈등, 어울림과 소외 등을 주제로, 무용수 8명의 체험과 감정이 잘 드러나게 5분짜리 8꼭지로.
AI는 눈 깜짝할 사이에 그럴듯한 안을 내놨다. 전체 제목, 각 꼭지의 제목과 내용을 담아서.
제목: 〈잠시, 청춘〉(Pause: Youth)
주제: 사랑, 이별, 진로 갈등, 우정과 외로움, 경쟁과 정체성의 흔들림 등
20대 청춘의 단37절과 연결, 몰입과 이탈을 춤으로 풀어냄.
무용수 구성: 남자 무용수 4명 (M1 ~ M4) 여자 무용수 4명 (F1 ~ F4)
구성은 5분짜리 8개의 시퀀스(총 40분)로 이루어진 옴니버스 형식이지만, 전체적으로 유기적 흐름을 유지합니다. 각 시퀀스는 한 명 또는 둘 이상의 무용수 중심으로 진행되며, 점점 개인 → 관계 → 집단 → 통합으로 확장됩니다.
1. “독백” 5분 F1 진로 혼란 / 부모 기대와 자아
2. “우리 사이 거리” 5분 M2 & F2 사랑과 소통의 단절
3. “클릭, 좋아요” 5분 M1, F3, M4 SNS 속 인기와 소외
4. “침묵의 우정” 5분 F4 & F1 친구와의 경쟁 / 침묵 속 충돌
5. “모르는 얼굴” 5분 M3 자기 혐오 / 거울 앞의 분열
6. “1인용 춤” 5분 전원 개인화된 도시 속의 고립감
7. “이별의 뒤끝” 5분 F2, M2, F3, M4 관계 붕괴 후 각자의 방향
8. “다시, 연결” 5분 전원 청춘의 연대, 마주침, 새로운 시작
각 시퀀스의 안무 마킹 시트나 음악 큐시트, 무용수별 동선도도 추가로 드릴 수 있어요. 어떤 방식으로 발전시키고 싶으신가요?
이 정도면 처리 속도에는 놀랄지언정 창의성 면에서는 뭐 큰 감흥은 없다. 어쩌나 보려고 다음 단계를 요구하자, AI는 시퀀스별 주요 동작 및 감정 흐름이 담긴 안무 마킹 시트(Choreographic Marking Sheet), 무용수별 입장 위치, 시작 동작-중간-클라이맥스-종료 동작으로 짜인 무용수별 동선표, 음악 스타일-효과음이 포함된 꼭지별 음악 큐시트를 주르륵 쏟아낸다. 실제 안무 적용 여부를 떠나서 처리의 신속성, 질문자의 의도 파악 정확성은 혀를 내두를 지경이다. 안무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 번 춤 만들기에 도전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꼭 필요한 조언도 잊지 않고 내놓는다.
시퀀스별 감정 키워드(예: 불안→분노→해방)를 각 무용수와 공유하며 감정선 리허설 필요
수많은 안무 자료를 학습한 결과 저 정도의 기획안을 짤 수 있다는 건 충분히 이해 가 가능하다. 필자가 너무 놀라웠던 건, 춤 구조 창작에 뛰어난 안무가일수록 깜빡하기 쉬운 ‘감정선이 중요하다는’ 조언을 AI가 했다는 사실이다. 얼마 전 ‘리케이댄스’ 무용단의 작품 〈All the World’s〉를 보고 나서 뭔가 아쉬운 점이 자꾸 걸리던 참이어서 더욱 그랬다.
안무가 이경은은 탄탄한 구조 전문가다. 구성과 짜임새의 철저함에선 국내 그 누구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그의 무대는 처음부터 끝까지 디자인과 배열이 지배하는 춤의 잔치이다. 무용수의 움직임 하나하나가 안무가가 의도한 공간의 질서를 반영하고 확장해간다. 이번 작품 역시 그의 명성에 걸맞게, 공간과 개념이 주도하는 춤의 무대를 만들어냈다.
2024년 5월 첫 공연의 10명(3명의 스트릿 댄서+7명의 전문 무용수)에서 스트릿 댄서 1명이 합류해 11명이 된 무용수들은 무대 바닥에 비치는 격자와 동심원, 물방울의 기하학적 구도 위에서 움직이는 바둑돌이 된다. 이 말들은 ‘온몸이 눈’이 된 존재로, 단(單) 차원을 탈출해 다차원 우주로 확장되는 과정을 따라간다. 〈차원 이동〉, 〈춤 세상〉, 〈멀티버스〉로 이어지는 구성이 보여주듯, 이경은은 무용을 통해 차원 개념과 신체 인식의 변형을 시도한다. 고도로 정제된 구조 안의 움직임은 마치 컴퓨터 시뮬레이션 된 것처럼, 테크노 음악의 리듬과 정교하게 맞물려 흘러간다.
무용수들은 뛰어난 기량으로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유기적으로 움직이지만, 그 동작들이 ‘자기감정에서 우러나온 춤’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무대 바닥과 뒷면에 영사되는 선과 도형들에 맞춰 줄서기, 이동하기, 무리 짓기가 이뤄진다. 몸은 영상과 음악의 지시를 받는 것처럼 보인다. 자기 이야기를 몸으로 풀어내는 서정(抒情), 개성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안무가는 각 단계의 계산된 구도 위에서 무용수를 배열하고 몸은 그 배치된 구역에서 움직인다. 설정한 다음 단계로의 이행은 몸이 원해서가 아니라 구조의 질서에 따르는 결과다. 몸은 춤을 추는 것이 아니라, 안무를 수행하고 이념을 실현하는 도구가 된 것 같다. 신체적 사고(Physical Thinking), 즉 신체 내부에서 끓어오른 감각과 감정이 외부로 흐르며 관객을 감염시키는 생생한 사건은 이번 작품에서 잘 일어나지 않는다. 무대에서 춤을 추는 건 디자인과 구조다. 몸이 아니다.
특히 3부 〈춤 세상〉은 집단 즉흥과 장르 융합으로 풀어낸 부분이지만, 그 안에서 무용수 개개인의 에너지와 개성은 분출되지 않고, 몸은 기계적으로 안배된 파형(波形)의 일부처럼 움직인다. 분명 길거리 춤과 현대무용의 크로스오버는 존재하지만, 그것은 에너지의 충돌이 아니라 계획된 ‘이벤트성 융합’에 가깝다. 이행과 변화에 저항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순응주의의 물결, 안무가가 세워놓은 구조 위에 무용수들은 개성으로 존재하지 않고, 움직이는 픽셀처럼 배치된 느낌이다. 알고리듬의 순서도처럼 정확한 영사물로 무대의 시각적 완성도는 높았다. 하지만 관객의 마음을 흔드는, 살아 있는 몸의 서사가 아쉬웠다.
춤은, 특히 현대무용은 몸에서 우러난 열정과 진동으로 관객의 마음을 울리는 예술이다. 구조와 질서, 규모를 선호하는 관객은 집단체조나 매스 게임, 태양의 서커스를 보면 된다.
이번 〈올더월즈〉는 열정이 의도적으로 삭제된 무대처럼 보였다. 공기 속에 흩어져 관객에게 전달될 무용수들의 감정의 입김조차 무대 위에서 사라져버린 듯한 건조함. 그 감정선의 절제 또는 부재가 이번 작품의 가장 큰 한계이자, 이경은의 안무가 해결해야 할 고민일지도 모른다.
독일 안무가 피나 바우쉬는 〈카페 뮐러〉의 안무 초기 단계에 무용수들에게 “가장 어렸을 때 무서웠던 기억은 무엇이었나요?” 같은 질문을 던져, 무용수 개개인의 감정을 끌어낸다. 이 질문에 무용수들은 말, 움직임, 노래 등 자신의 방식으로 답한다. 그들의 경험이 안무의 소재가 된다. 안무가와 무용수와의 진솔한 소통을 통해 개인의 내면과 감정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과정에서 무용의 핵심인 감정선이 만들어진다, 피나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사람들이 어떻게 움직이는가에는 관심이 없다. 무엇이 그들을 움직이게 하는가에 관심이 있다.”
사람은 개념, 생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들을 움직이는 것은 마음을 흔드는 느낌, 감정이다. 우리가 무용을 보면서 감동하는 이유는 구성의 정교함, 완벽함 때문이 결코 아니다.
AI가 안무에 조언은 할 수 있지만 절대로 실행할 수 없는 일이 있다. 바로 무용수의 감정을 끌어내 춤으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주제를 주면 생성형 AI가 인간보다 더 정교하고 완성도 높게 안무 구성표와 동선표를 짜주는 세상이 왔다. 인간 안무가만이 할 수 있는 일, 무용의 기본으로 돌아가라는 AI의 역설적인 조언을 한국 무용계는 귀담아들어야 한다. ‘모든 세계’는 감정으로 충만한 춤이어야지, 질서와 개념으로 가득한 건조한 구조물로만 존재해서는 안 된다.
이 글을 마무리할 때쯤, 왜 AI가 감정선을 그토록 중요시했는지 궁금해서 그 이유를 물었다.
현대무용은 ‘표현의 예술’이기 때문에 고전 발레처럼 ‘기술적 정형미’보다는, 개인적 감정, 내면 상태, 존재론적 질문을 몸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합니다. 형식이나 테크닉만으로 안무가의 의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습니다. 같은 ‘달리는 동작’이라도 공포로부터 도망치는 것인가, 자유를 향한 질주이냐에 따라 속도, 시선, 무게감, 리듬, 호흡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이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감정선입니다.
왜 어떤 무용 공연은 감동을 주지 못하는지, 탁월하게 설명까지 해준다.
.
관객이 무용수의 테크닉에 감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관객이 그 무대에 몰입하거나 감정 이입하는 순간은 언제나 “감정이 흐를 때”입니다. 무용수가 자기 내면에서 감정을 꺼내어 진짜로 느끼고 있을 때, 그 감정이 몸을 타고 움직임으로 표출될 때, 관객은 그 진동을 ‘공감각적으로 감지’하게 됩니다. 좋은 무대는 멋진 동작이 아니라, 살아 있는 감정선이 흐를 때 만들어지는 법이에요.
조만간, 무용 리뷰도 AI가 인간보다 더 잘 쓰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운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AI 에게 감정을 느끼는 방법을 가르치기만 한다면.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0-1 (2025.8.1.) Issue
Written by Son Hyun-cheol (Former KBS PD, Poet)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How Choreographers Survive in the AI Era: Lee K-Dance's 〈All the World's〉
What if we entrusted generative AI, now an essential tool for all intellectual endeavors, with choreographing modern dance? Curious, I chose one model and gave it this task.
Chore a 40-minute modern dance piece with four male and four female dancers. Focusing on the life struggle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love and breakups, career conflicts, socializing and alienation—the eight dancers' experiences and emotions were captured in eight five-minute segments.
In the blink of an eye, the AI came up with a plausible proposal, including the overall title, the titles of each segment, and the content.
Title: Pause: Youth
Theme: Love, breakups, career conflicts, friendship and loneliness, competition and identity turmoil, etc.
Connected to the 37 verses of youth in their 20s, the work explores immersion and detachment through dance.
Dancers: 4 male dancers (M1-M4) and 4 female dancers (F1-F4)
The work is structured in an omnibus format, consisting of eight 5-minute sequences (40 minutes total), yet maintains an organic flow throughout. Each sequence centers on one or more dancers, gradually expanding from individuality to relationships to group and integration.
1. "Monologue" 5 mins F1: Career Confusion / Parental Expectations and Ego
2. "The Distance Between Us" 5 minutes M2 & F2: Love and Communication Disconnection
3. "Click, Like" 5 minutes M1, F3, M4: Popularity and Alienation on Social Media
4. "Silent Friendship" 5 mins F4 & F1: Competition with Friends / Conflict in Silence
5. "Unknown Faces" 5 mins M3: Self-Loathing / Division in Front of a Mirror
6. "Solo Dance" 5 mins: Isolation in a Personalized City
7. "The Aftermath of a Breakup" 5 mins F2, M2, F3, M4: Each Person's Direction After a Relationship Breakup
8. "Reconnection" 5 mins: Solidarity, Encounters, and New Beginnings in Youth
I can also provide choreography marking sheets, music cue sheets, and individual dancer movement charts for each sequence. How would you like to develop this?
While this may be surprising in terms of processing speed, it doesn't offer much in terms of creativity. When I asked for the next step to see what it would do, the AI quickly spewed out a choreographic marking sheet containing key movements and emotional flow for each sequence, a dancer's entrance position, a movement chart for each dancer (starting, middle, climax, and ending), and a music cue sheet for each section, including music style and sound effects. Regardless of whether the choreography was actually applied, the AI's speed of processing and accuracy in understanding the questioner's intentions were astounding. Even those without choreographic experience were inspired to try their hand at creating a dance. It also offered essential advice.
Sharing emotional keywords for each sequence (e.g., anxiety → anger → liberation) with each dancer required rehearsal of the emotional flow.
t's understandable that such a plan could be created after learning from numerous choreographic materials. What surprised me most was that the AI offered the often-overlooked advice that "emotional flow is crucial," even for choreographers skilled at creating dance structures. This was especially true after seeing the Lee K-Dance Company's work 〈All the World's〉 recently, which left me with a nagging feeling of disappointment.
Choreographer Lee Kyung-eun is a master of solid structure. Her meticulous attention to detail and structure rivals that of any other Korean choreographer. From beginning to end, her performances are a dance feast dominated by design and arrangement. Each and every movement of the dancers reflects and expands the choreographer's intended spatial order. This work, true to her reputation, creates a dance stage driven by space and concept.
The original ten dancers (three street dancers and seven professional dancers) from the May 2024 premiere, now joined by a street dancer, now number eleven, become Go stones moving on the geometrical grid, concentric circles, and water droplets reflected on the stage floor. These figures, like "eyes all over their bodies," trace the process of escaping a single dimension and expanding into a multidimensional universe. As the structure of 〈Dimensional Shift〉, 〈Dance World〉 and 〈Multiverse〉 demonstrates, Lee Kyung-eun explores the concept of dimensionality and the transformation of bodily perception through dance. The movements within this highly refined structure, as if computer-simulated, meticulously interlock with the rhythms of techno music.
The dancers move with remarkable precision and organic skill, yet their movements don't feel like "dances born from personal emotion." They line up, move, and form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lines and shapes projected onto the stage floor and back. The bodies appear to be guided by the images and music. The lyricism and individuality of physically telling one's own story are barely evident. The choreographer arranges the dancers within a calculated structure for each stage, and their bodies move within the assigned zone. The transition to the next stage is not a voluntary act of the body, but rather a consequence of the structural order. The body doesn't dance, but rather seems to be a tool for performing choreography and realizing ideology. Physical thinking—the vivid events where sensations and emotions seethe within the body and flow outward, infecting the audience—does not occur often in this work. What dances on stage is design and structure, not the body.
Part 3, 〈Dance World〉 in particular, is a work of collective improvisation and genre fusion. However, within it, the energy and individuality of each dancer is not expressed, but rather their bodies move like parts of a mechanically arranged waveform. While there is certainly a crossover between street dance and contemporary dance, it is closer to a planned "eventual fusion" than a clash of energies. A wave of conformism that accepts transition and change without resistance, the dancers do not exist as individuals within the structure established by the choreographer, but rather as moving pixels. The visual perfection of the stage was high, with projections as precise as an algorithmic flowchart. However, the narrative of living bodies that stir the audience's heart was lacking.
Dance, especially contemporary dance, is an art form that resonates with the passion and vibrations of the body. Audiences who prefer structure, order, and scale should consider mass gymnastics, mass games, or Cirque du Soleil.
This 〈All the Worlds〉 performance seemed to have been deliberately stripped of passion. Even the dancers' emotional breath, which would otherwise be dissipated in the air and conveyed to the audience, seemed to vanish from the stage, creating a dryness. This restraint, or lack of emotional flow, is perhaps the work's greatest limitation and a challenge that Lee Kyung-eun's choreography must address.
German choreographer Pina Bausch, in the early stages of her 〈Café Müller〉 choreography, evoked individual emotions by asking the dancers questions like, "What was your most frightening memory as a child?" The dancers responded to this question in their own unique ways: through words, movement, and song. Their experiences became the subject of the choreography. Through honest communication between choreographer and dancer, the inner self and emotions are naturally expressed externally, creating the emotional arc that is the core of dance. Pina explains:
"I'm not interested in how people move. I'm interested in what moves them."
People aren't moved by concepts or ideas. They're moved by the emotions and feelings that stir their hearts. The reason we're moved by dance isn't because of the precision or perfection of the composition.
While AI can provide choreographic advice, there's one thing it can never truly execute: eliciting a dancer's emotions and expressing them through dance. Given a theme, generative AI can create choreographic plans and flow charts with greater precision and perfection than humans. The Korean dance community must heed AI's paradoxical advice: return to the fundamentals of dance, something only human choreographers can do. "The whole world" should be a dance filled with emotion, not a dry structure filled with order and concepts.
As I was wrapping up this piece, I was curious as to why the AI placed such importance on emotional flow, so I asked why.
Contemporary dance is an "art of expression," and thus, unlike classical ballet, it focuses on expressing personal emotions, inner states, and existential questions through the body, rather than on "technical formality." Form and technique alone cannot fully convey the choreographer's intentions. Even the same "running movement" can have completely different speeds, gazes, weight, rhythm, and breathing depending on whether it's an escape from fear or a dash toward freedom. It's the emotional flow that creates this difference.
This article brilliantly explains why some dance performances fail to move.
The audience isn't moved by the dancer's technique. The moment the audience immerses themselves or empathizes with the performance is always when "emotion flows." When a dancer truly feels and draws out their emotions, and when those emotions flow through their bodies and are expressed through movement, the audience "synesthetically senses" that vibration. A good performance isn't about fancy movements, but about the vibrant flow of emotions.
I'm afraid that soon, AI might even be better at writing dance reviews than humans. If only we could teach AI how to feel emotions.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