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10인의 춤을 칭찬해야만 하는 까닭: 배정혜메소드보존회의 ‘신전통 Ⅷ’

공연비평

Vol.120-1 (2025.8.5.) 발행


글_ 윤중강(공연평론가)

사진제공_ 배정혜메소드보존회



배정혜메소드보존회의 ‘신전통 Ⅷ’을 사흘간 구경했다(2025년 8월 1일-3일, 포스트극장). 한국문화계에서 배정혜라는 안무가가 크게 주목받은 건 1977년이다. 당시 30대 초반의 배정혜는 〈심청의 노래〉이란 작품을 만들었다(1977년 12월 1일, 국립극장). 1부의 〈타고남은 재〉(황병기 음악)은 배정혜에 의해 해석된 승무이고, 〈심청의 노래〉(김소희 唱)는 당시로서는 매우 드물게 판소리를 바탕으로 만든 작품이다. 


바 기본에서 출발한 배정혜메소드 


〈경향신문〉은 연말 ‘77년 문화계 주역’으로 배정혜(선화예고 교사)를 선정, 인터뷰했다. 여기서 ‘배정혜메소드’의 출발인 ‘바 기본’에 대한 얘기가 등장한다. ‘바 기본’이란 “바를 잡고 팔다리, 허리, 목 등 신체 각 부분의 운동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기본을 다지게 하는 것”으로 “이렇게 기초를 세우고 무대에서 서면 모든 동작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와 무용에 초보인 남성 무용수들이 단 8개월 만에 한국무용동작을 마스터할 수 있었다”라고 지도 경험을 얘기하고 있다. ‘배정혜메소드’는 바로 이즈음에 시작되었으니, 이제 햇수로 50년을 채우게 된다. 그동안 ‘배정혜메소드’를 통해 춤을 익힌 배정혜의 제자, 그들로 구성한 리을무용단이 한국춤계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신전통의 강점: 대중과의 소통, 음악적 다양성 


배정혜는 한국무용사(史)가 괄목할 대작도 만들었지만, 한편으로 ‘신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편의 홀춤을 만들었다. 일반인들이 편히 즐길 수 있다는 게 ‘신전통’ 작품의 중요한 특징이다. 무형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춤인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가 ‘전승’에 비중이 높다면, 〈풍류장고〉, 〈흥풀이〉, 〈한풀이〉와 같은 작품은 ‘소통’에 더 큰 의미를 둔다고 할 수 있다. 


나와 같이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춤판을 관객으로 경험한 이들에게 ‘신전통’은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한국춤이 무형유산(무형문화재)과 대학 무용과 중심으로 변화 발전되기 이전, 일반인들에게 사랑받았던 작품이 예술적으로 더욱 승화된 작품으로 만나게 되었다. 배정혜의 ‘신전통’은 음악적으로도 다양하다는 게 또 하나의 강점이다.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는 음악이 확고하게 정해져 있음에 반해서, ‘신전통’의 음악은 일제강점기의 SP 음반부터 토속적인 노동요까지를 ‘신전통’ 음악으로 잘 활용하고 있다. 

 

배정혜메소드보존회의 사흘간 공연을 보면서, 나는 ‘배정혜메소드’에 집중해 각각의 춤을 평가했다. 프로그램북에는 모두 27명의 춤꾼이 등장한다. 이들은 각각 저마다 뜻있는 춤을 선보였던 건 분명하나, 이 공연은 타이틀처럼 ‘배정혜메소드’가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배정혜 메소드’가 확실하게 체화(體化)되어서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춤을 원만하게 펼친 춤꾼을 10명 추려보았다. 그들 중에 2인은 아쉬운 측면이 있으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역력하게 보였다.


 

김수현 <흥푸리>_ 사진 변문규

 

 

전진희 <흥푸리>_ 사진 서원영

 

내가 이번 공연에서 재미와 의미를 모두 충족하면서 본 작품은 다섯. 김수현 〈흥푸리〉, 전진희 〈흥푸리〉, 정은숙 〈풍류장고〉, 곽시내 〈한풀이〉, 홍정아 〈교태〉는 꽤 좋았다. 이에 버금가는 작품으로 김현미 〈연산조〉, 두은숙 〈우물가에서〉, 보연 〈연화경승무〉를 꼽겠다. 김정민 〈교태〉, 한지혜 〈사랑가〉는 아직은 예술적인 완성도는 부족하나 커다란 가능성을 보았다. 


장난스러운 김수현, 능청스러운 전진희 


과거 ‘신전통’ 무대에서도 그러했지만, 김수현과 전진희는 대단한 춤꾼이다. 〈흥푸리〉라는 작품을 추었는데, 서로 다른 맛을 잘 드러냈다. 김수현은 장단을 탈 줄 알았고, 전진희는 장단과 놀 줄 알았다. 음악적으로 말한다면, 김수현은 스타카토적, 전진희는 테뉴토적이다. 김수현은 리듬을 끊어가면서 톡톡 튀는 즐거움을 선사했다면, 전진희는 리듬을 이어 부치면서 살갑게 달라붙는 쾌감이 전달되었다. 김수현에게서는 30대 여인의 장난스러운 잔망함이 전달되었다면, 전진희에게서는 50대 여인의 능청스러운 우멍함이 전달되었다. 모두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한 표현으로, 대한민국에 좋은 춤꾼이 많지만, 김수현처럼 추고 전진희처럼 추는 춤꾼은 각각 유일하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판타지를 아는 정은숙, 드라마를 아는 곽시내 


정은숙의 〈풍류장고〉도 꽤 좋았다. 나는 지금까지 배정혜의 〈풍류장고〉를 원작자(배정혜)만큼 출 수 있으리라고 생각할 수 없었다. 정은숙도 아직 부족함은 많지만, 배정혜의 춤이 어떠하고 거기서 ‘풍류장고’는 어떻게 추어야 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대한민국에 무수히 많은 장고춤이 있는데, 배정혜의 〈풍류장고〉는 어찌 다른가. 장고춤 안에 시적(詩的) 정서가 있다는 점이다. 인트로와 아웃트로에서 이런 판타지적인 매력을 느끼게 해야 한다. 그저 여느 장고춤처럼 그저 흥겨움만을 주는 게 아니다. 그 안에 뭔가 정돈된 이야기 속에서 한 여인이 자신의 얘기를 낭창하게 풀어내는 느낌을 살려내야 한다. 배정혜 명무의 특유의 매력이 그러한데 정은숙도 그에 버금가게 어떻게 춰야 하는 걸 잘 알고 있었다. 중간에 장구통을 장구채로 찍는 동작에서는 배정혜 특유의 매력이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정은숙 <풍류장고>_ 사진 서원영 

 

 

곽시내 <한풀이>_ 사진 이성진

 

곽시내의 〈한풀이〉는 배치기소리를 바탕으로 한 홀춤이다. 나는 이 작품이 이런 음악을 선택했다는 것만으로, 작품적 가치가 대단하다고 생각해 왔다. 곽시내는 서사를 알았다. 곽시내는 드라마를 알았다. 그러나 곽시내는 시종(始終) 오버(over)하지 않았다. 이게 쉽지 않은데, 곽시내는 노련한 배우처럼 그랬다. 적당한 감정선을 유지하면서, 마치 뱃사람의 아내가 된 듯 춤의 서사를 잘 이어갔다. 깊이 있는 드라마를 만들어갔다. 호흡에서도 감정에서도 동작에서도 지나침이 없고, 또 끊어짐도 없었다. 등장부터 시작해서 끝까지 관객을 자신의 춤에 몰입하게 하는 능력이 있었다. 앞으로 이 춤꾼이 배정혜의 또 다른 ‘신전통’ 레퍼토리에서 실력 발휘를 해주길 기대한다.


 

홍정아 <교태>_ 사진 김정환

 

 

김정민 <교태>_ 사진 이성진

 

홍정아의 ‘알고있는’ 〈교태〉 vs, 김정민의 ‘알아가는’ 〈교태〉 


춤을 잘 추는 사람은 뒤태에서 느껴지는 게 있다. 홍정아가 그렇다. 뒷모습을 보이면서 무대를 향해 걸어갈 때부터 뭔가 포스가 느껴졌다. “이 춤은 현재로선 제가 제일 잘 추거든요”라고 말하는 듯 춤을 이어갔다. 흔히 무당춤을 추는 사람에게 느껴지는 스테레오 타입도 아니었다. 이것에 비해서 김정민의 춤은 아직 그 단계에 이르지 못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그의 춤을 보면서 김정민이 〈교태〉라는 작품을 어떻게 부분 부분 잘 분석했는가가 느껴졌다. 아직 자기 안에 있는 ‘끼’가 완전히 터지지는 않았으나, 이제 두서너 번 경험하게 된다면, 이 춤은 이제 김정민의 춤이 될 듯 하다. 


한지혜, 언제가 〈춤, 춘향〉을 할 수 있는 재원 


한지혜의 〈사랑가〉는 전반적으로 들뜬 느낌도 들었다. 어쩌면 이것은 사랑의 설렘을 표현하려는 한지혜의 의도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 춤꾼의 춤에서 ‘배정혜메소드’가 마스터된 느낌을 받는다거나, 춤으로서 완성도가 있다는 생각이 들진 않았으나, 언젠가 배정혜의 작품 <춤, 춘향>에서 춘향 역할을 할만한 재목임을 알게 해주었다.

 

 

한지혜 <사랑가>_ 사진 이재훈, 남선호   

 

 

김현미 <연산조>_ 사진 변문규

 

김현미의 이해력, 두은숙의 창의력, 보연의 지구력

 

김현미 〈연산조〉는 ‘배정혜메소드’를 가장 아는 춤처럼 보였다. 김현미는 배정혜의 춤과 ‘배정혜메소드’가 가장 체화된 춤꾼으로 보였다. 그가 교육자라면 아마 최고의 선생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여기는 무대이다. 무대는 ‘또 다른 그 무엇’이 있어야 하는 공간이다. 김현미의 춤은 음악을 이해하는 측면에서도 그러하고 나무랄 데가 없었으나, 상대적으로 자기적인 매력이 덜했다. 뭔가 너무도 정직하고 곧이곧대로 하는 사람을 보았을 때, 신뢰감은 생겨도 상대적으로 호기심이 반감된다고나 할까. 춤을 춤처럼 추는 전형적인 춤꾼이었다. 춤의 교육자로서는 매우 훌륭한 조건이다. 그러나 무대 위의 춤꾼으로서는 아쉬움이 있다. 춤 속에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내면서 관객에게 ‘춤의 이면’을 궁금해하게 하는 방식을 연구해도 좋을 것 같다. 


두은숙 〈우물가에서〉는 매우 흥미로운 춤이었다. 이 춤음악은 일제강점기 최고의 신민요로, 강홍식의 〈처녀 총각〉인데, 두은숙은 춤의 단락을 지어가면서 부분마다 메시지를 전달할 줄 알았고, 부분마다 다른 동작을 통해서 관객에서 즐거운 호기심을 던져낼 줄 알았다. 춤꾼으로서도 좋지만, 안무가로서의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두은숙 <우물가에서>_ 사진 이성진 

 

 

보연 <연화경 승무>_ 사진 이재훈, 남선호

 

사흘간의 공연에서 내게 또 다른 감동을 준 춤은 보연의 〈연화경 승무〉였다. 스님의 독경이 박자가 정확히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뚜렷하게 변하는 지점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오직 구도적인 몸짓과 한삼을 뿌리는 것으로 춤을 이끌어야 하는데, 비교적 잘했다. 보연을 통해서 ‘춤의 지구력’이 전달되었다. 


또 다른 춤꾼들의 춤도 개별적인 매력을 갖춘 건 분명하다. 그러나 ‘배정혜메소드’적인 측면에서도 그러하고, 그것을 떠나서 ‘춤 자체’로 보았을 때 단소리와 함께 쓴소리도 꼭 하고 싶은 춤이었다. 만약 그들이 내게 그런 쓴소리를 원한다면, 그들의 춤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고 싶은 마음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0-1 (2025.8.5.) Issue


Written by Yoon Joong-gang (Performance Critic)

Photos provided by Bae Jeong-hye Method Preservation Society



Why We Must Praise the Dances of 10 Artists: Bae Jeong-hye Method Preservation Society's “New Tradition VIII”



I watched the Bae Jeong-hye Method Preservation Society's “New Tradition VIII” for three days (August 1-3, 2025, Post Theater). Bae Jeong-hye first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as a choreographer in the Korean cultural world in 1977. Then in her early 30s, she created 〈Simcheong's Song〉 (December 1, 1977, National Theater). Part 1's 〈Innate Talent〉 (music by Hwang Byeong-gi) is a Buddhist dance interpreted by Bae Jeong-hye, while 〈Simcheong's Song〉 (sung by Kim So-hee) is a work based on pansori, a rare feat at the time.


The Bae Jeong-hye Method: Starting from the Basics


The Kyunghyang Newspaper interviewed Bae Jeong-hye (teacher at Seonhwa Arts High School) as one of the "Cultural Figures of 1977." The interview focused on the "Bae Jeong-hye Method," which began with the "Bae Jeong-hye Method." "Bae Jeong-hye Method" refers to "holding the bar and repeatedly moving various body parts, such as the arms, legs, waist, and neck, to solidify the fundamentals." She recounted her experience teaching Bae Jeong-hye, "By establishing this foundation, all movements flowed naturally on stage, allowing male dancers who were beginners to master Korean dance movements in just eight months." The "Bae Jeong-hye Method" began around this time, and is now approaching its 50th anniversary. The Leeul Dance Company, formed by Bae Jeong-hye's students who learned dance through the "Bae Jeong-hye Method,"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Korean dance scene.


Strengths of New Tra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Musical Diversity


Bae Jeong-hye created notable masterpieces that have marked the history of Korean dance, but she also created several solo dances under the banner of "new tradition." A key characteristic of "new tradition" works is their accessibility to the general public. While Korean dance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h as 〈Seungmu〉, 〈Salpuri Dance〉 and 〈Taepyeongmu〉 prioritize “transmission”, works like 〈Pungryujanggo〉, 〈Heungpuri〉 and 〈Hanpur〉 place greater emphasis on “communication”.


For those of us who, like me, experienced the dance world of the 1960s and 1970s as audience members, "new tradition" carries a different meaning. Before Korean dance evolved into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was centered around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a piece beloved by the general public has been reinterpreted as a more artistically refined work. Another strength of Bae Jeong-hye's "New Traditional" is its musical diversity. While 〈Seungmu〉, 〈Salpuri Dance〉 and 〈Taepyeongmu〉 have firmly established musical styles, "New Traditional" music effectively utilizes everything from SP record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raditional folk songs.


While watching the three-day performance by the Bae Jeong-hye Method Preservation Society, I focused on the "Bae Jeong-hye Method" and evaluated each dance individually. The program book features 27 dancers. While each dancer undoubtedly presented a unique dance, the "Bae Jeong-hye Method," as the title suggests, became the primary criterion for evaluation. I've selected ten dancers who have embodied the "Bae Jeong-hye Method" and successfully performed their dances based on it. Two of them, while lacking in some aspects, clearly showed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Five pieces I found both entertaining and meaningful in this performance: Kim Soo-hyun's 〈Heungpuri〉, Jeon Jin-hee's 〈Heungpuri〉, Jung Eun-sook's 〈Pungryu Janggo〉, Kwak Si-nae's 〈Hanpuri〉 and Hong Jeong-ah’s 〈Gyotae〉 were quite good. Comparable pieces include Kim Hyun-mi’s 〈Yeonsanjo〉, Du Eun-sook’s 〈At the Well〉 and Boyeon's 〈Yeonhwagyeongseungmu〉. Kim Jeong-min's 〈Gyotae〉 and Han Ji-hye's 〈Sarangga〉 still lack artistic perfection, but they showed great potential.


Playful Kim Soo-hyun, sly Jeon Jin-hee


As was the case in past "new traditional" performances, Kim Soo-hyun and Jeon Jin-hee are incredible dancers. They danced a piece called "Heungpuri," and their respective styles were distinct. Kim Soo-hyun knew how to dance to the rhythm, while Jeon Jin-hee knew how to play with it. Musically, Kim Soo-hyun was staccato, while Jeon Jin-hee was tenuto. Kim Soo-hyun offered a lively, exhilarating experience by breaking up the rhythm, while Jeon Jin-hee conveyed a gentle, clinging pleasure by connecting the rhythm. Kim Soo-hyun conveyed the playful, clumsy charm of a woman in her thirties, while Jeon Jin-hee conveyed the playful, sly innocence of a woman in her fifties. These expressions are both used in a positive sense, and while there are many talented dancers in Korea, those who dance like Kim Soo-hyun and Jeon Jin-hee are unique.


Jung Eun-sook knows fantasy, Kwak Si-nae knows drama


Jung Eun-sook's 〈Pungryu Janggo〉 was also quite good. I never thought I could dance Bae Jeong-hye's 〈Pungryu Janggo〉 as well as the original author (Bae Jeong-hye). Jeong Eun-sook, while still lacking in many areas, possessed a keen understanding of Bae Jeong-hye's dance and the essential principles of 〈Pungryu Janggo〉. There are countless janggo dances in Korea, but what makes Bae Jeong-hye's 〈Pungryu Janggo〉 different? It possesses a poetic sensibility. The intro and outro must convey this fantastical allure. It's not simply about providing excitement like other janggo dances. It must convey the feeling of a woman reciting her story within a well-structured narrative. This is the unique charm of Bae Jeong-hye's masterful dance, and Jeong Eun-sook knew how to match it. The movement of striking the janggu drum with the janggu sticks in the middle of the dance confirms Bae Jeong-hye's unique charm.


Kwak Si-nae's 〈Hanpuri〉 is a solo dance based on the sound of Baechigi. I've always thought this piece had tremendous artistic value simply by choosing this music. Kwak Si-nae knew the narrative. Kwak Si-nae knew the drama. But Kwak Si-nae never overdid it from beginning to end. This isn't easy, but Kwak Si-nae did it like a seasoned actor. Maintaining a proper emotional flow, she seamlessly weaved the narrative of the dance, as if she were a sailor's wife. She created a profound drama. There was neither excess nor pause in her breathing, emotions, or movements. She possessed the ability to immerse the audience in her dance from the moment she entered the room to the very end. I look forward to seeing this dancer demonstrate her skills in another "neo-traditional" repertoire by Bae Jeong-hye.


Hong Jeong-ah's "Knowing" 〈Gyotae〉 vs. Kim Jeong-min's "Getting to Know" 〈Gyotae〉


A skilled dancer can be felt from the back. Hong Jeong-ah is one such dancer. From the moment she walked toward the stage, her back view exposed, a certain force was evident. "This is the dance I'm best at right now," she said, continuing to dance. It wasn't the stereotype often associated with shaman dance. Compared to this, Kim Jung-min's dance hasn't quite reached that level yet. However, watching her dance, I could sense how Kim Jung-min had meticulously analyzed each detail of 〈Gyotae〉. Her inner "talent" hasn't fully unleashed yet, but after a few more experiences, this dance will likely become Kim Jung-min's.


Han Ji-hye, the Talent Who Will Someday Perform 〈Dance, Chunhyang〉


Han Ji-hye's 〈Sarangga〉 had an overall exhilarating feel. Perhaps this was Han Ji-hye's intention to express the excitement of love. While I didn't feel like she had mastered the "Bae Jung-hye Method" or felt it was a complete dance, it did show me that she might one day be the perfect candidate for the role of Chunhyang in Bae Jung-hye's 〈Dance, Chunhyang〉.


Kim Hyun-mi's understanding, Doo Eun-sook's creativity, and Bo-yeon's endurance


Kim Hyun-mi's 〈Yeonsanjo〉 seemed to be the dance most familiar with the "Bae Jeong-hye Method." Kim Hyun-mi seemed to be the dancer who best embodied Bae Jeong-hye's dance and the "Bae Jeong-hye Method." If she were an educator, she might be the best teacher. However, this is the stage. The stage is a space where "something else" must exist. Kim Hyun-mi's dance, while impeccable in terms of musical understanding, was comparatively less magnetic. It's as if seeing someone who is overly honest and straightforward creates trust, but also diminishes curiosity. She was a typical dancer who danced like dance. This is an excellent qualification for a dance educator. However, as a dancer on stage, she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It would be beneficial to explore ways to incorporate her own story into her dance and make the audience curious about the "other side" of dance.


Doo Eun-sook's 〈At the Well〉 was a very interesting dance. This dance music is Kang Hong-sik's 〈Cheonyeongak〉 the greatest new folk so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 Eun-sook masterfully conveyed a message through each section of the dance, and with each movement, she aroused the audience's delightful curiosity. While she is a talented dancer, her potential as a choreographer seems even greater.


Another dance that impressed me during the three-day performance was Boyeon's 〈Yeonhwagyeong Seungmu〉. The monk's chanting of sutras doesn't have a precise beat or a distinct transition point. The dance is driven solely by structural gestures and the scattering of hansam, which she did relatively well. Boyeon conveyed the "endurance of dance."


The other dancers' dances certainly possessed their own individual charm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e Jeong-hye Method," and beyon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dance itself," this was a dance that I would definitely like to hear both the dansori and the ssam. If they were to offer such a ssam, I would be eager to delve into their dances in detail.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