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누구’와 ‘무엇’ 사이 발레 갈라의 스타일을 바꾸다: 파리오페라발레 에투알 갈라 2025

공연비평

Vol.120-2 (2025.8.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예술의전당



연말이 되어 올해 공연계를 돌아볼 때 가장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는 ‘갈라’가 될 것이다. 발레 무대는 ‘갈라의 해’라는 표현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4월 아메리칸발레시어터의 내한을 시작으로 7월에는 로열발레단의 ‘더 퍼스트 갈라’가, 8월에는 박세은이 동료들과 함께하는 ‘파리오페라발레 에투알 갈라 2025’가 올려지며 내로라할 주요 발레단이 단체의 대표 레퍼토리로 꾸민 갈라 공연을 선보였다.

 

〈방랑하는 젊은이의 노래〉 ⓒYOON6PHOTO 

 

혹자들은 이런 갈라 공연 러시에 대해 전막 공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경제적인 이유를 들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단체의 현재 위치와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라면 전막 공연 한 편을 올리는 것보다 여러 작품을 한 무대에서 감상할 수 있는 갈라 공연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이는 현재 위치와 정체성이 탐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단체의 존재와 그와 같은 탐구를 실행할 수 있는 관객의 성숙도가 맞아떨어져야 가능하다. 


‘누구’와 ‘무엇’ 사이의 절묘한 균형


박세은이 호스트가 되어 발레단의 동료 무용수들을 초청해 함께 꾸미는 갈라 무대가 올해로 벌써 세 번째 무대를 맞이했다. 박세은은 러시아 클래식에 익숙해져 있는 한국 발레 관객들에게 ‘프랑스 스타일’을 보여주고 싶다고 꾸준히 말해왔고, 이 소망은 그가 2022년부터 여름마다 올리고 있는 ‘파리오페라발레 에투알 갈라’를 통해 조금씩 실현되고 있는 중이다.


대개 갈라 공연은 발레단의 주역급 무용수라면 레퍼토리로 가지고 있는 명작 하이라이트 모음으로 꾸며지기에 공연에 대한 관심 또한 어떤 작품을 볼 수 있는가보다는 누가 출연하는가에 쏠리기 마련이다. 따라서 평소에 쉽게 만날 수 없는 유명 발레단의 스타 무용수들이 얼마나 출연하는가가 공연의 성패를 좌우한다. 관객들에게는 ‘무엇’을 보러 가느냐보다 ‘누구’를 보러 가느냐가 좀 더 중요한 선택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박세은이 ‘프랑스 스타일’을 최일성으로 내세우고 있는 이 공연에서는 ‘무엇’이 ‘누구’ 못지않은 관심을 받으며 그동안 국내에서 쉽게 만날 수 없었던 작품들 위주로 공연 레퍼토리가 착실하게 쌓여가고 있다. 앞서 쓴 것처럼 ‘현재 위치와 정체성이 탐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단체의 존재’로서 파리오페라발레단의 세계적 위상은 매우 강력하고, 관객들은 박세은을 통해 그가 몸담고 있는 파리오페라발레단의 ‘현재’가 어떤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고자 하기 때문이다.


박세은이 공연을 앞두고 한 인터뷰에서 “갈라라고 해서 매번 〈돈키호테〉 결혼식 파드되 같은 것만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말한 것은 그래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파리오페라발레단 에투알 무용수 중심으로 출연진을 구성하며 이미 ‘누구’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킨 공연에서 ‘무엇’은 ‘누구’보다 더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어쩌면 그는 ‘프랑스 스타일’을 보여주는 무대를 넘어 갈라의 스타일을 바꾸는 도도한 흐름을 견인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공연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을 무대로 7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3일간 3회차로 진행되었다. 4회차의 공연이 올려진 지난해보다 한 회차 줄어들었지만 올해는 대전예술의전당 공연이 추가되며 지역으로의 확장성이 더해졌다.

 

무용수들은 박세은의 오랜 파트너 폴 마르크 외에 레오노르 볼락, 한나 오닐, 기욤 디오프가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번 한국 무대를 찾았고, 아망딘 알비송, 블루엔 바티스토니, 제르망 루베, 마르크 모로, 플로랑 멜라크 그리고 ‘21세기 에투알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마티외 가니오가 함께했다. 이번 공연에는 에투알 무용수 10명이 참여해 ‘에투알 갈라’라는 타이틀에 부합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더욱 기대감을 높였는데, 특히 마티외 가니오의 합류는 지난해 공연 당시부터 예고되어 ‘무엇’은 물론 ‘누구’에 대한 관심에 불을 지폈다.


프로그램 역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A와 B로 나누어 15개의 작품을 선보였다. 편수가 줄어든 대신 다수의 중편 레퍼토리를 프로그램에 포함시키고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전막 하이라이트로 선보이는 등 작품 선정에 공을 들였다. A프로그램에는 마티외 가니오의 출연작 두 편이, B프로그램에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 전막 하이라이트가 포함되어 관객들로 하여금 선택의 고민을 더욱 깊어지게 했다. 공연 프로듀서를 겸하고 있는 박세은의 기획력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A프로그램은 〈방랑하는 젊은이의 노래〉(모리스 베자르 안무), 〈잠자는 숲속의 미녀〉 3막 오로라-데지레 그랑파드되(루돌프 누레예프 안무), 〈인 더 나이트〉(제롬 로빈스 안무), 〈세 개의 전주곡〉(벤 스티븐슨 안무), 〈소나타〉(우베 숄츠 안무), 〈콘체르토〉 파드되(케네스 맥밀런 안무), 〈소나티네〉(조지 발란신 안무), 〈에스메랄다〉 파드되(니콜라 베리오조프), 〈호두까기인형〉 2막 그랑파드되(루돌프 누레예프 안무)로, B프로그램은 〈그랑 파 클라시크〉(빅토르 그소프스키 안무), 〈크로마〉 파드되(웨인 맥그리거 안무), 〈백조의 호수〉 2막 그랑 아다지오(루돌프 누레예프 안무), 〈프루스트〉 ‘갇힌 여인’ 파드되(롤랑 프티 안무), 〈실비아〉 실비아와 아민타 파드되(마뉘엘 르그리 안무), 〈잠자는 숲속의 미녀〉 전막 하이라이트(루돌프 누레예프 안무)로 구성해 클래식과 컨템퍼러리 작품을 고루 안배했다. 파리오페라발레단의 레퍼토리가 아닌 작품도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작품 선정에 대한 각별한 고심이 읽힌다.


박세은, 마티외 가니오, 인 더 나이트


공연은 마르크 모로와 제르망 루베가 듀엣으로 선보이는 〈방랑하는 젊은이의 노래〉로 문을 열었다. 전체 프로그램 가운데 유일한 남성 2인무로, 국내 무대에 올려지는 것은 이번 공연이 처음이다. 말러가 실연의 아픔을 담아 쓴 동명 연가곡에서 청년은 사랑하던 여성이 다른 사람과 결혼하는 날 차마 결혼식을 보러 가지 못하고 남몰래 아픔을 삭이지만 베자르의 안무작에서는 두 남성 무용수가 청년의 고뇌를 연기하며 연인 사이로도, 청년 내면의 또 다른 자아로도 볼 수 있어 해석의 여지를 넓힌다. 절제된 움직임으로 그려내는 유려한 선이 음악과 어우러져 서정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인 더 나이트〉 ⓒYOON6PHOTO 

 

쇼팽의 녹턴을 바탕으로 세 커플의 서로 다른 사랑의 단면들을 보여주는 〈인 더 나이트〉는 2022년 공연에서 가장 큰 호응을 받았던 작품으로, 이번 공연에서는 일본 피아니스트 히사야마 료코가 라이브 연주를 맡았다. 박세은은 폴 마르크와 호흡을 맞춰 이제 막 사랑을 시작하는 커플의 풋풋하면서도 열정적인 모습을 연기하며 다시 한번 깊은 인상을 주었고, 레오노르 볼락과 마티외 가니오는 사랑이 무르익어 안정되고 견고한 관계를 보여주는 두 번째 커플을, 아망딘 알비송과 플로랑 멜라크는 서로에 대한 상처와 불신이 쌓여 금방이라도 깨질 듯한 위태로운 관계의 세 번째 커플을 맡아 사랑의 복잡하고도 내밀한 조각들을 연기하며 관계의 다양한 표정을 그려냈다. 〈인 더 나이트〉는 제롬 로빈스 재단이 더는 공연을 허락하지 않아 이번 공연이 작품을 볼 수 있는 마지막 무대가 되었기에 더욱 긴 여운을 남겼다.

 

〈소나타〉 ⓒYOON6PHOTO 

 

우베 숄츠의 〈소나타〉는 라흐마니노프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를 바탕으로 안무한 작품으로, 라흐마니노프는 이 작품에서 피아노의 역할을 반주로서가 아니라 첼로와 동등하게 부여하여 대부분의 주제를 피아노가 이끌고 첼로는 이를 꾸미고 확장시키도록 역할을 나누었다. 작품에서 음악과 움직임의 수평적 대화를 중시한 숄츠는 이 같은 피아노와 첼로의 관계를 안무에도 반영해 삶을 나란히 함께 걸어가는 커플의 여정으로 작품을 완성했다. 히사야마 료코와 첼리스트 이경준이 라이브 연주를 맡고 레오노르 볼락과 마티외 가니오가 〈인 더 나이트〉에 이어 다시 한번 파트너로 호흡을 맞추어 부드러우면서도 절제된 파트너링으로 서로 간의 유대와 신뢰를 보여주었다.


이 외에 연습실에서 사랑을 싹틔우는 무용수 커플의 심리를 묘사한 〈세 개의 전주곡〉, 발레의 기본적인 움직임을 통해 춤이 지향하는 근본적인 질서와 무용수의 헌신을 기리는 〈콘체르토〉 파드되, 전형적인 그랑파드되의 형식미에서 벗어나 두 무용수의 자유롭고 편안한 대화처럼 전개되는 〈소나티네〉, 이국적인 장식미를 보여주는 〈에스메랄다〉 등이 차례로 올려지며 작품과 무용수의 매력을 유감없이 펼쳐냈다.

 

〈호두까기인형〉 ⓒYOON6PHOTO

 

박세은은 기욤 디오프와 호흡을 맞춘 〈호두까기인형〉 2막 그랑파드되로 A프로그램의 대미를 장식했다. 남성 무용수의 테크닉을 강조하는 누레예프의 안무답게 이 작품에서도 왕자는 아다지오나 코다에서 설탕요정을 받쳐주기보다 독립적으로 또 경쟁적으로 춤을 추는데, 박세은과 기욤 디오프는 각자의 까다롭고 섬세한 안무를 소화하면서도 팽팽한 긴장감을 잃지 않고 장엄하고도 조화로운 파드되를 완성했다. 


모두가 주인공, 잠자는 숲속의 미녀


A프로그램이 컨템퍼러리와 클래식의 조화에 신경 쓴 구성이라면 B프로그램은 ‘프랑스 클래식의 현재’라는 부제가 어울릴 법한, 클래식에 좀 더 힘을 준 구성이었다. 현존하는 클래식 레퍼토리 가운데 가장 어려운 파드되로 꼽히는 〈그랑 파 클라시크〉, 클래식 발레의 형식미가 집약된 〈백조의 호수〉, 무용수의 무대 기량과 발레단의 제작 역량을 총체적으로 확인시켜주어 ‘발레 중의 발레’로 불리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한 무대에서 볼 수 있게 했고, 발레단의 에투알 출신 마뉘엘 르그리가 재안무한 〈실비아〉와 롤랑 프티의 〈프루스트〉로 ‘프랑스 스타일’을 다시금 각인시키고자 했다.


공연은 한나 오닐과 폴 마르크의 〈그랑 파 클라시크〉로 시작되었다. 앞서 ‘현존하는 클래식 레퍼토리 가운데 가장 어려운 파드되’라고 썼듯이 당스데꼴에 충실한 악명 높은 안무 탓에 일부 장면에서 실수가 나오기도 했지만 두 무용수는 고난도의 테크닉을 깔끔하게 소화하며 우아함과 자기통제를 잃지 않고 연기를 마무리했다.

 

〈크로마〉 ⓒStudio Kenn

 

두 번째 무대는 웨인 맥그리거의 〈크로마〉 파드되로, 로열발레단 내한 공연에서 무용수의 부상으로 프로그램에서 제외되었던 작품이라 궁금증이 더했다(단 로열발레단에서 예정되었던 파트는 〈크로마〉의 파드트루아로, 이번 공연에 올려진 파트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레오노르 볼락과 기욤 디오프는 조비 탤빗의 금속성 음악에 맞춰 클래식 발레의 관습에서 벗어난 분절적이고 정교한 움직임으로 날카로운 예각을 만들어내며 신체와 움직임의 가능성을 한껏 확장해 보였다. 이번 공연의 컨템퍼러리 작품들이 대부분 시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로 전개된 것을 떠올린다면 가장 인상적인 무대였다고도 말할 수 있다.

 

〈프루스트〉 ‘갇힌 여인’ 파드되 ⓒStudio Kenn

 

롤랑 프티의 〈프루스트〉(원제는 ‘프루스트 혹은 마음의 간헐적 떨림’)는 프랑스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발레로 옮긴 작품으로, 원작이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인 모더니즘 소설답게 서사보다 인물의 정서와 심상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처럼 발레 역시 인물 간 관계와 정서가 강조되는 추상적인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갇힌 여인’ 파드되는 주인공 마르셀이 연인 알베르틴의 성 지향성을 의심하며 그를 구속하고 통제하고자 하는 데에서 벌어지는 집착과 파멸의 이야기로, 지난 2019년 〈르 프리미에 갈라〉에서 이 작품으로 무대에 오른 바 있는 아망딘 알비송은 이번에는 플로랑 멜라크와 파트너를 이루어 사랑이란 명목의 심리적 구속과 이로 인해 깎여 나가는 존엄을 섬세하고도 농밀한 움직임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B프로그램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작품은 전막 하이라이트라는 독특한 기획으로 선보인 〈잠자는 숲속의 미녀〉였다. 24-25 시즌 파리오페라발레단은 이례적이게도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두 차례에 걸쳐 공연했는데, 결과적으로는 이번 갈라 공연의 출연진 전원이 무대에 올랐던 작품이기에 가능한 기획이었다. 무용수들은 이어달리기를 하듯 주요 장면을 나누어 연기하며 오로라와 데지레 두 주인공이 등장하는 장면을 하이라이트로 요약해 선보였다.

 


〈잠자는 숲속의 미녀〉 ⓒStudio Kenn

 

박세은이 오로라의 입장과 결혼 파드되를 맡고, 장미 아다지오는 한나 오닐이, 장미 바리아시옹은 레오노르 볼락이 맡는 등 장면마다 무용수가 바뀌어 해당 장면을 연기한다. ‘모두가 주인공’이라는 관용구를 사전적 의미 그대로 즐길 수 있었던 무대로, 누레예프의 안무작을 전막으로 볼 기회가 요원한 가운데 전막에 대한 아쉬움을 털어낼 수 있는 한여름밤의 꿈 같은 무대가 되었다.


세 번의 갈라 공연으로 ‘프랑스 스타일’을 만끽했다고 할 순 없겠지만 박세은의 생각은 조금 다른 듯하다. 그는 내년 갈라 공연의 타이틀을 ‘우리 시대의 에투알’로 정하고 자신과 파트너 폴 마르크, 뉴욕시티발레단의 타일러 펙을 출연진으로 예고하며 세계 주요 발레단의 프린시펄과 함께하는 무대를 선보이겠노라고 계획을 밝히고 있다. ‘무엇’으로 당겨왔던 추가 ‘누구’에게로 다시 기우는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무엇’이 준비되어 있는지, 그가 준비한 ‘무엇’ 혹은 ‘누구’는 갈라 스타일을 또 한 번 변화시킬 수 있을지, 무용수로서는 물론 프로듀서로서도 자신감을 키워가고 있는 박세은의 다음 선택을 기다려볼 일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0-2 (2025.8.20.) Issue


Written by Yoon Dan-woo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 provided by Seoul Arts Center



Between ‘Who’ and ‘What’: Changing the Style of Ballet Gala: Paris Opera Ballet’s Etoile Gala 2025



As the year draws to a close,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when reflecting on the performing arts scene this year will be "gala." The phrase "Year of the Gala" truly lives up to its name. Beginning with the visit of the American Ballet Theatre to Korea in April, the Royal Ballet's "The First Gala" in July, and the "Paris Opera Ballet Etoile Gala 2025" in August, featuring Park Sae-eun and her colleagues, major ballet companies presented gala performances featuring their signature repertoire.


Some argue that the rush for gala performances stems from the relative cost savings associated with full-length performances. However, if the goal is to showcase a company's current position and identity, a gala performance that showcases multiple works on a single stage can be more effective than a single full-length performance. Of course, this requires a harmonious alignment between the company's presence, where its current position and identity can be explored, and the audience's maturity to engage in such exploration.


A Fine Balance Between "Who" and "What"


This year marks the third gala performance hosted by Park Se-eun, inviting fellow dancers from the company to join her. Park has consistently expressed her desire to present the "French style" to Korean ballet audiences accustomed to Russian classical music, and this desire is gradually being realized through the "Paris Opera Ballet Étoile Gala," which she has been staging every summer since 2022.


Typically, gala performances feature a compilation of masterpieces from the repertoire of leading ballet dancers. Therefore, interest in a performance tends to focus on who performs rather than what pieces are available. Consequently, the number of star dancers from renowned ballet companies, who are not easily accessible,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performance. For audiences, the decision to see "who" is more important than "what."


However, in this performance, where Park Se-eun champions the "French style" with the utmost precision, the "what" receives as much attention as the "who." The repertoire is steadily expanding, focusing on works previously unavailable in Korea. As previously mentioned, the Paris Opera Ballet's global standing as "an organization whose current position and identity can be explored" is quite strong. Audiences, through Park Se-eun, are eager to learn about the "present" of the Paris Opera Ballet, where she is a member.


Park Se-eun's comment in an interview prior to the performance, "Just because it's a gala, it can't always be the same as the Don Quixote wedding pas de deux," carries significant significance. In a performance that already caters to the "who" of the audience, with a cast centered around Paris Opera Ballet étoile dancers, the "what"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e "who." Perhaps she's leading a bold trend, moving beyond simply presenting the "French style" to a new gala style.


The performance took place over three days, from July 30th to August 1st, at the Seoul Arts Center Opera Theater. While this was one fewer performance than last year's four-performance run, the addition of the Daejeon Arts Center this year further expanded the scope of the event's reach.


In addition to Park Se-eun's longtime partner Paul Marc, the dancers included Léonor Bollac, Hannah O'Neill, and Guillaume Diop, returning to the Korean stage for the second year in a row. Amandine Albisson, Blouen Battistoni, Germain Louvais, Marc Moreau, Florent Mellac, and Mathieu Ganniot, considered the "symbol of 21st-century étoile," joined the lineup. The performance, featuring ten étoile dancers, raised expectations, living up to the title of "Étoile Gala." The addition of Mathieu Ganniot, anticipated since last year's performance, fueled curiosity about not only the "what" but also the "who."


The program, like last year, was divided into two parts, A and B, presenting 15 works. While the number of works was reduced, careful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selection of works, including a number of medium-length pieces from the repertoire and a full-length highlight of 〈Sleeping Beauty〉. Program A included two works by Mathieu Ganiot, while Program B included highlights from the entire production of 〈Sleeping Beauty〉 leaving audiences with even more to choose from. This highlights the planning prowess of Park Se-eun, who also serves as the show's producer.


Program A is 〈Le Chant du compagnon errant〉(choreographed by Maurice Béjart), Grand pas de deux from Act 3 of 〈Sleeping Beauty〉 Aurora-Désirée (choreographed by Rudolf Nureyev), 〈In the Night〉(choreographed by Jerome Robbins), 〈Three Preludes〉 (choreographed by Ben Stevenson), 〈Sonata〉 (choreographed by Uwe Scholz), Pas de deux from 〈Concerto〉(choreographed by Kenneth MacMillan), 〈Sonatine〉(choreographed by George Balanchine), Pas de deux from 〈Esmeralda〉 (Nikola Beriozov), Grand pas de deux from Act 2 of 〈The Nutcracker〉 (choreographed by Rudolf Nureyev), Program B is 〈Grand pas classique〉 (choreographed by Viktor Gsowski), Pas de deux from 〈Chroma〉(choreographed by Wayne McGregor), Grand pas de deux from Act 2 of 〈Swan Lake〉 The program features a balanced mix of classical and contemporary works, including Adagio (choreographed by Rudolf Nureyev), "The Captive" pas de deux from 〈Proust〉 (choreographed by Roland Petit), Sylvia and Aminta pas de deux from 〈Sylvia〉 (choreographed by Manuel Legry), and highlights from the first act of 〈The Sleeping Beauty〉 (choreographed by Rudolf Nureyev). The program also includes works not part of the Paris Opera Ballet's repertoire, demonstrating the careful consideration put into its selection.


Park Se-eun, Mathieu Ganiott, In the Night


The performance opened with 〈Le Chant du compagnon errant〉, a duet by Marc Moreau and Germain Loubet. This is the only male duo in the entire program, and marks its first appearance on a Korean stage. In Mahler's eponymous song cycle, which captures the pain of heartbreak, a young man, unable to attend the wedding of the woman he loves, secretly harbors his grief. However, in Béjart's choreography, two male dancers embody the young man's anguish, offering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s, allowing for the viewer to see the couple as lovers or as his inner alter ego. The refined lines, rendered through restrained movements, harmonize with the music, creating a lyrical work.


〈In the Night〉 based on Chopin's nocturne, depicts the different facets of love between three couples and was a highly acclaimed piece at the 2022 performance. Japanese pianist Ryoko Hisayama performed the piece live in this performance. Park Se-eun, alongside Paul Marc, once again impressed with her fresh yet passionate portrayal of a couple just beginning their romance. Léonor Bollac and Mathieu Ganniot portrayed the second couple, a stable and solid relationship that has matured into a love that is now stable and solid. Amandine Albisson and Florent Mélac portrayed the third couple, a precarious relationship teetering on the brink of collapse due to accumulated wounds and distrust. 〈In the Night〉 left a lasting impression, especially as this was the last performance of the piece, as the Jerome Robbins Foundation was no longer permitting its performance.


Uwe Scholz's 〈Sonata〉 is based on Rachmaninoff's "Sonata for Cello and Piano." Rachmaninoff did not simply assign the piano a role as an accompaniment, but rather an equal one. The piano leads most of the theme, while the cello embellishes and expands upon it. Scholz, who emphasized the horizontal dialogue between music and movement in his work, reflected this relationship between piano and cello in his choreography, creating a work depicting a couple's journey through life together. Ryoko Hisayama and cellist Kyung-jun Lee performed live, while Leonor Bollack and Mathieu Ganiot, reunited as partners after 〈In the Night〉 showcased their bond and trust through a gentle yet restrained partnership.


Furthermore, the performance included 〈Three Preludes〉 depicting the psychology of a couple of dancers blossoming in the rehearsal room; 〈Concerto〉 pas de deux, which celebrates the fundamental order of dance and the dedication of dancers through ballet's fundamental movements; 〈Sonatine〉 which departs from the formality of the typical grand pas de deux and unfolds like a free and relaxed conversation between two dancers; and 〈Esmeralda〉 which showcases exotic ornamentation. These performances fully showcased the charm of the work and its dancers.


Park Se-eun capped off Program A with a grand pas de deux from Act 2 of 〈The Nutcracker〉 co-starring Guillaume Diop. True to Nureyev's choreography, which emphasizes the technique of male dancers, the Prince dances independently and competitively, rather than supporting the Sugar Plum Fairy in the Adagio and Coda. Park Se-eun and Guillaume Diop each masterfully executed their own delicate choreography, yet maintained a sense of tension and created a majestic and harmonious pas de deux.


Everyone is a protagonist, Sleeping Beauty


While Program A focused on the harmony of contemporary and classical music, Program B, subtitled "French Classics Today," placed a stronger emphasis on classical music. The performance featured 〈Grand Pas Classique〉 considered the most challenging pas de deux in the existing classical repertoire; 〈Swan Lake〉 which epitomizes the formal beauty of classical ballet; and 〈The Sleeping Beauty〉 dubbed the "ballet of ballets" for its comprehensive demonstration of the dancers' stage skills and the ballet company's production capabilities. The performance also sought to re-establish the "French style" with 〈Sylvia〉 re-choreographed by Manuel Legry, a former member of the company's Étoile, and 〈Proust〉 by Roland Petit.


The performance opened with 〈Grand Pas Classique〉 performed by Hannah O'Neill and Paul Marc. As previously noted, 〈Grand Pas Classique〉 considered "the most difficult pas de deux in the existing classical repertoire," resulted in some mistakes due to the choreography's notorious adherence to the Danse décole. However, the two dancers executed the demanding technique flawlessly, maintaining grace and self-control throughout the performance.


The second stage was Wayne McGregor's pas de deux from 〈Chroma〉 which was excluded from the program during the Royal Ballet's Korean performance due to a dancer's injury, raising curiosity (however, the part scheduled for the Royal Ballet was the pas de trois from 〈Chroma〉 which does not match the part performed in this performance). Léonor Bollac and Guillaume Diop, accompanied by Joby Talvit's metallic music, created sharp, sharp angles with segmented and precise movements that defied the conventions of classical ballet, fully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body and movement. Considering that most contemporary works in this performance were presented in a poetic and lyrical tone, this performance was arguably the most impressive.


Roland Petit's 〈Proust〉 (originally titled "Proust, or Intermittent Tremors of the Heart") is a ballet adaptation of French author Marcel Proust's "In Search of Lost Time." Just as the original novel, written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echnique, focuses on the emotions and imagery of the characters rather than the narrative, the ballet is an abstract work that emphasizes the relationships and emotions between the characters. "The Captive Woman" pas de deux tells the story of obsession and destruction that unfolds as protagonist Marcel, suspicious of his lover Albertine's sexual orientation, seeks to restrain and control her. Amandine Albisson, who previously performed this piece at the 2019 〈Le Premiere Gala〉, partnered with Florent Mélac this time, using delicate and intense movements to portray the psychological restraints of love and the resulting erosion of dignity.


The most notable piece in Program B was 〈Sleeping Beauty〉 presented in a unique format of full-act highlights. In the 2014-2015 season, the Paris Opera Ballet took the unusual step of staging 〈Sleeping Beauty〉 twice, a feat made possible by the fact that the entire cast from the gala production appeared on stage. The dancers divided key scenes into relay-like stages, condensing the scenes featuring the two main characters, Aurora and Désirée, into highlights.


Park Se-eun took on Aurora's entrance and wedding pas de deux, Hannah O'Neill took on the Rose Adagio, and Léonor Bollac took on the Rose Variations, with dancers changing for each scene. This performance truly embodied the idiom "everyone is a protagonist." With opportunities to see Nureyev's choreography in its entirety limited, the performance, like a midsummer night's dream, offered a welcome respite from the disappointment of not being able to see it in its entirety.


While three gala performances might not be enough to fully experience the "French style," Park Se-eun's perspective seems to be different. She has titled next year's gala "Etoile of Our Time," announcing plans to present a performance featuring principals from leading ballet compan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herself, her partner Paul Marc, and Tyler Peck of the New York City Ballet. Will she lean back towards the additional ‘who’ she has been pulling towards, or will she have another ‘what’ prepared? Will the ‘what’ or ‘who’ she has prepared be able to change the gala style once again? We will have to wait and see what Park Se-eun, who is growing in confidence as a dancer and producer, will choose next.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