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20-2 (2025.8.20.) 발행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_ ⓒ대학로극장 쿼드·황승택
춤이란 무엇인가? 이 하나의 질문이 주제이자 내용인 메타 댄스의 목표는 결국 작가의 세계관을 통해 춤의 본질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시도는 관객이 춤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함으로써 장르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 다만 전통적인 관념이나 동시대의 현안과 관련한 주제가 아닌 까닭에 구성력이 약해지면 지루해지기 십상이다. 특정한 주제 지향 없이 전환되기만 하는 움직임들은 결국 춤의 나열에 그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메타 댄스는 작가가 인식하는 춤의 본질 못지않게 그것을 담아내는 참신한 스타일과 구성의 묘도 중요하다.
지난해 첫선을 보인 후 2025-2026 쿼드초이스 〈재연을 부탁해〉의 일환으로 다시 무대에 오른 리케이댄스의 〈올더월즈(All the World’s)〉는 춤에 대한 감각적인 에세이로 메타 댄스의 미학을 펼치는 작품이다. 거시적 관점에서 작품은 안무가 이경은의 에세이지만, 무대에서 펼쳐지는 자기 탐구는 퍼포머 개인의 이야기로 느껴지게 한다. 이런 콘셉트는 춤 담론이라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테마로 인해 현실과 괴리된 무대가 될 우려가 있다. 그럼에도 다른 경력을 지닌 11명의 춤꾼들이 보여주는 테크닉과 그에 어우러지는 무대미술이 그 한계를 극복하며 공동의 춤 에세이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한다.
창작진은 작품의 소개글을 통해 ‘차원’과 ‘경계’ ‘우주’ ‘멀티버스’ 등 형이상학적인 키워드를 대거 동원하고 있지만, 실제 무대는 매우 직관적이다. 개별 움직임과 무대미술이 선명하게 우주 공간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 무대를 지배하는 두 질문은 ‘춤추는 우리는 누구인가’와 ‘우리는 왜 춤을 추는가’이다. 작품은 처음부터 ‘인간=소우주’의 도식을 제시하며 간단하게 첫 번째 질문에 답한다. 이 ‘소우주론(論)’이라는 전제는 무척 단순하고 익숙한 구상이지만, 이질적인 춤의 속성과 시청각적 요소를 조합해 형상화하는 전략은 의외로 효과적이다.
‘춤’과 ‘춤추는 자’의 존재를 탐구하는 무대이기에 하나하나가 소우주인 춤꾼의 위상과 공간 배경은 내내 일치한다. 원형 패턴으로 그려진 눈 영상과 어우러지는 군무는 산개(散開)하고 집합(集合)하며 인간이라는 소우주를 표현한다. 때로 경련하는 집단적 움직임은 그들 각자가 개별적인 우주이지만 동시에 하나의 유기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자신의 이야기이자 인간이라는 존재에 관한 성찰을 소우주론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김장연 영상 디자이너가 참여한 미디어 아트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작품 콘셉트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무대 바닥에 프로젝션된 차원 그래프와 어우러지는 움직임, 타원 궤도에 따라 이동하는 춤꾼들의 동선은 그대로 공전하는 행성의 형상을 연상시킨다. 이경은은 여기에 비선형의 움직임을 추가하며 소우주론의 중력에 갇히지 않는 춤꾼의 주체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현대춤과 스트리트 댄스의 협업은 항상 흥미롭지만 매번 비슷한 한계에 봉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현대춤 안무가가 스트리트 댄스의 속성을 예술춤의 세계로 품으려는 데서 비롯되는데, 그 경우 두 영역이 하나로 섞이지 못하고 각자의 무대로 비치기 마련이다. 반면 ‘예술춤’이 아니라 ‘춤’을 그리고 있는 〈올더월즈〉는 두 영역을 융합하려 애쓴 흔적이 보인다. 그러면서도 스트리트 댄스의 즉흥적이고 분절적인 움직임 특징을 각 장면에서 잘 활용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다만 이들의 춤 속성을 과하게 반영한 것인지 세 번째 장인 ‘춤 세상’에서 이제껏 잘 유지해온 작품의 톤 앤 매너가 갑자기 일탈한다. 어두운 이(異)공간에서 펼쳐진 소우주의 여행이 배틀 장면으로 전환돼 갑자기 개인기를 펼치는 대목은 마치 발레의 디베르티스망 같다. 이는 전체 맥락에서 볼 때 이질적인 연출로 느껴진다.
작품이 다시 궤도에 오르는 것은 마지막 장인 ‘멀티버스’에 이르러서다. 차원이 왜곡되다가 붕괴되는 영상과 그 흐름에 동승하는 춤꾼들의 움직임은 멀티버스보다는 마지막의 난장을 위한 시동이다. 이를 증명하듯 방울 소리와 한국춤의 춤사위가 난무하고, 빠른 비트의 음악과 느린 춤사위가 엇박을 보여주는 무대는 이경은과 춤꾼들이 함께 쓰는 에세이의 절정이다. 이때 가세하는 화려한 라인과 파티클 영상은 이 무대를 하나의 만화경처럼 그려낸다. 장르나 계보와 같은 이런저런 현실적인 사정을 배제한, 이상적인 춤판을 표현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연출은 한편으로 대중친화적이면서 동시에 도발적인 실험으로도 느껴진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올더월즈〉는 춤 담론을 ‘인간이라는 우주’로 풀어내면서 이질적인 장르의 속성과 시청각 미디어를 활용해 춤의 감각을 다변화하는 작품이다. 현대춤과 스트리트 댄스의 협업, 영상 디자인의 활용이라는 익숙한 방법론으로 ‘춤추는 자’들의 존재론을 추적한 것은 재미와 의미를 아우르는 실험이다. 특히 이런 콘셉트의 작품에서 영상이 신체를 압도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양쪽을 잘 조율한 균형 감각이 돋보인다. 다만 60분이라는 공연 시간이 체감되지 않을 정도로 감각을 자극하는 요소가 많은 것은 양날의 검이다. 과잉과 결핍의 요소들을 정리하고 장의 구성과 장르 간 비중을 조율한다면 다음 무대에서 진일보한 춤 에세이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0-2 (2025.8.20.) Issue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s ⓒDaehakro Theater Quad and Hwang Seung-taek
A Kaleidoscope of Dance Unfolded by Microcosms: Lee K-Dance's 〈All the World’s〉
What is dance? Metadance, with this singular question as its theme and content, ultimately aims to reveal the essence of dance through the artist's worldview. This approach allows the audience to view dance from diverse perspectives, offering insight into the genre. However, because the theme is not related to traditional concepts or contemporary issues, a weaker structure can easily lead to boredom. Movements that merely transition without a specific thematic focus ultimately amount to nothing more than a series of dances. In this sense, metadance is as important as the artist'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dance as the novel style and subtlety of its composition.
Re-staged as part of the 2025-2026 Quad Choice 〈Please Re-enact〉 project after its debut last year, Lee K-Dance's 〈All the World’s〉 is a sensual essay on dance that unfolds the aesthetics of metadance. While the work i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 essay by choreographer Lee Kyung-eun, the self-exploration unfolding on stage feels like the individual stories of the performers. This concept, due to the abstract and conceptual theme of dance discourse, risks creating a stage that feels disconnected from reality. Nevertheless, the techniques demonstrated by eleven dancer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the accompanying stage design overcome these limitations, successfully creating a collaborative dance essay.
While the creative team extensively utilizes metaphysical keywords like "dimension," "boundary," "universe," and "multiverse" in the introduction, the actual performance is remarkably intuitive, as individual movements and stage design vividly portray cosmic space. The two questions that dominate this stage are, "Who are we who dance?" and "Why do we dance?" From the outset, the work presents the diagram of "humans = microcosm," offering a simpl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While the premise of this "microcosm theory" is a simple and familiar concept, the strategy of combining the disparate properties of dance and audiovisual elements to visualize it is surprisingly effective.
Because the stage explores the existence of "dance" and "dancers," the positions of the dancers, each a microcosm, and the spatial background are consistent throughout. The group dance, interwoven with circular patterns of eye images, disperses and gathers, expressing the microcosm of humanity. The sometimes convulsive collective movements reveal that each is an individual universe, yet simultaneously a single organism. In other words, the work presents its own story and a reflection on the human condition through microcosm theory. The media art, in which video designer Kim Jang-yeon participated, is not merely a backdrop but a central element of the work's concept. The movements, intertwined with the dimensional graph projected onto the stage floor, and the dancers' elliptical paths evoke the image of orbiting planets. Lee Kyung-eun adds non-linear movements to this work, demonstrating the dancer's agency, unconstrained by the gravity of microcosm theory.
The collaboration between contemporary and street dance is always intriguing, but it often encounters similar limitations. This stems from contemporary choreographers attempting to incorporate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dance into the realm of artistic dance. However, in such cases, the two domains often fail to blend, appearing as separate stages. In contrast, 〈All the World’s〉 which depicts "dance" rather than "artistic dance," demonstrates a commitment to integrating these two domains. Yet, it is striking how it effectively utilizes the improvisational and segmented movement characteristics of street dance in each scene. However, perhaps overly reflecting the danc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genres, the third act, "Dance World," abruptly deviates from the work's previously well-maintained tone and manner. The microcosmic journey unfolding in a dark, alien space suddenly transforms into a battle scene, where individual performances unfold, reminiscent of a ballet divertissement. This feels disjointed in the overall context.
The piece regains its momentum in the final act, "Multiverse." The images of dimensions distorting and collapsing, along with the dancers' movements, are less about the multiverse and more about the prelude to the final chaos. As if to prove this point, the stage, where the sound of bells and the rhythmic movements of Korean dances clash, and the fast-paced music and slow-paced dance moves are in sync, culminating in the essay Lee Kyung-eun and the dancers penned together. The dazzling lines and particle images that accompany this performance paint the stage like a kaleidoscope. This scene portrays an idealized dance floor, free from practical considerations like genre and lineage. This staging is intriguing in that it simultaneously appeals to the general public and serves as a provocative experiment.
〈All the World’s〉 interprets dance discourse as a "universe of humanity," diversifying the sensibilities of dance by utilizing the attributes of disparate genres and audiovisual media. Tracing the ontology of "dancers" through the familiar methodology of collaborating contemporary and street dance and utilizing video design is an experiment that encompasses both fun and meaning. While works with this concept often overwhelm the physical, this piece demonstrates a masterful balance between the two. However, the sheer number of sensory stimuli, to the point where the 60-minute performance time becomes undetectable, is a double-edged sword. By resolving the elements of excess and deficiency, and adjusting the composition and inter-genre balance, the next performance will likely yield a more advanced dance essay.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