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20-2 (2025.8.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의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이 지난 8월 2일과 3일 양일간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에서 올려지며 갈라 공연이 러시를 이루었던 올해 무대에 마침표를 찍었다.
임서린 & 알렉세이 함진 〈Our Codes〉 ⓒ Park Sang Yun
무용수들이 익숙한 클래식 작품과 개성 있는 컨템퍼러리 작품을 섞어 무대를 꾸미는 것은 이 공연이 초기부터 선보여온 방식이지만 올해 공연에서는 그동안 착실히 쌓아 올린 컨템퍼러리 작품의 저력이 유독 돋보였다. 이흥원이 파트너 마린 페르난데스와 함께 꾸민 〈실오라기(Un Fil)〉나 토마스 눈의 〈After the Party〉는 소속된 단체의 정체성이나 현재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의 컨템퍼러리가 아니라 무용수의 고유한 개성과 사유를 드러내며 갈라 공연이 보여주어야 할 ‘무엇’에 대한 나름의 대답을 내놓았다. 특히 〈After the Party〉는 무용수가 사람 형상의 고무 인형을 팔에 낀 채 안무를 수행하며 인간의 이중성과 내면의 치열한 다툼을 움직임으로 표현했는데, 무용수의 신체와 움직임의 확장성에 대해 돌아보게 하는 매우 인상적인 무대였다.
이수빈 & 보리스 주릴로프 〈백조의 호수〉 흑조 그랑파드되 ⓒ Park Sang Yun
다시 만나고 싶은 해외 무용수로 초청된 권세현은 해외 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뒤 유니버설발레단에서 활동하다 현재는 와이즈발레단 지도위원이자 무브먼트 몸(momm)의 대표로 안무와 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그는 동료였던 유니버설발레단의 알렉산드르 세이트칼리예프와 함께 자신의 안무작 〈침묵 속의 소음〉을 선보이며 사랑의 상실과 소통의 부재를 깔끔한 움직임과 농밀한 호흡으로 표현해냈다. 아직 레퍼토리가 많이 쌓인 것은 아니지만 만약 이 공연이 이처럼 재초청된 해외 무용수가 자신의 안무작을 선보이는 플랫폼 역할도 하게 된다면 ‘영스타’가 ‘해외무용스타’로, ‘다시 만나고 싶은 해외 무용수’로 긴 시간성을 갖는 구조 안에서 갈라 이상의 유의미한 공연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권세현 & 알렉산드르 세이트칼리예프 〈침묵 속의 소음〉 ⓒ Park Sang Yun
지난해부터 공연은 지역 무대가 추가되며 지역으로의 확장성에도 걸음을 내딛고 있다. 지난해에는 제주도에서, 올해는 거제도에서 공연이 올려지며 서울로 한정되었던 무대를 지역으로도 넓히고 있고, 또한 올해는 광주시립발레단의 황유정과 보그단 플로피뉴가 초청되어 〈세헤라자데〉를 선보였다. 최근 들어 광주시립발레단은 대한민국발레축제와 꾸준히 교류하며 단체의 대표 레퍼토리를 선보이는 무대를 만들고 있는데, 이처럼 지역 무대를 벗어나 서울 관객들과 접점을 만들어가는 것도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하겠다.
한예종 발레 전공 학생들로 구성된 케이아츠발레단이 단골로 초청되어 파드되 중심으로 전개되는 무대에 군무의 활기를 불어넣는 외에 지난해에는 이경은이 이끄는 리케이댄스가, 올해는 김재덕이 이끄는 모던테이블이 함께하는 등 컨템퍼러리 발레에서 현대무용으로까지 장르를 확장하고 있는 것도 공연의 방향성을 짐작케 하는 변화들이다.
케이아츠발레단 〈Dance of Goblin〉 ⓒ Park Sang Yun
갈라 공연이 늘어나며 이제는 갈라 공연조차 골라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올해는 아메리칸발레시어터와 로열발레단, 파리오페라발레단이 주역급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무용수와 단체의 스타 무용수들을 앞세워 대표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관객들의 눈을 한껏 높였고, 성남문화재단에서 2020년부터 올리고 있는 ‘발레스타즈’ 역시 해외 발레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무용수들 중심으로 여름마다 무대를 꾸미고 있다.
앞서 서술한 것처럼 이 공연을 이루는 요소들은 매우 견고하고 요소들의 어울림 또한 섬세한 안배가 깔려 있어 공연 자체의 완성도는 단단히 유지되고 있지만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를 내세운 공연의 고유성은 이제 중대한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 한국을 빛낸다는 국위선양의 프레임은 국가주의 프로파간다로 오해될 수 있고, 해외무용스타라는 정체성이 부여된 출연자들은 다른 갈라 공연의 출연진과 비교해 화제성에서 앞서지 못한다. 나는 20회의 공연을 일단락 짓고 새로운 첫걸음을 내딛는 지난해 공연 리뷰에서 이렇게 썼다.
“이 무대의 출연진은 한국의 엘리트 무용수로서 해외 ‘메이저’ 발레단 혹은 무용단에 입단해 활동하고 있는 이들이었고, 이 무대가 그들을 주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그들이 세계무대에 나아가 한국 무용계의 위상을 높이고 문화예술을 통한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 있었다. 그러나 공연이 20년 넘게 지속되는 동안 한국의 국가 경쟁력도, 한국 무용계의 위상도, 문화예술의 국제교류에도 큰 변화가 따르며 문화다양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컨템퍼러리 작품으로의 레퍼토리 확장이나 현대무용단체의 참여 등 출연자와 단체의 다양성 확보가 이어질수록 공연의 타이틀이자 정체성인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와의 거리는 점점 벌어지게 된다. 스타 무용수의 이름에서 공연 레퍼토리로 관심이 이동하는 것은 그만큼 공연 시장과 관객의 성숙도를 가늠케 하는 반가운 변화이나 이 같은 변화 앞에서 공연의 정체성을 어떻게 지켜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또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0-2 (2025.8.20.) Issue
Written by Danwoo Yoon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s courtesy of the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Project
The Future of the Original Ballet Gala: The 22nd International Dance Stars Shining on Korea
The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Project's "International Dance Stars Shining on Korea" performance, held at the Naru Arts Center Grand Theater on August 2nd and 3rd, marked the end of this year's gala rush.
This year, invited international dancers included Lee Soo-bin and Boris Zurilov of the Hungarian National Ballet, Lim Seo-rin of the Mikhailovsky Ballet in Russia, Alexei Hamjin of the Bolshoi Ballet, Lee Heung-won and Marin Fernandez of the Lithuanian Ora Dance Theatre, Beatriz Mira and Tiago Barreiros of the Portuguese Ballet, and Thomas Noon of Spain's Thomas Noon Dance. Kwon Se-hyun, formerly of the Netherlands National Ballet and the Norwegian National Ballet, was a foreign dancer whom the audience longs to see again, while Hwang Yu-jeong and Bogdan Flopinho of the Gwangju City Ballet were invited domestically. Cho Joo-hyun's K-Arts Ballet and Kim Jae-deok's Modern Table were invited dance companies, while Kim Bo-kyung of Busan Arts High School, Park Yoon-jae of Seoul Arts High School, Lee Won-gyeom of Sunhwa Arts High School, and Hong Tae-i of the Korea Arts Education Institute were invited young stars.
The dancers' blend of familiar classical pieces with distinctive contemporary pieces has been a hallmark of this performance since its inception. However, this year's performance particularly highlighted the strength of the contemporary pieces they have steadily built up over the years. Lee Heung-won's 〈Un Fil〉 with his partner Marin Fernandez and Thomas Noon's 〈After the Party〉 were not contemporary pieces that simply showcased the group's identity or current state. Instead, they revealed the dancers' unique personalities and reflections, offering their own unique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at a gala performance should be about. 〈After the Party〉 in particular, featured a dancer performing with a human-shaped rubber doll under her arm, expressing the duality of human nature and the intense inner struggle through movement. This was a truly impressive performance that prompted reflection on the extensibility of the dancer's body and movement.
Lim Seo-rin, along with Alexei Hamjin, performed 〈Our Codes〉 and the Act 2 pas de deux from 〈Giselle〉 while Lee Soo-bin, with Boris Zurilov, performed the grand pas de deux from 〈Swan Lake〉 (the Black Swan), and the balcony pas de deux from 〈Romeo and Juliet〉 While other performers performed only one work, these two were given two, effectively serving as the main stage. The performance sequence began with Lim Seo-rin and concluded with Lee Soo-bin. Lim Seo-rin displayed a performance more suited to the profound lyricism of 〈Giselle〉 than the free-flowing movements of the contemporary 〈Our Codes〉. Lee Soo-bin showcased her technical prowess and acting prowess, alternating between the glamorous Black Swan seducing the prince and the innocent Juliet, lost in the excitement of first love.
Kwon Se-hyun, invited as a dancer we want to see again, returned to Korea after living abroad and worked with the Universal Ballet. He currently serves on the Wise Ballet's instructional committee and represents Movement Momm, where he combines choreography and instruction. He collaborated with his former colleague, Universal Ballet's Alexander Seitkaliev, to present his choreography, 〈Noise in Silence〉 expressing the loss of love and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rough refined movement and intense rhythm. While the repertoire is still limited, if this performance serves as a platform for these re-invited international dancers to showcase their own choreography, the "Young Star" can evolve into a meaningful performance beyond a gala, with a longer-term structure that transforms the "Young Star" into an "International Dance Star" and a "Foreign Dancer We Want to See Again."
Since last year, the performance has expanded to include regional stages, further expanding its reach. Last year, performances were held on Jeju Island, and this year, on Geoje Isl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performances, previously limited to Seoul, to regional venues. Furthermore, this year, Hwang Yu-jeong and Bogdan Flopinho of the Gwangju City Ballet were invited to perform 〈Scheherazade〉. Recently, the Gwangju City Ballet has been actively collaborating with the Korea Ballet Festival to present performances showcasing its signature repertoire. This move beyond regional venues to connect with Seoul audiences is a significant endeavor.
The K-Arts Ballet, comprised of ballet students from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s a regular guest, injecting vitality into the pas de deux-centric performances with corps de ballet.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genres from contemporary ballet to modern dance, with the addition of Lee Kyung-eun's Lyca Dance last year and Kim Jae-deok's Modern Table this year, further signal the direction of the performances.
With the increase in gala performances, even those offering a selection of performances are now available. This year, the American Ballet Theatre, the Royal Ballet, and the Paris Opera Ballet captivated audiences with their signature repertoires, featuring leading Korean dancers and star dancers from various companies.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s "Ballet Stars," which began production in 2020, also features dancers from international ballet companies, staging performances every summer.
As previously mentioned, the elements of this performance are robust, and their meticulous coordination maintains a high level of quality. However, the uniqueness of this performance, which features "foreign dance stars who bring honor to Korea," now faces a significant challenge. The framing of "bringing honor to Korea" as a way to enhance national prestige can be misconstrued as nationalistic propaganda, and performers who are identified as international dance stars fail to generate as much buzz as performers in other gala performances. In my review of last year's performance, which concluded its 20-show run and marked a new beginning, I wrote:
"The performers on this stage were elite Korean dancers who had joined major international ballet or dance companie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age was to elevate the status of Korean dance on the world stage and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culture and the arts. However, over the past 20 years, the performance has witnessed significant changes in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status of the Korean dance industry, and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arts and culture, leading to a growing call for cultural diversity."
Ironically, as the repertoire expands to include contemporary works and the participation of modern dance groups continues to diversify the performers and groups, the distance between the performance's title and its identity, "Overseas Dance Stars Shining in Korea," grows wider. The shift in interest from the names of star dancers to the performance repertoire is a welcome development that reflects the maturity of the performance market and audiences. However, how to preserve the performance's identity in the face of such changes requires further consideration.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