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극장으로 간 사람들은 어떻게 ‘관객’이 되는가: 윤푸름프로젝트그룹 〈관객, 되기: 떨어진 감각을 이어 붙이기〉

 

 

공연비평

Vol.121-1 (2025.9.5.)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윤푸름프로젝트그룹


 

ⓒ 류진욱

 

안무가 윤푸름이 신작 〈관객, 되기: 떨어진 감각을 이어 붙이기〉를 선보였다. 공연은 8월 1일부터 3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올려졌는데, ‘관객 되기’라는 공연의 콘셉트에 따라 사실상 같은 제목의 다른 공연 세 편이 올려진 것이나 다름없다. 공연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가운데 ‘관객’이 공연의 성격을 결정하는 이 공연에서는 세 날짜 중 어느 날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해당 극장에 함께 있었던 관객들의 면면이 달라지고, 그 관객들이 어떤 사람이었느냐에 따라 공연을 다르게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같은 공연이더라도 캐스팅에 따라 공연이 달라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그렇기에 제목의 ‘관객 되기’ 앞에 생략된 것은 ‘어떤’ 혹은 ‘어떻게’이다. 무대를 비우고 관객의 위치를 바꾸고 퍼포밍의 정의를 바꾸면서 공연이 무엇인지에 대해 꾸준히 질문해 온 윤푸름은 이번 공연을 통해 극장에서는 ‘어떤’ 사람들을 관객이라고 명명하며, 그리하여 관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탐색한다.


 

ⓒ 류진욱

 

관객 참여형 공연들이 으레 그렇듯이 이 공연 역시 관객들이 극장에 입장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극장 안은 객석이 치워진 대신 무대 곳곳에 매트가 깔려 있고 무대 하부로 내려가는 계단이 노출되어 있다. 관객들은 매트 위에 삼삼오오 앉아 대화를 나누거나 계단을 통해 무대 하부로 내려가 극장 아래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행과 함께 왔다면 크게 당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갈 수 있겠지만 일행 없이 혼자 온 사람이더라도 대화에 참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매트마다 대화의 주제가 인쇄된 소책자가 준비되어 있어 관객들은 소책자의 문안들을 이정표 삼아 대화를 이어 나간다. 물론 대화가 무르익다 보면 이정표에서 벗어나기 십상이지만 그렇다고 해도 뭐랄 사람은 없다. 극장 안의 시간과 공간은 오롯이 관객들의 것이기에 그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운영할지는 전적으로 관객들의 선택에 달렸다.


소책자에는 공연과 관련이 있긴 하지만 평소에는 주의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던 주제들이 담겨 있다. 공연을 보러 집에서 나오기 전 외출복을 고를 때 극장이라는 장소성이 옷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주었는지, 이 공연의 티켓가격으로 책정된 3만 원이란 돈이 갑자기 생긴다면 무얼 할 건지, 자신이 이 공연이 올려지는 대학로예술극장의 극장주가 되어 극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어떻게 할 건지, 다양한 몸이 입장하는 극장에서 그 다양한 몸에 맞추어 자막이나 수어 해설 등의 접근성은 어떻게 확보해야 할지 등등.


 

ⓒ 류진욱

 

대화를 나누기 위해 소책자의 문안들을 훑어보는 동안, 그리고 문안이 지시하는 대로 매트에 함께 자리한 다른 관객들과 대화를 나누는 동안 사고는 자연히 공연의 내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아니라 공연 외적인 요소들로 이동한다. 공연의 내부를 구성하는 요소를 결정하는 것은 안무가를 위시한 창작진이지만 공연 외적인 요소들에는 더욱 많은 사람들이 개입하게 된다. 소책자의 문안이 이끄는 이러한 사고의 흐름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보는’ 존재라는 관객의 원래 정체성을 흐리게 만들고 관객들을 공연과 극장의 주체로 재정체화시킨다.


윤푸름은 관객들이 극장에 입장해 객석에 착석한 뒤 안내방송을 듣고 암전이 되어 공연이 시작되면 정자세로 무대에 시선을 고정한 채 무대에서 펼쳐지는 모든 퍼포먼스를 다 감상한 뒤 출연자들에게 박수를 쳐주고 일어나 극장을 나서는, 루틴처럼 전개되는 이 일련의 공연 감상의 상식적인 행위를 부수고 해체한 뒤 그 자리에 관객만을 남겨놓는다. 관객은 원래도 공연의 일부였지만 윤푸름의 〈관객, 되기: 떨어진 감각을 이어 붙이기〉에서 관객은 공연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며 주제인 동시에 정체성이다.


공연에 앞서 윤푸름은 몇 차례의 워크숍을 열어 관객들이 극장을 어떻게 이해하고 감각 하는지를 다각도로 실험했다. 참여자들은 이 실험을 통해 단순히 공연을 ‘보는’ 존재가 아니라 극장과 공연을 ‘매개하는’ 존재가 되었고, 실험의 결과는 소책자에 담겨 본 공연의 관객들을 위한 가이드로 재구성되었다.


공연에서 가장 흥미로운 요소는 이 되먹임이다. 소책자의 문안들은 본디 워크숍 참여자들이 공연에 앞서 극장이라는 공간을 감각하며 나눈 대화에서 추출된 내용들이다. 이 내용이 주제어로 정리되어 소책자에 담긴 뒤 본 공연의 관객들은 소책자의 문안에 따라 새로운 대화를 나눈다. 관객들은 극장에서 만난, 혹은 그날 공연을 함께 보기 위해 동반한 또 다른 관객과 대화를 나누는 동시에 이 자리에 없는 워크숍 참여자들과도 대화를 나누게 된다. 또한 워크숍과 본 공연에 모두 참여한 사람들은 몸은 본 공연이 진행되는 현재에 있으면서 워크숍이 진행되었던 과거의 자신과도 대화를 나누게 된다. 그래서 이 대화는 극장이라는 공간성을 넘어 이미 지나가 버린 워크숍의 시간성까지 포용하며 현재를 확장한다.


 

ⓒ 류진욱

 

대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나서 관객들 사이의 심리적 

거리가 부쩍 가까워졌을 무렵 스피커를 통해 다른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여러 편의 시에서 추출한 문장들을 반복적으로 듣는 동안 특히 깊은 울림을 남기는 시구는 시인 에이드리언 리치의 ‘잠자며, 행성들처럼 궤도를 돌며’의 한 구절이다. “두 세계를 사는 꿈속 영혼들은 영혼의 마을을 걸어 다니며, 대부분 서로 말을 나눈다”라는 문장은 마치 극장을 감각하기 위해 무대 곳곳을 탐색하며 걸어 다니고 옆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관객들의 모습을 시적으로 아름답게 형상화한 것 같다(물론 시가 먼저 발표되었고 공연은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다음 올려졌지만).


공연은 진행 스태프가 투명 필름에 인쇄된 스코어를 무대 한가운데 가져다 놓으면 관객들이 그중에서 아무것이나 골라 필름에 적힌 문장을 수행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관객은 스코어가 지시하는 대로 멈춰 있는 사람을 찾아 그 옆에 함께 있기도 하고, 걸어 다니는 사람 옆으로 가 보폭을 맞추며 걷기도 한다. 이름을 물어보고 나의 이름을 알려주며, 손을 내밀어 상대가 내 손을 잡는지 지켜보기도 하고, 무언가 움직임을 시도하는 사람에게 박수를 쳐주기도 한다.



ⓒ 류진욱

 

이때 관객들은 스코어가 지시하는 것을 ‘수행’하고 있지만, 누가 어떤 스코어를 선택하는지는 순전히 우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모든 퍼포먼스는 ‘수행’이 아니라 ‘발생’이 된다. 더 나아가 공연은 시작하는 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정해져 있지만 공연 시간 동안 벌어지는 모든 퍼포먼스는 관객들이 극장을 어떻게 이해하고 감각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이 공연은 공연 전체가 ‘상연’되는 것이 아니라 ‘발생’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윤푸름은 출연자는 춤을 추고 관객들은 그 춤을 감상한다는, 극장을 매개로 암묵적으로 지켜지던 ‘약속’을 깨고 관객들을 춤이 없는 무대로 끌어들이는 실험을 꾸준히 전개해나가고 있다. 그는 〈시간의 형태의 시간〉, 〈정지되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등의 전작들에서도 ‘춤 없는 춤’을 선보이며 극장에 대해, 춤에 대해, 관객에 대해 질문하며 극장이라는 공간을 통해 매개되는 주체와 객체의 의미를 환기시켜 왔다.


나는 그의 2021년 작 〈정지되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의 리뷰에서 “윤푸름의 작업에서 목격되는 역동들은 철저하게 그가 계산하고 의도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발생’이라기보다 ‘환기’에 가깝다”라고 썼다. 그의 전작들이 질문을 통해 극장과 춤과 관객의 의미를 ‘환기’시키고 있다면 이제 〈관객, 되기: 떨어진 감각을 이어 붙이기〉에 이르러 관객들은 드디어 ‘발생’의 주체로 재정립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발생’이 그의 다음 작업에서는 어떤 역동을 만들어낼지, 그가 일깨워준 감각을 날카롭게 벼리며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 듯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1-1 (2025.9.5.) Issue


Written by Yoon Dan-woo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 provided by Yoon Purum Project Group



How Do People Who Go to the Theater Become "Audiences"? Yoon Purum Project Group's 〈Becoming the Audience: Reconnecting Disjointed Senses〉



Choreographer Yoon Purum presented his new work, 〈Becoming the Audience: Reconnecting Disjointed Senses〉. The performance, presented from August 1st to 3rd at the Daehangno Arts Theater Small Theater, effectively amounts to three separate performances under the same title, driven by the concept of "Becoming the Audience." In this performance, where the "audience" is the defining element of the performance, the chosen date determines the profile of the audience present at the theater, and the audience's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is shaped by their individuality. This principle is similar to how the same performance can be transformed by casting.


Therefore, the omission before "Becoming an Audience" in the title is "what" or "how." Yoon Purum, who has consistently questioned what a performance is by emptying the stage, changing the audience's position, and reimagining the very definition of performance, defines "what" people in the theater as audiences, and thus explores "how" the audience is created.


Like many audience-participatory performances, this one begins with the audience entering the theater. Instead of seats, mats are laid out throughout the stage, with exposed stairs leading down to the lower level. Audience members can sit in small groups on the mats and converse, or descend to the lower level via the stairs to observe the structure below.


If you're with a group, you'll likely be able to engage in a natural conversation without much fuss, but even if you're alone, it's not difficult to join in. Each mat contains a booklet with topics for discussion, allowing audience members to use the phrases in the booklet as guideposts to continue the conversation. Of course, as the conversation matures, it's easy to stray from the mark, but even so, no one can object. The time and space within the theater belong solely to the audience, and how they manage that time and space is entirely up to them.


The booklet contains topics related to the performance, but not ones I'd normally consider carefully. When choosing clothes before leaving home to see a performance, did the theater's location influence your choice? What would you do if you suddenly had the 30,000 won (approximately $30 USD) that the ticket price for this performance was?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the owner of the Daehakro Arts Theater, where this performance is being staged, and could transform the theater? How should accessibility, such as subtitles and sign language, be ensured in a theater where diverse bodies enter?


While scanning the text in the booklet to spark conversation, and as the text prompts conversations with other audience members on the mat, my thoughts naturally shift from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performance to those outside it. While the choreographer and other creative staff determine the internal elements of a performance, even more people are involved in the external aspects. This line of thought, guided by the booklet's opening remarks, naturally blurs the audience's original identity as a "viewer" and re-embodies them as subjects of the performance and the theater.


Yoon Pu-reum dismantles and deconstructs the conventional routine of performance appreciation: audience members enter the theater, take their seats, listen to the announcement, and when the lights go dark, they maintain a straight posture, fix their gaze on the stage, absorbing all the performances unfolding on stage. They then applaud the performers and stand up to leave the theater. This routine is left behind, leaving only the audience. While the audience was already a part of the performance, in Yoon Pu-reum's 〈Becoming the Audience: Reconnecting Disjointed Senses〉 the audience is both the alpha and omega of the performance, its subject and its identity.


Prior to the performance, Yoon Pu-reum held several workshops to explore how audiences understand and perceive the theater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became not simply "viewers" of the performance, but "mediators" between the theater and th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reconstructed into a booklet, a guide for the audience of the actual performance.


The most fascinating element of the performance is this feedback. The text in the booklet was originally extracted from conversations held by workshop participants prior to the performance, as they sensed the theater space. These contents were organized into key themes and incorporated into the booklet, and the audience of the actual performance then engaged in new conversations based on the text. They conversed with other audience members they had met at the theater or accompanied to the performance that day, as well as with workshop participants who were not present. Furthermore, those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workshop and the actual performance, while physically present during the actual performance, conversed with their past selves during the workshop. Thus, this conversation transcends the spatiality of the theater, encompassing the temporality of the workshop, expanding the present.


As the conversation progresses and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members grows, a different voice begins to be heard through the speakers. While listening repeatedly to sentences extracted from various poems, one line that particularly resonated deeply was a line from poet Adrienne Rich's "Sleeping, Orbiting Like Planets." The line, "Dream souls living in two worlds, walk the village of the soul, and most of the time, they speak to each other," seems to beautifully and poetically depict the audience exploring the stage, walking and conversing with each other, trying to sense the theater (although the poem was published first, and the performance was staged half a century later).


The performance concludes with the production staff placing a score printed on transparent film in the center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choosing a random phrase from the film and performing it. As the score directs, the audience members either find someone who is still and stand beside them, or they walk alongside someone walking, matching their pace. They ask for names and tell others their own, extend their hand and see if they can take it, and applaud those who attempt to make a move.


At this point, the audience is "performing" what the score dictates. However, who chooses which score is purely a matter of chance, so all of this performance is not a "performance" but an "occurrence." Furthermore, while the performance has a set start and end time, the performance itself is designed to "occur," not be "staged." Because all performances during the performance are determined by how the audience understands and perceives the theater, this performance is designed to "occur," not be "staged."


Yoon Purum consistently experiments with the theater, breaking the implicit "promise" of the performer performing and the audience appreciating the dance, drawing the audience into a dance-free stage. In previous works, such as 〈Time in the Form of Time〉 and 〈Nothing is Still〉, he presents "dance without dance," questioning the theater, dance, and the audience, and evoking the meaning of subject and object mediated through the theater.


In my review of his 2021 work, 〈Nothing Is Still〉 I wrote, "The dynamics witnessed in Yoon Purum's work are closer to 'evangelization' than 'generation,' in that they are thoroughly calculated and intended results." While his previous works 'evangelized' the meaning of theater, dance, and audience through questioning, now in 〈Becoming the Audience: Reconnecting Disjointed Senses〉 we can say that the audience has finally been reestablished as the subject of 'generation.' It seems we can only wait to see what kind of dynamics this 'generation' will create in his next work, sharpening the senses he has awakened.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