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21-2 (2025.9.20.) 발행
글_ 이희나(춤평론가)
사진제공_ 국립발레단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 특별히 마음이 갔던 동화가 한두 편씩은 있다. 나에게 그것은 『인어공주』였다. 이야기의 비극적 상황에 더해, 동화는 해피엔딩일 것이라는 당위적 결말에 허를 찔려 두고두고 슬픈 결말을 곱씹었던 기억이 있다. 이 슬프고 아름다운 이야기는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디즈니에 의해 각색되어 사랑이 이루어지는 행복한 인어공주로 탈바꿈되었다.
지난 8월 13-17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된 국립발레단의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에 어린이 관객이 적잖이 보였던 이유도 디즈니 만화의 영향이 있었던 것 같다(나는 8월 17일 일요일 공연을 관람하였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이나 동화적 기대와 달리 존 노이마이어(John Neumeier) 안무의 발레 〈인어공주〉는 동화적 환상이나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었다. 여기에는 레라 아우어바흐(Lera Auerbach)의 음악도 한몫한바, 전자 악기 테레민의 신비롭고 구슬픈 곡조는 어둡고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 발레는 2005년, 『인어공주』를 창작한 덴마크의 동화 작가 안데르센(H.C. Andersen)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덴마크왕립발레단에서 초연되었다. 스토리의 기본 흐름은 유지하되 존 노이마이어식으로 현대적 색채를 가미하여 재해석된 내러티브를 보여주었다. 개인적으로는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작중 설정이나 의상, 무대 등에서 2017년 창작한 〈안나 카레니나〉와 유사한 느낌을 받았다. 왕자가 탄 배가 거대한 증기 유람선이라거나, 그가 친 골프공이 바다에 빠져 그것을 찾으려다가 왕자가 파도에 휩쓸린다는 설정은 동화 속 상상의 세계에 비해 이질적이고 현실적이다.
이 발레는 두 세계를 넘나든다. 골프를 치며 증기 유람선에서 선상 파티를 여는 현실의 세상과 인어가 살고 있는 바닷속 환상의 세계가 그것이다. 안데르센의 분신인 시인이 현실의 슬픔으로 흘린 눈물방울로 만들어낸 이 바닷속 세상에는 인어가 살고 있다. 지느러미를 형상화한 기다랗고 부드럽게 펄럭거리는 바지를 입고 유려한 팔 움직임으로 물살을 헤치며 헤엄치는 생명체들은 영락없는 인어의 모습이다. 아름답고 발랄한 인어는 자신의 세상에서 왕자를 발견하고 사랑에 빠져 그를 구해준다. 그러나 왕자가 사는 세상은 현실의 세계. 인어가 현실에 발을 딛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희생이 필요했다. 지느러미를 없애고 다리가 생기는 과정은 잔인하고 고통스럽다. 다리가 생긴 후에도 인어는 여전히 잘 걷지 못하며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 다리를 얻은 후 초반은 휠체어를 타야 했고, 그 후에도 어색하고 뚝딱거리는 마리오네트처럼 움직인다.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모습을 바꾸고 그 사람의 세계로 발을 디뎠지만 인어의 사랑은 응답받지 못했다. 슬픔과 괴로움은 더 커졌다. 바다마녀가 이를 해소하고 다시 자신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줬지만 결국 인어는 그러지 않는다. 고통을 감내하고 시인과 함께 별빛 가득한 하늘로 승천한다(인어가 물거품이 되는 대신 불멸의 영혼을 얻어 구원을 받는다는 안데르센 원작의 결말을 내포하고 있다).
이 작품에는 크게 다섯 명의 주요한 인물이 등장한다. 인어공주와 시인, 인어공주가 사랑하는 왕자(그는 시인이 사랑했던 에드바드와 닮았다), 그리고 왕자가 생명의 은인으로 착각하고 사랑에 빠져 결혼에 이르는 이웃나라 공주(에드바드와 결혼하는 헨리에트와 닮았다), 마지막으로 인어에게 두 다리를 주었다가 다시 인어로 돌아오는 방법을 일러주며 그녀에게 칼을 건네는 바다마녀가 있다. 모든 인물이 나름의 방식으로 개성이 강한 캐릭터를 보여주었다. 특히 바다마녀(곽동현)는 화려하고 빠른 움직임과 힘 있는 점프로 관객의 시선을 강탈하는 장면을 연출하여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한편, 왕자와 공주는 동화를 통해 상상했던 ‘늠름하고 멋진 왕자-상냥하고 아름다운 공주’의 스테레오 타입을 탈피하여, 가볍고 장난기 있으며 인어공주를 착각에 빠지게 하는 ‘나쁜남자’ 왕자(허서명)와 사랑하는 사람을 적극적으로 유혹하며 인어공주를 경계하는 자신만만한 여자(곽화경)으로 표현되었다.
왕자보다 비중 있게 그려진 역은 노이마이어가 창조해 낸 ‘시인’ 캐릭터다. 그는 양성애자였던 안데르센의 분신으로서 작품에서도 에드바드를 사랑하며 그를 빼닮은 왕자에게 이끌린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왕자를 사랑하는 인어공주의 그림자와 같은 역할을 한다. 시인은 극에 완전히 개입하지 않으면서 사건을 관찰하는 내레이터이자 인어공주와 감정을 교류하며 극의 안팎을 넘나드는 독특한 존재이다. 변성완은 멜랑콜리한 분위기와 절제된 감정표현으로 매력 있는 시인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 누구보다도 작품을 이끌어간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코 인어공주라 할 것이다. 이 역할은 한 작품 내에서 사랑과 호기심, 설렘, 두려움, 고통, 답답함, 아픔과 슬픔, 체념 등 복잡한 감정을 움직임과 연기로 표현해야 했다. 2024년 국립발레단에서 〈인어공주〉를 처음 올렸을 때부터 타이틀 롤을 맡았던 조연재는 그 미묘하고 섬세한 감정을 대단한 몰입감으로 훌륭하게 전달했다. 육지를 동경하는 바닷속에서는 손가락을 모아 헤엄을 치며 물보라를 일으키는 팔동작과 나풀거리는 지느러미 바지 속에서 힘차게 다리를 차올리며 세상 궁금한 것 많은 순수한 인어를 표현했다. 바다마녀에 의해 몇 겹의 지느러미가 벗겨지며 다리가 생기는 과정은 굉장히 폭력적이고 고통스럽게 묘사되었다. 2막의 첫 장면은 사랑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바다로도 돌아갈 수 없으며 목소리도 나오지 않는 인어공주의 갑갑한 심정을 그린 대목으로, 원근이 확연히 느껴지도록 만든 흰색 사각 틀 안에 갇혀 몸부림치는 장면으로 연출되었다. 왕자가 자신을 그저 우스꽝스러운 춤을 추는 귀여운 동생, 신부의 들러리로만 생각한다는 걸 깨달았을 때 토슈즈와 드레스를 벗어 던지며 오열하는 처절함은 관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되기에 충분했다. 그러하기에 인어가 마지막 무대 위로 올라갈 때 느끼는 카타르시스는 그만큼 배가되었을 것이다.
존 노이마이어에 의하면 발레 〈인어공주〉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다. 어떤 사랑은 이루어지지만 시인이나 인어공주의 사랑은 감정을 갈아 넣은 만큼의 응답을 받지 못한다. 사랑에 빠지기 전의 세상(바닷속)은 환상을 꿈꾸는 곳이지만 사랑을 알고 난 후의 세상(육지, 현실)은 행복하지만은 않으며 고통과 슬픔을 수반한다. 사랑을 구하는 과정은 괴롭고 슬프며 자신을 희생해야 할 때도 있다. 그럼에도 그 모든 마음이 받아들여져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과정들을 겪으며 한층 성장하고 고양된다. 인어가 물거품으로 사라져 버리는 결말이 아닌, 시인과 인어가 함께 새로운 세상으로 올라가는 장면으로 마지막을 연출한 대목에서 노이마이어가 말하고자 한 바를 알 수 있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Heena Lee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Korean National Ballet
From Fantasy to Reality, Dramatic Ballet Presented Through the Pain and Sublimation of Love: Korean National Ballet’s 〈The Little Mermaid〉 Choreographed by John Neumeier
Everyone has one or two fairy tales that particularly captivated them as children. For me, it was 『The Little Mermaid』. In addition to the story's tragic setting, I was taken aback by the assumed happy ending of fairy tales, and I remember ruminating on its sad conclusion over and over again. This sad yet beautiful tale was adapted by Disney, a company that “instills dreams and hope” and transformed into the happy Little Mermaid, a story of love and fulfillment.
The reason so many children were seen in the National Ballet of Korea’s 〈The Little Mermaid〉 performed at the Seoul Arts Center Opera Theater from August 13-17, likely stemmed from the influence of Disney cartoons (I attended the performance on Sunday, August 17). However, contrary to expectations of animation and fairytale-like elements, John Neumeier’s choreography was far from fairytale-like fantasy or beauty. Lera Auerbach’s music also contributed to this. The mystical and mournful melodies of the electronic theremin were enough to create a dark and gloomy atmosphere.
This ballet premiered at the Royal Danish Ballet in 2005 to commemorate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H.C. Andersen, the Danish author of 『The Little Mermaid』.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low of the story, the narrative was reinterpreted with a contemporary twist, in the style of John Neumeier. Personally, the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setting, costumes, and stage design evoked a similar feeling to 〈Anna Karenina〉, which he created in 2017. The setting—the prince’s ship, a massive steamship, and the prince’s search for a golf ball that falls into the sea—feel both alien and realistic compared to the imaginary world of fairy tales.
This ballet straddles two worlds: the real world of golf and a steamship party, and the fantastical underwater world inhabited by mermaids. Mermaids inhabit this underwater world, created by the poet, Andersen's alter ego, through the tears of his own real-life sorrow. The creatures, wearing long, gently fluttering pants shaped like fins and swimming with graceful arm movements, are unmistakably mermaids. A beautiful and lively mermaid discovers a prince in her own world, falls in love with him, and rescues him. However, the prince lives in the real world. The mermaid's journey to this reality required a tremendous sacrifice. The process of removing her fins and growing legs is brutal and painful. Even after gaining legs, the mermaid still struggles to walk and moves unnaturally. Initially confined to a wheelchair, she continues to move awkwardly, like a clanking marionette. She transforms for the love of her life and enters his world, but her love remains unrequited. Her sorrow and suffering deepen. The sea witch offers her a way to resolve this and return to her own world, but the mermaid refuses. She endures her suffering and ascends to the star-filled sky with the poet (a metaphor for Andersen's original, where the mermaid is saved by immortality, instead of being turned to foam).
This work features five main characters. There's the Little Mermaid, the poet, the prince she loves (who resembles Edvard, the poet's beloved), the neighboring princess whom the prince mistakes for his savior and falls in love with (who resembles Henriette, who marries Edvard), and finally, the sea witch, who gives the mermaid two legs and then teaches her how to return to being a mermaid, handing her a sword. Each character showcases strong personalities in their own way. The sea witch (Kwak Dong-hyun) in particular captivated audiences with her dynamic, agile movements and powerful jumps. Meanwhile, the prince and princess break free from the fairytale stereotype of “dignified and handsome prince - kind and beautiful princess”. The prince (Heo Seo-myeong) is portrayed as a lighthearted and playful “bad boy” who lures the mermaid into a delusion, while the confident woman (Kwak Hwa-kyung) actively seduces her lover and remains wary of the mermaid.
The character portray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Prince is the “Poet” created by Neumeier. As the alter ego of Andersen, who was bisexual, he loves Edvard and is drawn to the prince, who resembles him. However, he also serves as a shadow to the Little Mermaid, who loves the Prince. The Poet is a narrator who observes events without fully interfering with the play, and a unique figure who interacts emotionally with the Little Mermaid, moving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lay. Byun Seong-wan captivated the audience with his melancholic tone and restrained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if there were one character who carried the play more than anyone else, it would undoubtedly be the Little Mermaid. This role required the expression of complex emotions—love, curiosity, excitement, fear, pain, frustration, pain, sadness, and resignation—through movement and acting. Jo Yeon-jae, who has played the title role since the Korean National Ballet's first production of 〈The Little Mermaid〉 in 2024, masterfully conveyed these subtle and delicate emotions with remarkable immersion. In the sea, longing for land, she swims with her fingers clasped together, creating a splash with her arms, and powerfully kicks her legs within her fluttering fins, portraying a pure mermaid, curious about the world. The process of her legs growing as her fins are shed by the sea witch is depicted as extremely violent and painful. The first scene of Act II depicts the suffocating feelings of the little mermaid, unable to return to the sea, unable to speak, and unable to accept her love. The scene is presented as a struggle, trapped within a white square frame, with a sharp sense of perspective. When she realizes that the prince only sees her as a cute younger sister, a bridesmaid performing a comical dance, she throws off her pointe shoes and dress, weeping, and the devastation is fully conveyed to the audience. This, in turn, heightens the catharsis the mermaid feels when she finally ascends the stage.
According to John Neumeier, the ballet 〈The Little Mermaid〉 is a story about love. Some loves come true, but the love of the poet or the Little Mermaid doesn’t receive the response it deserves. The world before falling in love (under the sea) is a place of fantasy, but the world after learning about love (land, reality) isn’t always happy; it’s filled with pain and sorrow. The process of seeking love is painful and sorrowful, sometimes requiring self-sacrifice. Nevertheless, not all feelings are accepted and lead to a happy ending. However, people grow and are elevated through these experiences. The ending, where the poet and mermaid ascend together to a new world rather than the mermaid disappearing into bubbles, revealed Neumeier’s message.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