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21-2 (2025.9.20.)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박병민(사진가)
지난 9월 10일 부산 금정문화회관 금빛누리 홀에서 하야로비 무용단 창단 40주년 기념 공연 〈체념증후군〉(안무 정기정, 연출 손재서, 출연 궁다빈, 김현정, 박소희, 박은영, 정기정, 정나원, 정승환, 하이경, 방영미)의 막이 올랐다. 무엇보다 이번 공연의 방점은 ‘하야로비 무용단 창단 40주년’에 있다. 하야로비 무용단(이하 ‘하야로비’)은 1985년 부산 최초로 결성한 현대무용 단체로, 출발은 신라대 무용과 동문 단체 성격이었지만, 출신학교에 상관없이 누구나 받아들인 개방적이며 유연한 단체로 발전했다. 아마도 이런 개방성을 바탕으로 하야로비가 40년을 이어 올 수 있었을 것이다. 개방성은 구성원의 출신보다 하야로비라는 이름으로 모여 만들어내는 춤이 중요하다는 태도와 자신감에서 나왔을 것이다.
작품 제목 ‘체념증후군(Resignation Syndrome)’은 주로 스웨덴에 망명을 신청한 난민 가정의 아이들에게서 나타난 희귀한 정신 질환이다.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모두 정지된 상태에 빠지는데, 혼수상태, 무력감, 무감각, 무반응이 대표 증상이다. 사회적, 심리적 환경이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는 일종의 '신체화(Somatization)' 현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작품에서는 체념증후군을 기후 위기와 연결한다. 난민은 정주하지 못하는 불안정한 존재이고, 그들은 길 위에서 죽음을 맞을 수도 있다. 기후 위기로 인간이 살아가기 힘든 상태가 되어버린 지구에서는 인류 전체가 ‘기후 난민’이다. 난민은 타의에 의해 떠돌게 되었지만, 기후 난민은 스스로 위험을 초래했다는 차이가 있고, 정주(定住)하지 못한 채 생명에 위협을 받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작품은 연극성(theatricality)이 뚜렷한 절반 이상의 시간과 춤으로 응축된 나머지 부분으로 구성됐다. 무용에서 연극성은 춤의 형식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 이야기, 인물, 드라마, 감정, 메시지 같은 연극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용의 연극성은 관객에게 서사적 몰입과 감정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역할 수행한다. 작품 시작부터 나오는 검은 통은 중요한 상징이다. 검은 것은 오염, 암울함 같은 부정적 의미이다. 9명이 비좁아 보이는 검은 통 안에서 부대끼며 꿈틀대는 장면은 인류가 직면한 기후 위기와 환경 재난에 허덕이는 우리 모습이다. 통 안에는 상징적 인물이 함께 있는데, 체념증후군에 빠지는 소녀(정기정)다. 통에서 벗어난 사람들이 이어가는 서사는 소녀가 체념증후군에 빠지게 된 과정을 보여준다. 호루라기 소리, 사이렌 소리, 폭탄이 터지는 소리, 비바람 불고 천둥번개가 치는 소리는 무분별하게 진행된 인간의 파괴 행위를 의미한다. 이 작품에서 독특한 부분은 작품 시작부터 무대 상수 앞 구석에 자리 잡은 사운드 디자이너이다. 마치 무성 영화 시절의 변사처럼 관객이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 잡고 서사를 전달하며 작품 끝까지 함께 한다. 또한 작품 흐름과 움직임을 무대 안에서 보면서 소리의 타이밍과 강약을 조절하는 반주자로 개입하기도 한다. 특별한 무대장치가 없고, 검은 통과 몇 가지 소품 그리고 단순한 영상 효과만으로 채울 수 없는 부분을 소리가 채운다. 그뿐만 아니라 소리는 서사의 빈틈까지 메꾸고 있었다. 처음에 거슬리던 사운드 디자이너의 존재가 작품이 진행하면서 어느새 녹아들어 한 명의 캐릭터가 되었다.
중반을 넘어설 때까지 소녀를 중심으로 이어가던 연극적 구성은 군무와 함께 분위기를 전환한다. 군무는 활력 있는 통일감으로 에너지를 쌓아간다. 쉼 없이 이어지는 군무는 점차 전반부의 서사를 압도하면서 신명을 끌어 올린다. 춤에서 눈에 띄는 점은 군무를 끌고 가는 방식에서 정기정식 안무가 뚜렷하게 보였다는 점이다. 정기정 특유의 안무는 동작의 당위성을 천천히 쌓아가다가 후반부에 무대와 객석을 폭발적인 카타르시스로 몰고 가는 방식이다. 정기정은 안무뿐 아니라 독무를 통해서 춤꾼으로서의 가치도 증명해 보였다. 여기서도 소리는 곳곳에서 중심을 잡으면서 적극 개입하였다. 춤이 남긴 여운을 적절하게 끊기도 하고, 춤의 여운을 증강하기도 했다.
작품 종반에는 위기의 상징이었던 검은 통이 낡고 헐거운 돛을 달고 거친 바다를 헤쳐 나가는 위태롭지만, 희망을 상징하는 배가 되는 장면으로 마무리했다. 관객은 처음과 끝만으로도 작품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지금 세계가 당면한 위험이 직접적이고 엄혹하지만, 희망을 품고 나아갈 수밖에 없다는 메시지이다. 하야로비는 지난 2023년 정기 공연 〈객〉에서도 환경문제를 다루었다. 〈객〉의 부제는 ‘인간은 주인이 아닌 손님으로 왔다.’였다. 인간이 지구의 주인인 양 눈앞의 편리와 이익을 위해 자연을 마구잡이로 훼손하고 지구를 망치는 태도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인간관계에서 감지한 문제나 실존의 부조리 그리고 움직임의 근원을 주제로 다루던 태도에서 공동체의 문제로 사고를 전환한 것이다. 인류가 직면한 환경 문제를 인식하지 못한 채 해결책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존재 근거가 사라질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인간관계나 실존도 의미가 없어진다. 그만큼 기후와 환경 파괴 문제는 시급하고, 예술은 시급한 이 문제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이번 공연에서 하야로비는 2년 전에 보여준 문제의식이 단발적인 것이 아니며, 진지한 예술적 고민으로 놓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번 공연의 의미들은 가볍지 않다. 먼저, 하야로비가 40년 동안 활동해 왔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인데, 지역적 특수성과 보편성을 보듬어 안고 치열하게 살아남았다는 점은 지금 활동하는 상대적으로 젊은 단체들에 좋은 본보기가 된다. 다음은 주제가 인간에서 뭇 생명의 문제로 전환한 점이다. 이는 단체 작품이 안무자 개인의 세계관에 한정되지 않게 됐다는 의미이다. 주제의 확장은 세계관의 확장이며 태도의 전환이다. 마지막으로, 하야로비의 미래인 20대부터 과거이자 현재인 50대까지 똑같은 강도로 땀 흘려 무대를 채웠다는 점이다. 이런 장면은 부산 춤 공연에서 좀처럼 보기 힘들다. 하야로비는 4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젊었으며, 자신의 길을 묵묵히 가고 있는 한 단체의 뚝심을 보여 주었다. 두리번거리거나 주저하지 않고 ‘그냥 춤추고 마는’ 그런 뚝심 말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by Park Byeong-min (Photographer)
Celebrating its 40th Anniversary, a Dance for a Community That Speaks of Hope Through Resignation: Hayarobi Dance Company‘s 〈Resignation Syndrome〉
On September 10th, the Hayarobi Dance Company's 40th anniversary performance, 〈Resignation Syndrome〉 (choreographed by Jeong Gi-jeong, directed by Son Jae-seo, starring Gung Da-bin, Kim Hyun-jung, Park So-hee, Park Eun-young, Jeong Gi-jeong, Jeong Na-won, Jeong Seung-hwan, Hai Kyung, and Bang Young-mi), opened at the Geumbitnuri Hall of the Geumjeong Cultural Center in Busan. Above all, the highlight of this performance i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Hayarobi Dance Company.” Hayarobi Dance Company (hereafter referred to as “Hayarobi”) was the first modern dance company in Busan, founded in 1985. It began as a group of alumni from the Silla University Department of Dance, but has since evolved into an open and flexible group that embraces everyone, regardless of their schooling. This openness likely explains Hayarobi’s 40-year existence. This openness stems from the belief and confidence that the dance they create together under the name of Hayarobi is more important than the origins of their members.
The title of the work, 〈Resignation Syndrome〉 describes a rare mental illness primarily found in children from refugee families seeking asylum in Sweden. Severe psychological stress and trauma lead to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and mental dysfunction, with coma, helplessness, numbness, and unresponsiveness as typical symptoms.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form of “somatization” where social and psychological circumstances manifest as physical symptoms. The work connects Resignation Syndrome to the climate crisis. Refugees are precarious beings unable to settle down, and they may face death on the road. On a planet where the climate crisis has made life unbearable for humans, all of humanity has become “climate refugees”. While refugees are forced to wander, climate refugees have brought the danger upon themselves. They share the commonality of being unable to settle down and facing life-threatening threats.
This work comprises more than half of its time, with the remainder condensed into dance, a distinct theatricality. In dance, theatricality goes beyond the formal beauty of dance to encompass theatrical elements such as story, character, drama, emotion, and message. Theatricality in dance plays a crucial role in evoking narrative immersion and emotional empathy in the audience. The black barrel, which appe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 is a significant symbol. Black symbolizes negative connotations like pollution and gloom. The scene of nine people squirming and writhing within the seemingly cramped black barrel represents the struggles of humanity with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disasters we face. Inside the barrel is a symbolic figure: a girl (Jeong Gi-jeong) suffering from resignation syndrome. The narrative of those who escaped the barrel depicts the girl's descent into resignation syndrome. The sounds of whistles, sirens, bombs exploding, wind and rain, and thunder and lightning symbolize the reckless destruction of humanity. A unique aspect of this work is the sound designer, who is positioned in the front corner of the stage from the very beginning. Like a silent film narrator, he is positioned in a recognizable position, conveying the narrative and accompanying the entire piece. He also intervenes as an accompanist, controlling the timing and intensity of the sound while observing the flow and movement of the piece from the stage. Without any special stage props, sound fills in what black barrels, a few props, and simple visual effects cannot. Furthermore, sound even fills in the gaps in the narrative. The sound designer‘s presence, initially jarring, gradually blends into the piece, becoming a character.
The theatrical structure, which revolves around the girl until the mid-part, shifts its mood with the group dance. The group dance builds energy with a vibrant sense of unity. The relentless group dance gradually overwhelms the narrative of the first half, heightening the excitement. A notable aspect of the dance is the distinctly Jeong Gi-jeong style of choreography, which is evident in the way it drives the group. Jeong Gi-jeong’s signature choreography slowly builds the justification for each movement, before driving the stage and audience into an explosive catharsis in the second half. Jeong Gi-jeong demonstrated his value as a dancer not only through choreography but also through solo performances. Here, too, the sound actively intervened, establishing a central focus throughout the piece. It appropriately interrupted the lingering resonance of the dance, while also enhancing its impact.
The final scene of the piece concludes with a scene where the black barrel, once a symbol of crisis, transforms into a precarious vessel, navigating rough seas with worn, loose sails, yet symbolizing hope. The audience was able to grasp the work‘s messag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lone. While the dangers facing the world today are immediate and grim, we cannot help but embrace hope and move forward. Hayarobi also addressed environmental issues in his 2023 regular performance, 〈Guest〉. The subtitle of 〈Guest〉 was “Humans Come as Guests, Not Masters”. It questioned the attitude of humans, as if they were the masters of the Earth, recklessly destroying nature and ruining the planet for immediate convenience and profit. It shifted their focus from the perceived problems of human relationships, the absurdity of existence, and the roots of movement to the issue of community. If we fail to recognize the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humanity and find solutions, our very existence will disappear, and human relationships and existence will become meaningless. This makes climat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urgent, and art must not lose sight of this urgent issue. In this performance, Hayarobi confirmed that the critical awareness he displayed two years ago was not a one-time event, but rather a serious artistic concern.
The significance of this performance is significant. First, it demonstrates Hayarobi’s 40-year career. Their fierce survival, embracing both region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serves as a valuable model for relatively younger groups currently active. Next, the theme shifted from humanity to the concerns of all living beings. This signifies that the group‘s work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choreographer’s personal worldview. The expansion of the theme is an expansion of the worldview and a shift in attitude. Finally, the stage was filled with the same intensity of sweat, from Hayarobi‘s future in his 20s to his past and present in his 50s. This kind of scene is rare in Busan dance performances. Hayarobi, even after 40 years, remains youthful, demonstrating the tenacity of a group quietly forging its own path—a tenacity that doesn't hesitate or hesitate, but simply “dances”.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