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부산의 한국 창작 춤을 깨우는 ‘共舞’: 허경미 무용단 무무의 기획공연 〈공무〉

공연비평

Vol.121-2 (2025.9.20.)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박병민(사진가)



부산 춤판의 균형을 고민하는 공연 〈공무(共舞)〉가 지난 9월 6일 해운대 문화회관 해운홀 무대에 올랐다. 이 공연은 허경미 무용단 무무(이하 ‘무무’) 기획으로, 한국 춤을 바탕으로 활동하는 4팀이 참여했다. '무무'는 대표 허경미의 예술적 성과와 지속적인 활동으로 부산 한국 창작 춤판에서 상당히 비중 있는 단체이다. 그동안 독자 공연을 주로 선보였던 '무무'가 이번에는 다른 단체와 함께하는 기획 공연을 만들어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공연은 총 네 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시어터 아’의 〈말뚝이 vs 말 ver. 2〉, ‘온 댄스 랩’의 〈찬(燦)〉, ‘프로젝트 정중동동중정’의 〈정중동동중정〉, ‘허경미 무용단 무무’의 〈그리하여 능청이다〉가 그것이다. 기성 안무가와 춤꾼부터 신예 안무가와 춤꾼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참여진이 공연에 변화와 활력을 불어넣었다. 허경미는 공연 기획 의도에 대해 "춤꾼의 정체성은 어떤 '몸 언어'의 뿌리를 바탕으로 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무용 페스티벌이 현대무용으로 채워지는 현실 속에서 한국 춤 기반의 무용가들이 고립감을 느낀다. 그럼에도 묵묵히 자기 춤을 이어가는 창작자들과 함께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고 가능성을 점검하려는 의도"라고 덧붙였다. 이는 지역에서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는 한국 창작 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려는 깊은 고민을 보여준다.



첫 번째 작품 〈말뚝이 vs 말 ver. 2〉는 '시어터 아'의 신상현이 안무를 맡고 신상현, 김하은, 윤채린이 출연했다. 이 작품은 김지하의 시 〈소리 내력〉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 내면의 고통과 해방, 생명에 대한 철학을 탈춤의 '말뚝이'를 통해 풀어냈다. 신상현은 탈춤에서 ‘말뚝이가’ 풍자로 대항하는 사회적 위계와 권력의 억압을 현대사회의 모순 전체로 확장 해석했다. '말'과 '춤'으로 부당함에 맞서는 말뚝이를 보여주면서도, 탈춤 사위를 독창적인 몸짓으로 재해석하기도 했다. 원작 탈춤에서는 서사적 맥락 속에서 대사의 비중이 크지만, 이 작품에서는 대사를 단절적으로 사용해 전통적 서사를 제거하고 몸짓이 전달하는 자기 메시지에 집중했다. 이처럼 탈춤을 현대적으로 변용하려는 시도는 매우 신선했다. 다만, 관객들이 탈춤 대사의 뜻과 맥락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있었다면 몰입도가 더욱 높아졌을 것이다.


두 번째 작품 〈찬(燦)〉은 '온 댄스 랩'의 강경희가 안무하고 강경희, 이연정, 이담희, 김지운, 정선우가 출연했다. 서정적인 감성의 한국 창작 춤을 추구해 온 팀답게, 작품은 일상에서 느끼는 좌절의 순간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무대 하수 뒤편에서 시작된 춤은 반복과 차이를 통해 에너지를 차츰 쌓아갔다. 춤꾼들은 움직이는 공간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며 다양한 군집을 만들어냈다. 이들은 동일성과 개별성을 넘나들며 한계에 다가섰다가 물러서기를 반복하며, 마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과정처럼 끊임없이 변화를 쌓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절정에 이르러서는 원형의 톱 조명 아래로 모여들어 새로운 가능성의 시간으로 진입하는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빛난다'라는 의미의 제목처럼, 작품은 한계 속에서도 스스로 빛을 찾아가는 과정을 표현했다. 관념적인 주제를 어렵지 않게 풀어낸 안무가 돋보였으며, 시각적 스펙터클을 보완하거나 비중 있는 상징적 장치를 이용한다면, 충분히 확장성을 가진 작품이다.




세 번째 작품 〈정중동동중정〉은 프로젝트팀 ‘정중동동중정’의 작품으로 김지윤이 안무하고 박정현, 김리아, 김지윤이 출연했다. 이 작품은 '고요함(靜) 속의 움직임(動)'이라는 철학적인 개념을 몸으로 형상화했다. 정(靜)과 동(動)의 관계를 단순히 위계나 우선순위로 보지 않고, '서로를 품는 상태'로 표현한 점이 독특하다. 절제되고 규격화한 것처럼 보이는 동작들은 그 자체로 '정중동'이자 '동중정'의 미학을 담고 있다. 춤은 쉽사리 확산하지 않았고, 끝까지 흐트러짐 없는 태도를 유지하며 주제를 차분하게 끌고 갔다.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는 좋았으나, 구성에서 강약의 변화를 지금보다 분명하게 보여준다면, 작품의 완성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작품은 허경미의 〈그리하여 능청이다〉였다. 2022년에 9인무로 선보였던 작품을 독무로 재안무한 버전이다. 허경미는 안무 의도를 "세상 곳곳에서 벌어지는 불합리한 재난과 전쟁을 알고도 모른 척하며 살아가는 우리 자신에 대한 조롱의 춤"이라고 설명한다. 분노와 슬픔, 연민조차 애써 억누른 채 하루를 살아가는 '능청스러움'은 무기력함을 감추는 태도이자, 삶의 부조리를 인정하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허경미는 이 작품에서 과거 〈눈물〉에서 보여준 처연한 관능미와 〈꽃〉에서의 가녀린 능동미 그리고 〈진화〉에서의 깊은 회한의 정서를 능숙하게 엮어냈다. 첫 장면에서 얼굴을 덮은 붉은 천은 폭격을 피해 두 아이를 양팔에 안고 피신하는 여성이 쓰고 있던 피에 젖은 히잡(무슬림 여성이 착용하는 얼굴 가리개의 일종)이다. 무참한 폭력 속에서도 끝내 희망을 놓지 않고 살아내야 하는 인간의 비애를 상징하는 것으로 작품의 주제를 도입부에서 명확하게 드러내는 장치다. 시작부터 끝까지 혼자서 흐름의 변화와 감정의 고저, 에너지의 맺고 풂을 노련하게 조절하며 무대를 채워나갔다. 주제의 의미가 넓어 보이지만, 속살은 자전적 성격이 짙어 보인다. 이전 〈진화〉처럼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할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연 제목인 〈공무〉를 접했을 때, 문득 고려가요 '공무도하가'가 떠올랐다. 그 이유는 과거 허경미가 제6회 신인춤제전에서 〈공무도하가〉를 선보인 이후 '한의 신명'이라는 주제를 깊이 다뤄왔고, 이번 작품인 〈그리하여 능청이다〉에도 그가 천착해 온 주제 의식이 짙게 묻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무도하가'의 '공무(公無)'가 '임을 애타게 말린다‘라는 의미인 반면 이번 공연의 '공무(共舞)'는 '함께 춤춘다. 혹은 함께 추는 춤‘을 뜻한다. 허경미가 자신 내부의 고뇌에 집중했던 작품 세계에서 벗어나, 타자에게도 시선을 돌리는 태도로 전환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지역에서 예술적 교류와 연대를 모색하려는 의미 있는 시도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공연의 가치는 '함께 춤춘다'라는 의도만으로도 충분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by Park Byeong-min (Photographer)



“Gongmu”, Awakening Korean Creative Dance in Busan: Heo Kyung-mi Dance Company Mumu’s Project Performance 〈Gongmu〉



〈Gongmu〉, a performance exploring the balance of Busan’s dance scene, opened on September 6th at the Haeundae Cultural Center's Haeun Hall. This performance was planned by Heo Kyung-mi Dance Company Mumu (hereafter “Mumu”) and featured four teams based on Korean dance. Mumu, with its founder Heo Kyung-mi's artistic achievements and ongoing activities, holds a significant position in Busan's Korean creative dance scene. It is noteworthy that Mumu, which has primarily presented independent performances, has now collaborated with other groups to create a projected performance.


The performance consists of four works. These include 〈Malttugi vs. Mal ver. 2〉 by Theater Ah, 〈Chan (燦)〉 by On Dance Lab, 〈Jeongjungdongdongjungjeong〉 by Project Jeongjungdongdongjungjeong, and 〈So It’s a Neungcheong〉 by Heo Kyung-mi Dance Company Mumu. The diverse cast of participants, from established choreographers and dancers to emerging artists, brought change and vitality to the performances. Regarding the intention behind the performances, Heo Kyung-mi emphasized, “A dancer's identity is determined by the root of their ‘body language.’” She added, “With the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in Busan being dominated by contemporary dance, dancers with a Korean dance background feel isolated. Nevertheless, I intend to confirm each other’s existence and explore the potential of creative artists who quietly continue their dances.” This demonstrates a deep concern for solidifying the identity of Korean creative dance, which is facing a dwindling presence in the region.


The first piece, 〈Malttugi vs. Mal ver. 2〉 was choreographed by Shin Sang-hyun of Theater Ah and starred Shin, Kim Ha-eun, and Yoon Chae-rin. Inspired by Kim Ji-ha's poem 〈The History of Sound〉 this piece explores the inner suffering and liberation of human nature, as well as the philosophy of life, through the masked dance character “Malttugi.” Shin expanded the satirical reinterpretation of the social hierarchy and oppression of power that “Malttugi” confronts within the masked dance to encompass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ciety as a whole. While showing Malttugi confronting injustice through words and dance, he also reinterpreted the masked dance movements with unique gestures. While the original masked dance relies heavily on dialogue within the narrative, this work uses dialogue discretely, eliminating the traditional narrative and focusing on the self-contained message conveyed through gestures. This attempt to modernize masked dance was a refreshingly novel approach. However, the audience’s engagement would have been enhanced if there had been more explana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masked dance lines.


The second work, 〈Chan (燦)〉, was choreographed by Kang Kyung-hee of “On Dance Lab” and featured Kang, Lee Yeon-jeong, Lee Dam-hee, Kim Ji-woon, and Jeong Sun-woo. True to the team’s history of pursuing lyrical Korean dance, the piece delicately portrayed moments of frustration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in everyday life. Beginning behind the stage, the dance gradually built energy through repetition and difference. The dancers gradually expanded their space, creating diverse groups. They repeatedly approached and retreated from their limits, crossing between identity and individuality, demonstrating a constant accumulation of change, reminiscent of the process of increasing entropy. At the climax, they gathered under a circular saw light, creating a striking scene that ushered in a new era of possibility. True to its title, meaning “to shine” the work depicted the process of finding light within limitations. The choreography, which effortlessly addressed the conceptual theme, stood out, and the work could easily be expanded if complemented by visual spectacle or significant symbolic devices.


The third work, 〈Jeongjungdongdongjungjeong〉 was choreographed by Kim Ji-yoon and featured Park Jeong-hyun, Kim Lia, and Kim Ji-yoon. This work embodies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movement (動) in stillness (靜)” through the body. Its unique characteristic lies in its depi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illness (靜) and movement (動) as a “state of mutual embracing” rather than simply viewing them as hierarchies or priorities. The movements, seemingly restrained and standardized, embody the aesthetics of “Jeongjungdong” and “Dongjungjeong”. The dance did not easily expand, maintaining a composed and uncluttered attitude throughout, calmly carrying the theme forward. While the in-depth exploration of the theme was commendable, the work’s completeness would have been enhanced if the composition had more clearly demonstrated the dynamics of intensity.


The final work was Heo Kyung-mi’s 〈So It’s a Neungcheong〉. This is a solo version of a work originally performed as a nine-person dance in 2022. Heo Kyung-mi explains the choreographic intent as “a dance that mocks ourselves for living in ignorance of the absurd disasters and wars unfolding around the world.” The “slyness” of living each day while desperately suppressing anger, sadness, and even compassion is both an attitude that conceals helplessness and a dual meaning of acknowledging the absurdity of life. In this work, Heo Kyung-mi skillfully weaves together the poignant sensuality she displayed in 〈Tears〉 the delicate, active beauty of 〈Flower〉 and the profound regret of 〈Evolution〉. The red cloth covering the face in the opening scene is a blood-soaked hijab (a type of face covering worn by Muslim women) worn by a woman fleeing a bombing raid with two children in her arms. This device symbolizes the human tragedy of persevering despite brutal violence, never giving up hope, and clearly reveals the work's theme from the very beginning. From beginning to end, she skillfully controlled the changing flow, emotional highs and lows, and the energies that formed and unraveled, filling the stage. While the theme seems broad, its essence appears deeply autobiographical. Like the previous 〈Evolution〉, I anticipate this work to be adaptable to any situation.


When I heard the title of the performance, 〈Gongmu〉 the Goryeo folk song 〈Gongmu Dohaga〉 suddenly came to mind. This is because Heo Kyung-mi has delved deeply into the theme of “the spirit of Han” since presenting 〈Gongmu Dohaga〉 at the 6th New Dance Festival, and her current work, 〈So It’s a Neungcheong〉 is also deeply imbued with this same thematic awareness. However, while “Gongmu” in “Gongmu Dohaga” means “desperately pleading for someone”, “Gongmu” in this performance means “dancing together, or a dance performed together”. This demonstrates Heo Kyung-mi’s shift from a work focused on her own inner struggles to one that also focuses on others. Beyond a simple performance, this is also a meaningful attempt to foster artistic exchange and solidarity within the region. Therefore, the value of this performance lies in its simple intention: “Dancing Together”.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