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드라마틱한 무용극으로 그려낸 나주의 이야기: 비상무용단 〈청명〉

※ 이 비평문은 2025년도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지역공연 비평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공연비평

Vol.121-2 (2025.9.20.) 발행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비상무용단



절기 ‘청명’의 의미를 담다


한민족은 전통적으로 24절기를 가지고 있다. 그 절기 중 5번째에 해당하는 ‘청명(淸明)’은 하늘이 맑고 햇빛이 밝아지는 때를 상징한다. 이것은 절기의 본질과도 맞아떨어진다. 그러나 청명은 단순히 계절을 나누는 이름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상징적 표현”이라고 한다. 이 밖에도 청명의 언어적 상징성은 새로운 시작, 정화와 치유를 나타낸다. 인간과 자연의 조화, 새로운 출발, 정화와 치유라는 주제는 보편타당하게 대중적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주제를 현대무용의 자유로운 몸짓, K-댄스의 대중적 감성, 전통 국악 라이브 연주라는 세 가지 요소로 녹여낸 창작 무용극이 있었다. 특히 다양한 음악과 세 장르를 수용한 안무, 무대연출이 종합적으로 이뤄져 관객들 누구나 어렵지 않게 몰입해서 관람할 수 있는 공연이었다.



그 무대는 비상무용단의 〈청명〉이었는데, 지난 8월 14-15일 이틀 동안 나주문화예술회관에서 3회에 걸쳐 선보였다. 원제 〈K-풍류 나주의 전설: 청명(淸明)〉(이하 〈청명〉)은 조용한 나주를 'K-컬처 콘텐츠'로 화려하게 부활시켰다. 나주 영산포를 배경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설 ‘아비사’와 ‘아랑사’ 이야기와 삼색유산놀이를 결합한 작품은 문화체육관광부 ‘2025 지역대표 예술단체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다. 그동안 삼색유산놀이의 경우는 마당극으로 다뤄졌지만 두 모티브를 조합해 최초로 만든 무용극이 〈청명〉이다.


비상무용단의 지역 그리기


비상무용단은 지난 2007년 창단된 무용단으로 현재 동신대학교 공연예술무용학과 교수로 있는 박종임 대표가 이끌어가면서 광주에 기반을 두고 활동했으나 나주로 중심을 이동했다. 무용단은 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한 공연을 선보이며 현대무용의 아름다움을 알려왔다. 〈청명〉 작품 역시 구체적으로 나주 지역을 스토리텔링 하고 있다. 나주시에는 앙암바위 전설이 있고, 여기에 나주에만 있는 삼색유산놀이를 더해 지역의 이야기를 현대로 되살린 실례(實例)이다. 공연은 이를 예술적으로 발전시키고 다이내믹한 춤-판, K-판으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미션과 전략이 명확하고 일관되었다. 또한 나주의 물결 따라 흐르는 이야기, 바람결 따라 춤추는 전설, 지역대표 문화유산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기존 단체는 18년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기에 지역 공연으로서는 드물게 전석매진이라는 상황을 만들어냈다. 비상무용단은 지역사회의 무용공연예술기반을 조성하고 문화신장에 기여하며 창작과 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성과 예술성을 결합해 창조적이고 실험적이며 여러 장르를 복합한 다원예술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녔다. 따라서 이번 공연은 목표를 현실적으로 구현해 나주의 무용예술을 널리 알리고 다원예술의 형식을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소개했다. 


모티브: 삼색유산놀와 앙암바위 전설 


창작무용 〈청명〉은 안무가가 나주 고유의 전통 민속놀이이며 대표적인 무형문화유산인 ‘삼색유산놀이’와 ‘배꽃놀이’ 그리고 삼국시대 아랑사·아비사의 비극적 사랑 이야기가 서린 영산강 황포돛배 선착장의 ‘앙암바위’ 전설을 모티브로 무대 위에 재현했다. 이는 나주의 역사와 문화를 춤으로 전달한 것이다. 우선 삼색유산놀이는 음력 3월, 부녀자들이 중심이 되어 신분을 초월해 함께 산신제를 지내고 춤과 노래, 음식과 술을 나누던 대표적인 나주지역 축제였다. 또 다른 이름으로 ‘화전놀이’, ‘산놀이’ 또는 ‘유산(遊山)’으로 불렸다. 이 삼색유산놀이는 나주읍성에 살았던 부녀자를 중심으로 양반, 상민, 천민 등 세 계층이 신분을 가리지 않고 하나의 집단으로 놀았던 민속놀이로,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여성들의 축제였다.


또 다른 모티브인 나주 영산포를 배경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설 ‘아비사’와 ‘아랑사’의 사랑 이야기였다. ‘앙암바위’ 암벽에는 애절한 남녀가 서로 바라보는 듯한 바위 형상이 있다. ‘아비사’는 효심 깊은 딸이고 ‘아랑사’는 뛰어난 어부였다. 아비사와 아랑사는 사랑에 빠졌고, 이를 시기한 마을 사람들은 아랑사를 앙암바위 아래로 떨어뜨려 죽였다. 충격과 슬픔에 빠져 앙암바위를 찾은 아비사를 돕는 듯 큰 구렁이 한 마리가 아비사 몸에 휘감겨 사랑을 나누었다. 마을 사람들은 나쁜 징조라 여겨 바위 아래로 굴려 구렁이와 아비사를 죽였다. 이후 마을에는 나쁜 기운이 감싸고, 질투가 많았던 젊은이들은 시름시름 앓았다. 두 마리 구렁이가 밤마다 나타났다. 마을 어른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력 8월 씻김굿을 하며 그 둘의 넋을 위로했다. 굿을 하는 모습이 〈청명〉에서도 선명하게 나타났다. 


현대무용, 스트릿댄스, 한국무용의 결합 




〈청명〉은 총 6막으로 구성되었는데, 1막에서 3막까지는 현대무용으로 사랑의 이야기를 다뤘다. 그리고 4막에서 6막까지는 국악과 한국무용, 스트릿댄스를 혼합해 감각적으로 재해석했다. 실질적으로 초반부에 현대무용으로 역동적이며 강렬하게 서사를 풀었고 한국무용을 통해 사랑과 평등이라는 부분을 애절하게 표현했다. 분절적이며 강인한 동시에 자유로운 현대무용의 움직임 어휘와 내적 에너지를 분출하며 공동체 의식을 담아 신명 나게 놀아본 한국무용의 춤선과 감정, 아크로바틱하면서도 파워풀하고 거칠 것 없는 스트릿댄스가 다이내믹한 춤판, 2025 K판의 완성으로 귀결되었다. 특히나 난해한 현대무용이 익숙지 않을 관객들을 고려해 삼색유산놀이를 담아낸 전통 풍류와 현대의 안무가 조화를 이룬 점은 영리한 연출이었다. 더군다나 전통문화를 이 밖에도 스트리트댄스·국악 등 다양한 장르로 재해석한 안무 구성은 작품의 몰입도를 높였고 특히 북·장구 등 풍물패가 객석에서 등장해 무대 곳곳을 누비는 선풍적인 퍼포먼스로 한국적인 공동체 문화의 정수를 보여줬다. 자연과 예술, 인간의 삶이 조화롭게 흐르는 멋스러운 풍류, 한 편의 축제 같은 무대였다.                                    

   

드라마틱한 전개와 표현적인 춤의 구성  


프롤로그에서는 샤막에 신비로움이 깃든 바다와 물결의 영상이 흐른다. 샤막이 걷히면 상수에서 여성이 계단을 걸어 내려온다. 그녀는 아비사(장혜원)이다. 이때 무용수들은 바다를 의미하는 공간 바닥에 낮게 위치해 느린 움직임을 시작했고, 줄 끝에 달린 전등이 올라가면 바로 아랑사(정희엽)와 아비사의 사랑의 듀엣이 이뤄지며 중앙에는 남성들의 군무가 펼쳐졌다. 전등이 올라간 자리에는 달을 연상시키는 둥근 원형의 세트가 내려와 완전한 조화의 형상 안에서 피어난 사랑의 여정을 알렸다. 1막 사람 그리고 빛에서 그려지는 5인의 남성들과 아비사의 군무는 역동적이었다. 주로 남성무용수들이 아비사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 동작이 많았으며 이후 정희엽의 탄탄하면서도 자유로운 춤과 조화를 이루는 장혜원은 아름답고 견고한 발끝과 긴 선을 과시하며 여린 신체에도 불구하고 힘찬 움직임을 구사했다. 뒤이어 여성 군무진들이 대거 투입되는데, 2막 일필휘지의 순간이다. 빠르고 속도감 있으며 분절적인 움직임과 반복적인 음악의 연속이다. 세상의 아름다움을 마치 붓을 들고 한 번에 글씨를 써 내려가듯 신체를 통해 춤동작으로 연결했다. 전체적으로 움직임이 감각적이기보다는 열정적이며 진솔했다.




3막 사랑 愛에서는 가슴 아픈 애절한 사랑의 감정을 흩뿌리는 남녀 듀엣이 계속 이어졌고, 4막 감정의 결 부분에서는 욕망과 이상 그 어디쯤에 있는 인간 군상의 모습이 전체 군무로 펼쳐지는데 음악은 강렬하고 느리나 이 부분이 하이라이트로 느껴졌다. 5막 시간 위를 걷는 그녀들에서는 시간과 춤, 노래를 연결한 감정적 표현이 주를 이뤘다. 중앙으로 모여 암전 후 국악에 알록달록한 영상, 10명의 스트릿댄서들이 등장해 특유의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국악과 스트릿댄스의 크로스오버였다. 6막 풍류에서는 멋스러운 나주 사람들의 풍류, 현대적 축제와 공동체 예술로 확장한 멋진 선언, 춤판으로 확대되었다. 사물놀이패가 객석에서 합쳐졌고 무대 위에는 부채 든 군무, 굿을 연상시키는 지전춤, 중앙의 남성 솔로, 무대 아래에서는 사물놀이의 연주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공간에서 남녀 주인공은 서로의 만남을 기뻐하며 해피엔딩을 맞는다.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지역무용의 재발견


각 지역마다 갖고 있는 설화나 전설은 많고, 이를 스토리텔링하는 무용작업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그 내용만을 그대로 차용해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예술적으로 표현해내면서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청명〉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고 국악과 현대무용, 스트릿댄스가 교차하며 마치 한편의 드라마처럼 무대를 충만하게 채웠다. 또한 안무자가 단순한 지역 문화의 재현을 넘어 인류 공동의 고귀한 여정을 그려내는 철학적 무대, 춤은 단순한 동작이 아니라 존채의 이유를 탐색하고 실현해야 할 이상을 표현하는 매개체, 나주의 문화유산을 통해 보편성과 지역성의 조화를 시도하고 관객에게 깊은 감동과 자신의 마음을 성찰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 예술적 메시지를 오롯이 전했다. 본 공연이 지역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널리 퍼져나가기 위해서는 단절된 장면들을 유기적으로 보완하고 움직임의 고도화, 한국의 정체성을 더한 미장센으로 확대되길 바란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 This critique was written with support from the 2025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s Regional Performance Criticism Support Project.

Review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Jang Ji-won (Dance Critic)

Photos provided by Bisang Dance Company



Naju's Story Depicted in Dramatic Dance: Bisang Dance Company's 〈Cheongmyeong〉



Capturing the Meaning of the Season 〈Cheongmyeong〉


The Korean people traditionally observe 24 solar terms. The fifth of these, "Cheongmyeong," symbolizes a time when the sky is clear and the sunlight is bright. This aligns with the essence of the season. However, Cheongmyeong is not simply a name for the season; it is a "symbolic expression of the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Furthermore, the linguistic symbolism of Cheongmyeong signifies a new beginning, purification, and healing. The themes of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a new beginning, purification, and healing are universally relatable and will resonate with the public. This original dance drama melded these themes with three elements: the free movement of contemporary dance, the popular sensibility of K-dance, and live performanc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Notably, the choreography and staging, incorporating diverse music and genres, were comprehensively executed, ensuring an immersive experience for all audiences.


The performance was 〈Cheongmyeong〉 by Bisang Dance Company, presented three times over two days, August 14th and 15th, at the Naju Culture and Arts Center. Originally titled 〈K-Pungryu Naju Legend: Cheongmyeong〉 (hereafter 〈Cheongmyeong〉), the piece brilliantly revitalized the quiet city of Naju through "K-culture content." Combining the folktales of "Abisa" and "Arangsa" from Yeongsanpo, Naju, with the Samsaek Heritage Play, the piece was produced as part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2025 Regional Representative Arts Group Support Project." While the Samsaek Yusan Nori has been treated as a traditional Korean dance play, 〈Cheongmyeong〉 is the first dance play to combine the two motifs.


Bisang Dance Company's Regional Portrayal


Bisang Dance Company, founded in 2007, is led by Park Jong-im,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and Dance at Dongshin University. Originally based in Gwangju, the company has since relocated its headquarters to Naju. The company has showcased the beauty of modern dance through performances rooted in local culture. 〈Cheongmyeong〉 also specifically tells the story of the Naju region. Naju is home to the Angam Rock legend, and by adding the unique Samsaek Yusan Nori, it exemplifies the revival of a local story into the modern era. The performance's mission and strategy were clear and consistent: to artistically develop this narrative and expand it into a dynamic dance performance, a K-style version. Furthermore, it vividly portrayed the story flowing along Naju's waves, the legend of dancing along the wind, and the region's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The existing troupe, with its 18-year history, achieved a sellout, a rare feat for a local performance. Bisang Dance Company aims to foster a foundation for the local dance performing arts, contribute to cultural development, and, based on its creative and educational experience, combine diversity and artistr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xperimental, and interdisciplinary art forms. Therefore, this performance realistically realized its goals, widely promoting Naju's dance arts and successfully introducing interdisciplinary art forms to the local community.


Motif: Samsaek Yusan Nori and the Legend of Angam Rock


The creative dance 〈Cheongmyeong〉 was recreated on stage by the choreographer, drawing on the motifs of "Samsaek Yusan Nori," Naju's traditional folk games and representati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tes, and "Pear Flower Nori," as well as the legend of "Angam Rock," the Yeongsan River Hwangpo Sailboat Dock, which tells the tragic love story of Arangsa and Abis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dance conveys Naju'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dance. First, the Samsaek Yusan Nori was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the Naju region held in the third lunar month. Women, regardless of social status, gathered together to perform a mountain god ritual, sharing dance, song, food, and drink. It was also known as "Hwajeon Nori," "San Nori," or "Yusan." This Samsaek Yusan Nori was a folk game played by women living in Naju's town fortress, regardless of social status, and was a festival for women that contributed to community building.


Another motif, set in Yeongsanpo, Naju, was the love story of "Abisa" and "Arangsa." On the cliff face of "Angam Rock," a rock formation resembles a man and woman gazing at each other with longing. "Abisa" was a devoted daughter, while "Arangsa" was an accomplished fisherman. They fell in love, and jealous villagers threw Arangsa to death from the cliff. As if to help Abisa, who had come to Angam Rock in shock and grief, a large snake wrapped itself around her and made love to her. The villagers, believing it to be a bad omen, killed the snake and Abisa by rolling them down the rock. Afterwards, the village was enveloped in a dark energy, and the jealous young men suffered from anxiety. The two snakes appeared nightly. To resolve this issue, the village elders performed a ritual called Ssitgimgut (cleansing ritual) in the eighth lunar month to console the couple's souls. The ritual itself is vividly depicted in "Cheongmyeong."


A Combination of Modern Dance, Street Dance, and Korean Dance


〈Cheongmyeong〉 consists of six acts. Acts 1 through 3 depict a love story in modern dance. Acts 4 through 6 offer a sensual reinterpretation, blending traditional Korean music, Korean dance, and street dance. The first half of the story is dynamic and powerfully told through modern dance, while Korean dance poignantly expresses the themes of love and equality. The movement vocabulary of contemporary dance, both segmented and powerful yet free, combined with the vibrant dance lines and emotions of Korean dance, which unleashed inner energy and a sense of community, culminated in the dynamic dance performance of the 2025 K-Pop. The production cleverly blended traditional Pungryu, which incorporated the Samsaek Yusan Nori (tradit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contemporary choreography,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audience's unfamiliarity with the complexities of contemporary dance. Furthermore, the choreography, which reinterpreted traditional culture through various genres such as street danc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heightened the immersion of the piece. The sensational performance of the Pungmul band, featuring drums and janggu, emerged from the audience and moved throughout the stage, capturing the essence of Korean communal culture. The performance was a magnificent Pungryu, a festival-like experience where nature, art, and human life flowed in harmony.


Dramatic Development and Expressive Dance Composition


The prologue features images of the sea and waves, imbued with a mystical air. When the curtains lift, a woman descends the stairs from Sangsu. She is Avisa (Jang Hye-won). At this moment, the dancers, positioned low to the floor in the space symbolizing the sea, begin a slow movement. As the lights at the end of the strings rise, a love duet between Arangsa (Jung Hee-yeop) and Avisa begins, followed by a male corps de ballet in the center. In the place where the lights were raised, a round, moon-like set descended, signaling the blossoming of a love journey within a perfect harmony. The corps de ballet between the five men depicted in Act 1, "People and Light," and Avisa was dynamic. The male dancers primarily performed lifting movements, lifting Avisa. Later, Jang Hye-won, in harmony with Jung Hee-yeop's firm yet free-spirited dance, displayed beautiful, firm toes and long lines, demonstrating powerful movements despite her delicate frame. Following this, the female corps was brought in en masse, a moment of unwavering force in Act 2. It was a series of fast, rhythmic, segmented movements and repetitive music. The beauty of the world was expressed through dance movements, as if writing with a brush in one stroke. Overall, the movements were passionate and sincere rather than sensual.


In Act 3, Love, a male-female duet continued, exuding the heartbreaking and sorrowful emotions of love. In Act 4, Emotional Conclusion, a group dance portrayed a group of people, caught between desire and ideals. The music was intense and slow, but this part felt like a highlight. Act 5, "Women Walking Through Time," focused on emotional expressions that linked time, dance, and song. Gathering in the center, the stage faded to black, followed by traditional Korean music, colorful images, and ten street dancers, displaying their signature movements. It was a crossover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street dance. Act 6, "Pungryu," showcased the refined elegance of Naju's people, a captivating declaration that expanded into a modern festival and community art form, and expanded into a dance floor. The Samulnori troupe joined in the audience, and on stage, a group dance with fans, a jijeon dance reminiscent of a gut, a male solo in the center, and Samulnori performances unfolded simultaneously. In the final, fantastical and beautiful space,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rejoice in their reunion and reach a happy ending.


Development of New Cultural Content and Rediscovery of Regional Dance


Each region possesses a wealth of folktales and legends, and diverse dance works have been created to tell these stories. However, it is crucial to go beyond simply borrowing and conveying these stories; it is crucial to artistically express them and connect with the audience. In this sense, 〈Cheongmyeong〉 blends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ing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emporary dance, and street dance, filling the stage like a drama. Furthermore, the choreographer transcended the mere representation of local culture to create a philosophical stage depicting the noble journey of humanity. Dance is not simply movement, but a medium for exploring the reasons for existence and expressing ideals that must be realized. Through Naju's cultural heritage, the performance attempted to harmonize universality and locality, inducing the audience to deeply move and reflect on their own hearts. To ensure that this performance extends beyond its local context, it is hoped that it will organically complement disjointed scenes, enhance the movement, and expand into a mise-en-scène that further embodies Korean identit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