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몸짓으로 원작의 정수를 담아낸 각색의 힘: 신시컴퍼니 〈렛미인〉

공연비평

Vol.121-2 (2025.9.20.) 발행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신시컴퍼니



OSMU(One Source Multi Use)가 흔한 시대이지만, 모든 시도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어떤 작품들은 전환된 장르에서 독립적인 개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원작의 내용을 답습하는 데 그친다. 반면 각색되는 장르의 양식적 특색을 활용해 원작을 새롭게 해석하는 작품도 있다. 그런 사례들은 원작의 힘에 기대지 않고 독립적인 작품으로서도 선명한 존재감을 보여준다. 소설에서 영화로, 다시 연극으로 옮겨져 역동적인 생명력을 이어가는 〈렛미인(Let the Right One In)〉도 그중 하나다. 


스웨덴 작가 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의 2004년 소설에서 출발한 이 작품은 2008년 스웨덴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에 의해 영화로 먼저 각색됐고, 세계 곳곳에서 호평을 얻은 후 할리우드에서도 리메이크됐다. 내용은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소년 오스카가 옆집에 새로 이사 온 소녀 일라이와 만나며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다. 극의 핵심은 일라이의 정체가 수백 년을 산 뱀파이어이며,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살인을 자행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일라이와 동행하는 중년 남자 하칸도 관련돼 있다. 일라이에 이끌리는 오스카와 어쩌면 그의 미래일 수 있는 하칸의 관계는 기묘한 삼각관계를 형성하며 뱀파이어 로맨스에 긴장감을 부여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6년 초연 후 9년 만에 돌아온 〈렛미인〉은 2013년 스코틀랜드 국립극단에서 연극으로 첫선을 보인 오리지널 무대를 재현한 레플리카 공연이다. 뮤지컬 〈원스〉를 만든 존 티파니의 연출과 스티븐 호게트의 안무 특색이 그대로 담겨 소설이나 영화와는 다른 무대만의 감각을 과시한다. 특히 텍스트 전개가 중요했던 원작이나 영화와 달리 대사를 줄이고 움직임과 미장센 연출에 초점을 맞춘 것이 연극 버전의 특징이다. 원작의 매력은 불멸의 존재와 필멸의 존재의 기묘한 만남과 냉혹한 운명을 북유럽의 기후처럼 담담하게 그린 데 있는데, 연극은 스산한 세트와 조명에 어우러지는 신비로운 안무로 그 정수를 이색적으로 그려낸다.


선택과 집중에 따라 진행된 각색의 방향성은 ‘미니멀리즘’으로 요약된다. 단순한 뱀파이어 서사를 넘어 존재의 고독과 정체성, 폭력과 구원 같은 거대한 인문 사회적 이슈들이 짧은 대사와 상황 설정만으로도 충분히 원작의 분위기를 전달한다. 무대에서 재현된 〈렛미인〉의 세계는 거의 모든 장면에서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연출이 두드러진다. 그 축약 과정에서 부족하거나 생략된 서사의 빈틈은 스티븐 호게트의 안무가 메운다. 원작 세계의 정서를 집약한 차가운 스웨덴 숲에서 이 이상한 이야기가 재탄생하려면 무대만의 리듬감이 필요한데, 이때 신체 언어의 존재감이 부각되는 것이다. 그래서 배우들은 춤 공연처럼 미끄러지듯이 등퇴장하고, 눈 내리는 숲속에서 나무 사이를 유영하듯 움직인다. 건조하고 사실적인 연출과 몽환적인 안무의 이 독특한 컬래버레이션은 연극 〈렛미인〉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이런 신체 언어 중심의 각색 전략은 연극의 독립적인 정체성인 동시에 원작의 텍스트가 주는 정서를 더 생생하게 표현하는 좋은 도구가 된다. 뱀파이어라는 초현실적 존재를 표현하는 방식이 대표적인데, 카메라 워크와 특수효과로 처리된 영화와 달리 역동적인 신체 언어로 그려지는 이질적인 존재의 위화감은 더 생생하게 객석에 전달된다. 그것은 이 작품을 관통하는 두 키워드 ‘폭력’과 ‘구원’을 구체화할 때 특히 배가된다. 인간을 공격할 때는 거칠고 날카로운 동작으로 포식자의 본성을 표현하지만, 오스카와 정서적 교감을 나눌 때는 부드럽고 느린 동작을 통해 약한 개체에 대한 포용 의도를 내비치는 식이다. 이처럼 각 인물이 지닌 복잡한 내면과 정체성, 극의 대표적인 정서가 비언어적 움직임으로 옮겨지는 과정은 연극만의 미학을 담당한다. 


또한 이 작품의 서사 전환의 중요한 포인트는 불멸의 존재인 일라이보다 보통 인간인 오스카의 운명이 바뀌는 순간에 있다. 엄마와 함께 잠든 오스카의 침대 장면이 그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언뜻 이 장면은 오스카가 몽유병에 걸린 듯 일어나 갑자기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순수하고 평범한 소년의 현재와 불안,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극적 변화를 암시하는 대목이다. 학교에서는 따돌림을 당하고, 아빠와 엄마는 별거 중이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엄마와 함께 사는 가정에서 오스카는 누구와도 안정적으로 연결돼 있지 않다. 그래서 침대라는 가장 편안한 공간에서 잠든 엄마와 춤을 추는 장면은 오스카의 쓸쓸한 삶에서 인간적인 온기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대목이 된다. 특히 이 장면 이후 오스카가 일라이에게 의지하며 인간성을 상실하는 삶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인간으로서의 순수함이 남아 있는 소년의 마지막 춤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렇듯 〈렛미인〉에서 춤은 단순히 연극 버전의 개성의 한 축을 담당하는 차원을 넘어 양식적 특징을 활용해 원작의 정서를 본질적으로 표현하는 정체성이자 중심적인 동력으로 기능한다. 물론 하나의 댄스 시퀀스로 봐도 개별 장면들은 아름답게 연출됐지만, 그 움직임들이 원작의 정서와 서사를 풀어내는 핵심이라는 점에서 연극이라는 장르의 영역을 확장하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s provided by Shinsi Company



The Power of Adaptation: Capturing the Essence of the Original Work Through Movement: Shinsi Company's 〈Let Me In〉



While OSMU (One Source, Multi Use) is commonplace, not all attempts are successful. Some works fail to develop their own unique identity within their adapted genre, merely repeating the original's content. Conversely, some utilize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ey're adapted from to create a fresh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hese examples, without relying on the power of the original, demonstrate a distinct presence as independent works. 〈Let the Right One In〉 is one such example, having been adapted from novel to film and then to stage, maintaining its dynamic vitality.


Based on the 2004 novel by Swedish author Jon Ajvide Lindqvist, this work was first adapted into a film by Swedish director Tomas Alfredson in 2008. After garnering critical acclaim worldwide, it was also remade in Hollywood. The story centers on Oskar, a bullied boy at school, who meets Eli, a new girl who moves in next door. The story centers on Eli, a centuries-old vampire who is driven to murder for survival. Hakan, a middle-aged man who accompanies Eli, is also involved. Oskar's attraction to Eli and Hakan, who may be his future self, form a strange love triangle, adding tension to the vampire romance.


Returning to Korea nine years after its 2016 premiere, 〈Let Me In〉 is a replica performance of the original stage production, which premiered at the National Theatre of Scotland in 2013. The production, which features the direction of John Tiffany, creator of the musical 〈Once〉 and the choreography of Stephen Hoggett, showcases a unique stage sensibility distinct from the novel or film. Unlike the original and film, which prioritized textual development, the stage version features a reduced dialogue, focusing on movement and mise-en-scène. The original's appeal lies in its depiction of the strange encounter between immortals and mortals and their harsh fates, presented with a somber, Nordic ambiance. The play uniquely captures this essence through a mystical choreography, complemented by a bleak set and lighting.


The adaptation, driven by a focus on selection and focus, can be summed up as "minimalism." Beyond the simple vampire narrative, the film addresses profound social and humanistic issues like loneliness and identity, violence and redemption, effectively conveying the original's atmosphere through brief dialogue and setting. The world of 〈Let Me In〉 recreated on stage is marked by symbolic and implicit direction in nearly every scene. Stephen Hoggett's choreography fills in any gaps in the narrative that were left out or omitted during this abbreviation. To recreate this strange tale in the cold Swedish forest, which encapsulates the emotions of the original world, the stage requires a unique rhythm. This is where the presence of body language becomes particularly prominent. Thus, the actors glide and exit like a dance performance, and glide through the trees in the snowy forest. This unique collaboration of dry, realistic direction and dreamlike choreography creates the unique world of the play 〈Let Me In〉.


This body language-centered adaptation strategy not only provides the play with its own distinct identity, but also serves as a powerful tool for vividly expressing the emotions of the original text. A prime example is the portrayal of the surreal vampire. Unlike film, which relies on camerawork and special effects, the unease of this alien presence is conveyed more vividly through dynamic body language.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when the two keywords that permeate the work—violence and salvation—are embodied. While the vampires' predatory nature is expressed through rough and sharp movements when attacking humans, their emotional connection with Oscar is conveyed through soft, slow movements, signaling their willingness to embrace the vulnerable. In this way,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complex inner lives and identities of each character, as well as the play's signature emotions, into nonverbal movements creates a uniquely theatrical aesthetic.


Furthermore, the pivotal moment in this work's narrative shift lies not in the immortal Eli, but in the moment when the fate of the ordinary human Oskar shifts. The scene of Oskar sleeping in bed with his mother plays a pivotal role. At first glance, this scene appears as if Oskar is sleepwalking and suddenly begins to dance, but it actually foreshadows the present and anxieties of an innocent and ordinary boy, as well as the dramatic changes to come. Bullied at school, his parents are separated, and at home with his unstable mother, Oskar lacks a stable connection to anyone. Therefore, the scene of Oskar dancing with his sleeping mother in the most comfortable space of his life, the bed, becomes a symbolic moment, revealing human warmth amidst Oskar's lonely life. This scene is particularly noteworthy because it marks the final dance of a boy who retains his innocence, as Oskar transitions to relying on Eli and losing his humanity.


In this way, dance in 〈Let Me In〉 transcends the role of simply serving as a unique axis of the theatrical version's personality. It functions as a central force and identity, utiliz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to fundamentally express the original work's emotions. While individual scenes are beautifully executed even when viewed as a single dance sequence, the fact that these movements are central to unraveling the original work's emotions and narrative truly expands the realm of theatrical gen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