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생이여 영원하라!: 와이즈발레단 〈프리다〉

공연비평

Vol.122-2 (2025.10.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와이즈발레단


ⓒ김선태 


“여성은 벌거벗어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갈 수 있는가?” 1989년 뉴욕을 달리는 버스들은 이 같은 문구가 실린 포스터로 도배되었다. 여성예술가집단 게릴라 걸스가 미술계 성차별을 고발하기 위해 제작한 이 포스터에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여성 미술가의 작품은 전체의 5%에 불과하지만 소장 작품 중 85%는 여성의 누드를 그린 작품이라는 또 다른 정보도 담겨 있다.


공연예술계에서도 비슷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여성은 죽어야 무대에 올라갈 수 있는가?”라고. 다소 비약적으로 느껴지는 이 질문에는 약간의 설명이 필요하다. 공연예술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그 안에서 무대 위 여성들은 성녀, 창녀, 악녀, 마녀처럼 특정 캐릭터에 국한되어 있거나 어머니, 아내, 할머니, 낯선 여자처럼 특정 관계에 매여 있는 역할로 제약되었다. 전자는 남성의 인생에 개입할 때 그 여성이 어떤 기능을 하는가 혹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후자는 남성과의 관계에서 그 여성에게 어떤 역할이 부여되는가에 따라 붙여지는 이름이다.


여성 서사가 비극으로 끝나는 이유


영국의 스핑크스 시어터 컴퍼니는 2014년 벡델 테스트에서 영감을 받아 연극 무대의 여성 인물과 여성 서사를 분석하는 도구로 ‘스핑크스 테스트’를 고안했다. 무대 중앙에 여성이 있는지, 그가 수동적이기보다는 능동적인지, 그가 설득력이 있고 복합적인 인물인지, 그의 이야기가 광범위한 청중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등의 질문을 통해 인물과 서사를 분석한다.


물론 스핑크스 테스트가 등장하기 전에도 능동적이며 설득력 있고 복합적인 인물로 광범위한 청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여성 주인공은 존재해 왔다. 주로 자유롭게 비상하고자 했지만 엄혹한 시대의 폭압으로 비극적으로 생애를 마쳤거나 예술적으로 놀라운 재능을 지녔음에도 역시 시대의 한계에 부딪혀 비극적으로 생애를 마친 여성들이다. 희곡 〈언더독: The Other Other Bronte〉을 쓴 영국 극작가 사라 고든은 극중 인물인 샬럿 브론테의 입을 빌려 이를 “여성 서사에 비극이 없으면 사람들은 그 여성의 강점을 인정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여성 인물이 주인공으로 무대에 섰을 때 거의 대부분 비극으로 끝나는 결말을 갖게 되는 이유다. 앞서의 스핑크스 테스트와 연결 지어 다시 정리해본다면 관객들은 비극 없는 여성의 이야기에는 설득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김선태

  

ⓒ김선태

 

우리는 ‘예술적으로 놀라운 재능을 지녔음에도 역시 시대의 한계에 부딪혀 비극적으로 생애를 마친 여성’이라는 서술을 듣자마자 바로 떠올릴 수 있는 이름을 족히 스무 개쯤 알고 있다.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도 그런 이름들 중 하나다. 프리다 칼로의 이야기는 스크린과 무대에서 서사 예술로 리메이크되고 있을 뿐 아니라 그에게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는 후대 예술가들을 통해 그의 예술세계를 더욱 굳건히 하고 있다.


발레 무대에서 되살아난 프리다 칼로


최근 몇 년간 외부 안무가를 초빙해 신작 개발에 진력하고 있는 와이즈발레단은 이번에는 안무가 김유미와 손을 잡고 신작 〈프리다〉를 선보였다. 김유미는 미국 애틀란타발레단에서 10여 년간 활동하며 클래식 발레는 물론 오하드 나하린, 트와일라 타프, 알렉산더 에크만 등 저명한 컨템퍼러리 안무가들과 함께 작업하며 자신의 춤미학을 확립했고, 현재는 유미크댄스를 이끌며 〈Avian〉, 〈울림〉, 〈Edge〉, 〈틈〉, 〈트라이앵글〉 등의 작품으로 자신의 세계를 다져가고 있다. 이번 작업은 와이즈발레단과 김유미의 첫 협업이기도 하다.

 

ⓒ김선태

  

ⓒ김선태

 

프리다 칼로의 생애와 예술에 관한 이야기는 영화에서는 줄리 테이머 감독의 2002년 작이 하나의 모범이 되고 있고 무대에서는 EMK에서 제작한 뮤지컬이 2022년부터 시즌을 거듭하며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과연 대사 없는 발레 무대에서는 이 강렬하고 비극적인 이야기가 어떻게 펼쳐질지, 관심과 우려가 교차되는 가운데 공연은 지난 9월 20일과 21일 양일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무대에 올려졌다.


프리다 칼로의 이야기를 다루고자 하는 창작자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은 그의 비극적인 생애사에 매몰되는 것이다. 이는 앞서 서술한 ‘예술적으로 놀라운 재능을 지녔음에도 역시 시대의 한계에 부딪혀 비극적으로 생애를 마친 여성’의 이야기가 창작자들의 관심을 받는 이유인 동시에 이러한 류의 이야기가 소위 ‘불행 포르노’로 빠지기 쉬운 이유이기도 하다. 불행하게 죽은 여성의 부활과 상징적 복권을 꾀함으로써 창작자가 구원자의 전능감을 얻게 되는 것 역시 이 같은 창작물이 초래하는 위험한 부산물이다. 


이차원 그림이 삼차원 움직임으로


김유미의 〈프리다〉 역시 프리다 칼로의 생애주기에 맞춰 진행된다. 세상을 향한 호기심으로 가득 찬 활기차고 자유로운 소녀로 처음 등장한 프리다는 이내 치명적인 사고를 당하고, 남편 디에고를 만나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그의 외도로 고통받는다. 이대로 프리다의 비극 속으로 끌려들어가는 걸까라는 우려가 들 무렵, 공연은 프리다의 생애 시간선을 따라가는 듯하던 전개에서 길을 바꾸어 그의 작품 속 세계로 진입해 들어간다. 무대는 곧 서사의 세계에서 회화의 세계로 이동하며 관객들의 감각을 바꿔놓는다.


김유미는 관객들을 프리다의 비극 속에 침잠하도록 내버려두지 않고 그 모든 고통과 불행 속에서도 끝내 자신의 세계를 완성한 칼로의 예술 속으로 데려간다. 공연예술에서 미디어아트와의 결합이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고 이 작품도 영상의 풍부한 질감이 공연의 몰입도를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긴 하지만 김유미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둘러싸는 일반적인 패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프리다의 대표작에서 튀어 나온 캐릭터들이 춤을 추며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연출한 것은 이 작품을 특별하게 만드는 가장 압도적인 순간이다. 프리다의 작품 대부분이 자화상이거나 그의 내면 세계와 관련이 있기에 그림에서 튀어 나와 무대를 장악하는 이 캐릭터들은 프리다의 이차원 세계를 삼차원으로 확장하며 그의 초현실주의 화풍을 더욱 풍부하게 펼쳐낸다.

 

ⓒ김선태

 

공연 막바지에 이르러 프리다와 디에고, 주변 인물들과 작품 속 캐릭터들이 한자리에 어우러져 춤을 추는 군무는 프리다가 마지막 작품에 남긴 “Viva La Vida!”(인생이여, 영원하라)라는 문구를 떠올리게 하는 명장면이다. 그 어떤 고통과 불행 앞에서도 사람과 삶을 사랑하는 것 멈추지 않았던 프리다의 메시지는 무대에서 환희와 희망 가득한 춤으로 되살아나 관객들에게 전율을 선사한다.


디에고 역의 살라마트 벡무라토프나 사슴 역의 남스라이 멘드바야르, 프리다의 동생 크리스티나 역의 김민영, 첫사랑 알레한드로 역의 양승주 등 솔리스트 무용수들이 호연으로 작품의 생기를 더하는 가운데 가장 눈에 띈 무용수는 역시 프리다 역을 맡은 윤해지다. 그는 생기 넘치는 소녀 프리다로 등장해 예술가 프리다로 승화된 세계를 완성하는 깊이 있는 연기로 무대의 중심축 역할을 훌륭히 해내며 원톱 주역이 이끌어가야 하는 작품의 무게를 단단하게 지탱해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 122-2 (2025.10.20.) Issue


Written by Yoon Dan-woo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 provided by Wise Ballet



Nevertheless, Life Lives Forever!: Wise Ballet's 〈Frida〉

 

 

"Do women have to be naked to enter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1989, buses running through New York City were plastered with posters bearing this slogan. Created by the women's artist collective Guerrilla Girls to expose sexism in the art world, this poster also revealed that whil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s collection of works by women artists only represents 5% of its total, 85% of those works depict nude women.


A similar question could be posed in the performing arts world: "Do women have to be dead to appear on stage?" This somewhat far-fetched question requires some explanation. While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 is long, women on stage have often been confined to specific characters, such as saints, prostitutes, villainesses, and witches, or to roles tied to specific relationships, such as mothers, wives, grandmothers, and strangers. The former designation refers to the function or influence a woman exerts in a man's life, while the latter designation refers to the role assigned to her in her relationship with men.


Why Women's Narratives End in Tragedy


Inspired by the Bechdel Test, the Sphinx Theatre Company in England devised the "Sphinx Test" in 2014 as a tool for analyzing female characters and narratives on stage. It analyzes characters and narratives by asking questions such as whether a woman is central to the stage, whether the character is active rather than passive, whether the character is compelling and complex, and whether the character's story resonates with a broad audience.


Of course, even before the advent of the Sphinx Test, there existed female protagonists who were active, compelling, and complex, and who resonated with a broad audience. These women primarily strived for freedom, but met tragic ends due to the oppression of a harsh era. Others, despite possessing remarkable artistic talent, also faced the limitations of their time and met tragic ends. British playwright Sarah Gordon, author of the play 〈Underdog: The Other Bronte〉 quoted Charlotte Bronte as saying, "If a woman's story lacks tragedy, people won't recognize her strengths." This explains why female protagonists on stage almost always end in tragedy. To recapitulate the Sphinx Test, this also means that audiences are not persuaded by female stories without tragedy.


We already know about twenty names that immediately come to mind when we hear the description of "a woman with remarkable artistic talent who also faced the limitations of her time and met a tragic end." Mexican painter Frida Kahlo is one such name. Frida Kahlo's story is not only being reimagined as narrative art on screen and stage, but her artistic world is also solidified through the work of later generations of artists who are creating new works inspired by her.


Frida Kahlo Revived on the Ballet Stage


Wise Ballet, which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new works by inviting outside choreographers in recent years, has now collaborated with choreographer Kim Yu-mi to present 〈Frida〉. Kim Yu-mi, who spent over a decade with the Atlanta Ballet in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her own dance aesthetic by working with renowned contemporary choreographers such as Ohad Naharin, Twyla Tharp, and Alexander Ekman, as well as classical ballet. Currently leading Yumi Dance, she continues to solidify her own world with works such as 〈Avian〉, 〈Echo〉, 〈Edge〉, 〈Cleft〉 and 〈Triangle〉. This work marks the first collaboration between Wise Ballet and Kim Yu-mi.


The story of Frida Kahlo's life and art is exemplified in the 2002 film directed by Julie Taymor, and on stage, a musical produced by EMK will be presented for a season starting in 2022. Amidst mixed interest and concern about how this powerful and tragic story would unfold on stage in a ballet without dialogue, the performance was presented on September 20th and 21st at the Arko Arts Theater Grand Theater.


A common pitfall for creators seeking to tell the story of Frida Kahlo is becoming immersed in her tragic life. This is why the story of "a woman with remarkable artistic talent who tragically met the limitations of her time" attracts creators, but also why such stories can easily devolve into so-called "misery porn." The danger of such works is that by seeking the resurrection and symbolic restoration of a woman who died tragically, the creator gains a sense of omnipotence as a savior.


Two-dimensional painting transforms into three-dimensional movement


Kim Yu-mi's 〈Frida〉 also unfolds along the life cycle of Frida Kahlo. Initially presented as a vibrant and free-spirited girl brimming with curiosity about the world, Frida suffers a fatal accident, meets Diego, falls in love, and marries him, only to be tormented by his infidelity. Just when concerns arise that she is being dragged into Frida's tragedy, the performance shifts from tracing the timeline of Frida's life to delving into the world of her art. The stage shifts from the world of narrative to the world of painting, altering the audience's perception.


Kim Yu-mi does not leave the audience immersed in Frida's tragedy, but instead draws them into the art of Kahlo, who, despite all the pain and misery, ultimately achieved her own world.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media art in performing arts is an inevitable trend, and while the rich texture of the video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immersive experience of this work, Kim Yu-mi goes a step further than the standard pattern of surrounding the dancers' movements with video.


The scene where characters from Frida's iconic works come alive and dance is the most striking moment that makes this work special. Since most of Frida's works are self-portraits or relate to her inner world, these characters, emerging from the paintings and dominating the stage, expand Frida's two-dimensional world into three dimensions, further enriching her surrealist style.


The ensemble dance near the end of the performance, where Frida, Diego, the people around her, and the characters from the work all come together, is a memorable scene that evokes the phrase "Viva La Vida!" (Life, live forever) that Frida wrote in her final work. Frida's message of never ceasing to love people and life, no matter the pain and misfortune, comes to life on stage in dances brimming with joy and hope, thrilling the audience.


Soloists Salamat Bekmuratov as Diego, Namsrai Mendbayar as the Deer, Kim Min-young as Frida's sister Cristina, and Yang Seung-ju as her first love Alejandro, all bring the work to life with their powerful performances. The most striking dancer, however, is Yoon Hae-ji, who plays Frida. From the vibrant young girl Frida to the artist Frida, she masterfully embodies her profound performance, solidifying her role as the central axis of the stage and firml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piece, which must be carried by a leading rol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