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22-2 (2025.10.20.)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박병민(사진가)
2018년, 방영미는 〈La Strada Ⅲ - 늦지 않은 춤〉이라는 첫 번째 자전적 서사를 무대에 올렸다. 어느 날 문득 뒤돌아본 자신의 인생길에서 터져 나온 회한의 숨결을 춤으로 옮긴 작품이었다. 이어 2020년 〈La Strada Ⅱ - 규현이의 고래〉에서는 아들의 그림이라는 사적인 기억을 매개로 가족과 사랑, 자기 연민과 화해의 서사를 부드럽고 잔잔하게 엮어냈다. 그리고 다시 5년이 지난 2025년 10월 10일과 11일, 〈La Strada Ⅲ - 늦지 않은 춤〉이 백양 문화예술회관 무대에 올랐다. 7년에 걸친 이 연작은 하나의 서사적 궤적이다. 개인의 삶이 춤으로 서서히 녹아들고, 과거와 현재가 겹겹이 포개지며, 시간이라는 결이 무대 위에서 형체를 드러낸다. 방영미에게 ‘길(La Strada)’은 단순한 주제가 아니라, 존재의 흔적을 따라 걷는 행위 그 자체였다. 이번 세 번째 작품은 그 길 위에서 스스로 걸음을 다시 붙잡는 순간을 담담히 보여준다. 방영미는 “삶의 무게 속에서 길을 잃은 한 여성이, 엄마의 삶을 되돌아보며 잊었던 춤의 열망을 다시 마주한다”라고 말했다. 삶과 춤을 분리하지 않는 서사, 그것이 바로 이 시리즈의 뿌리이자 종착지다.
네 개의 장면, 하나의 서사적 맥락
작품은 ‘어둠 속에서’, ‘엄마의 다라이’, ‘늦지 않은 시작’, ‘달려가는 거다’라는 네 장으로 짜였다. 각 장은 독립적이면서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내면의 감정 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한다. 첫 번째 장, ‘어둠 속에서’는 마치 깊은 꿈속에서 헤매는 것처럼 시작한다. 무대 뒤편 스크린에는 짙은 안개가 자욱하게 내려앉은 숲의 영상이 천천히 펼쳐진다. 조명이 서서히 들어오면, 무대 중앙에 한 여성이 몸을 웅크린 채 엎드려 있다. 그녀는 조심스레 손끝으로 바닥을 짚고, 주위를 더듬는다. 몸을 더듬기도 하는데 이것은 단순한 제스처가 아니라 기억을 더듬는 행위이자, 잊힌 감각을 깨우는 상징적 행위이다. 천둥과 빗소리가 겹치며 숲의 공기는 무겁게 가라앉기만 하고, 익숙했던 일상이 낯설고 생소한 세계로 변해간다. 이 짧은 도입부는 ‘길을 잃은 한 여성’의 심리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밀도 있게 전달한다.
암전과 함께 전환된 두 번째 장, ‘엄마의 다라이’는 감정의 결을 바꾸어놓는다. 영상에는 노년의 어머니와 딸의 대화가 나온다. 팔순이 되어 문화센터에서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 어머니는 뜻밖의 재능을 발견하고 몰두하게 된다. 그릴 소재가 모자랄 지경이라는 어머니의 말에는 삶의 늦은 순간에도 꿈이 피어날 수 있다는 희망이 묻어난다. 영상 속 어머니의 그림들은 공연장 로비에도 전시되어 있어, 관객은 극장 안팎에서 이 서사를 경험할 수 있다. 무대 위의 딸은 ‘다라이 춤’을 통해 억척스러운 어머니의 삶, 그 삶에 배어 있는 사랑과 고단함을 오마주한다. 일상의 동작을 그대로 춤으로 끌어올려, 불필요한 수사 없이 삶을 무대의 언어로 번역한 대목이다.
춤의 회복, 일상에서 예술로
세 번째 장 ‘늦지 않은 시작’은 이 작품의 심장부라 할 수 있다. 무대 왼편(하수) 뒤쪽에 창 모양의 조명이 떨어지며 무용학원을 설정한다. 그녀는 밀대걸레로 학원 홀을 청소하며 바쁜 일상을 살고 있다. 전화벨이 울리고, 학원 상담, 원생의 결석에 관한 통화가 들린다. 이 일상적인 소음 속에서, 뜻밖의 전화 한 통이 그녀를 흔든다. 함께 공연하자는 제안. 그러나 너무 오랜 공백 탓에 완곡하게 거절하지만, 이 짧은 통화는 묻어 두었던 춤의 열정을 흔들어 깨운다. 그녀는 걸레를 내려놓고 천천히 몸을 풀기 시작한다. 굳었던 몸이 기본 동작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깨어난다. 반복의 시간은 몸의 기억을 불러내는 의식(ritual)처럼 펼쳐진다. 그리고 어느 순간, 반복은 연습이 아니라 자기 춤이 된다. ‘다시 시작’이 아니라 ‘다시 살아남는’ 몸이다. 이 장면에서 떠오르는 작품이 있다. 덴마크 안무가 하랄드 란데르가 Carl Czerny의 피아노 연습곡을 바탕으로 만든 단막 발레 〈에튀드(Études)〉다. 이 작품은 전통 발레의 바(bar)에서 시작해 점차 화려한 브라부라(기량을 과시하는 대담한 연기)로 확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작품과 내용적 맥락은 다르지만, ‘기본 동작에서 시작해 자기 춤으로 확장된다.’는 구조적 공명을 지닌다. 그녀가 아직 화려한 피날레를 보여줄 수 있는 시기는 아니지만, 그 첫 발걸음이 얼마나 절실하고 치열한 것인지를 무대 위에 온전히 새겨 넣는다.
보편적 정서로 확장되는 자전적 서사
마지막 장, ‘달려가는 거다’는 앞 장의 감정을 밀어 올리며 간결하고도 선명하게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영상 속 숲은 서서히 안개를 걷어내고 길이 드러난다. 그녀는 그 길을 향해 걸음을 내디딘다. 그것은 화려한 피날레도, 극적인 결말도 아닌 담담한 시작이다. 관객에게 그 발걸음은 무엇보다도 뚜렷한 울림으로 남는다.
이 작품은 본질적으로 춤으로 풀어낸 자전적 서사다. 방영미는 자신의 삶을 과장하지도, 숨기지도 않는다. 몸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 현란한 수사와 과잉된 감정으로 치장한 무대에 비해 이 작품은 마치 맑은 옹달샘처럼 솔직하고 투명하다. “그래, 나는 이렇게 살아왔어”라는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는, 이 작품에는 자기연민이 없다. 대신 ‘그녀의 걸음은 곧 우리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는 확장된 정서가 있다. 자전적 서사가 개인의 경험에 머무르지 않고 보편적 감정으로 확장되는 이 지점에서 작품은 설득력을 획득한다.
담백함의 미학
이 작품의 담백함은 안무가의 태도만이 아니라 무대 장치의 절제와도 관련이 있다. 영상, 조명, 소품은 과잉되지 않은 채 서사와 긴밀하게 결합해 있다. 무대 뒤편의 숲 영상은 감정의 배경이자 내면의 심리적 풍경으로 기능한다. 다라이, 전화벨, 걸레질, 상담 음성 등 일상 소품과 사운드는 인위적 장식이 아닌 그녀의 현실을 관객 앞에 펼쳐 보이는 정직한 언어다. 드라마트루그는 감정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핵심 주제만을 정제해 낸 것 같다. 군더더기를 덜어낸 무대가 얼마나 따뜻할 수 있는지를 이 작품은 증명한다.
길 이후의 길, 방영미의 서사 확장 가능성
방영미의 ‘La Strada’ 시리즈는 이제 하나의 굵은 고리를 완성한 듯 보인다. 자기 자신과 자식, 그리고 엄마로 이어지는 삶의 궤적 속에서 수많은 기억을 건져 올렸고, 그것을 춤 언어로 번역해 왔다. 그렇다면 다음 길은 반복된 주제의 종결이 아니라, 새로운 여정의 서막일 수도 있다. 〈La Strada Ⅲ - 늦지 않은 춤〉은 대단히 사적이면서도, 동시에 보편적인 작품이다. 인생의 어느 지점에서든 우리는 길을 잃고, 또 길을 다시 찾기도 한다. 방영미의 작품은 바로 그 지점—다시 길 위에 서는 순간—을 담담하게 포착한다. 테크닉이 화려한 무대는 아닐지 모르지만, 무용이 가진 근원적인 울림, “살아 있는 몸이 말하는 힘”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자전적 서사가 주는 감동이 때로는 안무의 형식적 실험 가능성을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방영미의 다음 '길'은 어떤 새로운 형식과 만나 어떤 춤이 피어날지, 지켜볼 이유는 충분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22-2 (2025.10.20.)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by Park Byung-min (Photographer)
Honest Dance, a Stage Where Life Becomes Dance: Bang Young-mi's 〈La Strada III - Not Too Late Dance〉
In 2018, Bang Young-mi presented her first autobiographical work, 〈La Strada III - Not Too Late Dance〉. It was a work that channeled the regret that burst forth from her life's journey after a sudden reflection. Following this, in 2020, with 〈La Strada II - Kyuhyun's Whale〉, she gently and calmly wove a narrative of family, love, self-pity, and reconciliation, using her son's drawings as a personal memory. Five years later, on October 10th and 11th, 2025, 〈La Strada III - Not Too Late Dance〉 returned to the Baekyang Arts Center. This seven-year series is a narrative trajectory. Individual lives gradually dissolve into dance, past and present overlap, and the fabric of time takes shape on stage. For Bang Young-mi, "La Strada" (The Road) is not simply a theme, but the very act of walking along the traces of existence. This third work calmly depicts the moment when one regains one's footsteps on that path. Bang Young-mi stated, "A woman lost in the weight of life reflects on her mother's life and rediscovers her forgotten yearning for dance." A narrative that does not separate life from dance is the root and destination of this series.
Four Scenes, One Narrative Context
The work is structured into four chapters: "In the Dark," "Mother's Dara," "It's Not Too Late to Start," and "Running." Each chapter is independent yet closely connected, gradually ascending along the emotional arc of the inner self. The first chapter, "In the Dark," begins as if wandering in a deep dream. On the screen behind the stage, a video of a forest shrouded in thick fog slowly unfolds. As the lights slowly come up, a woman lies face down in the center of the stage, crouched. She cautiously touches the ground with her fingertips and feels around. Her groping is not a simple gesture; it's a symbolic act of tracing memories, awakening forgotten senses. Thunder and rain overlap, and the forest air becomes heavy and heavy, transforming the familiar routine into an unfamiliar and alien world. This brief introduction visually and densely conveys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lost woman."
The second scene, "Mother's Dara," transitions with a blackout, shifting the emotional fabric. The video features a conversation between an elderly mother and her daughter. The mother, in her eighties, begins painting at a cultural center and discovers an unexpected talent, becoming engrossed in it. Her words, about her lack of subject matter, evoke the hope that dreams can blossom even late in life. The mother's drawings in the video are also displayed in the theater lobby,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is narrativ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theater. On stage, the daughter pays homage to her mother's resilient life and the love and hardships embedded in it through the "Darai Dance." By elevating everyday movements to dance, she translates life into the language of the stage without unnecessary rhetoric.
Recovery of Dance: From Everyday Life to Art
The third chapter, "It's Not Too Late to Begin," is the heart of this piece. Behind stage left (Hasu), a window-shaped light falls, setting up a dance academy. She lives a busy life, cleaning the academy hall with a mop. The phone rings, and calls about academy consultations and a student's absence are heard. Amidst this everyday noise, an unexpected phone call shakes her: an offer to perform together. She politely declines due to her long absence, but this brief call awakens her buried passion for dance. She puts down the mop and slowly begins to warm up. The frozen body gradually awakens as it repeats basic movements. The repetition unfolds like a ritual, summoning the body's memories. And at some point, the repetition becomes not practice but a personal dance. It's not a "restart," but a body "surviving again." A work comes to mind in this scene: Danish choreographer Harald Lander's one-act ballet 〈Études〉 based on Carl Czerny's piano etudes. This work begins with the barre of traditional ballet and gradually expands into a dazzling bravura performance (a bold display of skill). While the content context differs from this work, it shares the structural resonance of "beginning with basic movements and expanding into one's own dance." While she is not yet ready for a spectacular finale, she fully embodies on stage the urgency and intensity of that first step.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Expanding into Universal Emotions
The final chapter, "Running," builds upon the emotions of the preceding chapters, concluding the story concisely and clearly. In the video, the forest gradually clears of fog, revealing a path. She steps toward it. It's not a grand finale or a dramatic conclusion, but a calm beginning. Her footsteps, above all, resonate deeply with the audience.
This work is essentially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told through dance. Bang Young-mi neither exaggerates nor conceals her life. She reveals the traces of time etched on her body. Unlike a stage adorned with flashy rhetoric and over-the-top emotion, this piece is as honest and transparent as a clear spring. This work, which can be summarized in the single sentence, "Yes, this is how I've lived," is devoid of self-pity. Instead, it exudes an expanded sentiment: "Her steps are also our story." It is at this point, where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expands beyond individual experience to encompass universal emotions, that the work gains its persuasive power.
The Aesthetics of Simplicity
The simplicity of this work stems not only from the choreographer's attitude but also from the restraint of the stage setup. The video, lighting, and props are tightly integrated with the narrative without being excessive. The forest footage behind the stage functions as both an emotional backdrop and an inner psychological landscape. Everyday props and sounds—a bucket, a ringing phone, a mop, and the sound of a consultation—are not artificial decorations, but an honest language that unfolds her reality before the audience. Dramatrug seems to have minimized emotional waste and distilled only the core themes. This work demonstrates how a stage stripped of unnecessary elements can be heartwarming.
The Road After the Road: Bang Young-mi's Possibility of Narrative Expansion
Bang Young-mi's "La Strada" series now seems to have completed a bold link. She has salvaged countless memories from the trajectory of her life, from herself to her children and motherhood, and translated them into the language of dance. Therefore, the next path may not be the conclusion of a recurring theme, but the beginning of a new journey. 〈La Strada III - Not Too Late Dance〉 is a deeply personal yet universal work. At every point in life, we lose our way and find our way again. Bang Young-mi's work calmly captures that very moment—the moment of standing on the road again. While it may not be a technically flashy performance, it retains the fundamental resonance of dance, the "power of a living body to speak." Given that the emotional impact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can sometimes limit the formal experimentation of choreography, it's worth watching to see what new forms Bang Young-mi encounters on her next "path" and what dances she will blossom into.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