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힙합의 진화된 모습과 국립의 무게: 국립현대무용단 〈HIP合〉

국립현대무용단이 힙합 장르의 정신인 ‘억압과 규칙으로부터의 자유’를 바탕으로 기획한 장르간 협업 프로젝트〈HIP合〉이 두 번째 무대를 맞았다. 7월 6-10일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열린 국립현대무용단의〈HIP合〉은 작년에 이어 3명의 안무가 이재영, 지경민, 정철인이 자신들의 서사를 풀어갔다. 이번 공연은 자유의 의미에 더해 흔히 힙하다고 표현되는 이미지의 것들을 합쳐놓은 바, 각자의 개성이 강하게 드러났다. 개개의 작품이 역량의 최대치를 보였다고 할 수는 없으나 작품성 부분에서 일정 수준은 충족시키고 있었다.


첫 무대, 시나브로 가슴에의 예술감독인 이재영은 신작 <메커니즘>을 통해 구조와 신체에 주목했다. <메커니즘>은 우주-지구 문명-사회 등 크고 작은 시스템 속의 인간을 관찰하고 때때로 이에 저항하는 움직임에 관해 이야기했다. 구조와 인간 신체 속의 메커니즘은 역학,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고 발현된다는 전제 안에서 이재영은 움직임을 통해 색다른 신체와 움직임의 메커니즘을 형성했다. 초반부의 간단한 비트는 시간이 흐를수록 발전하면서 후반부에는 복잡하고 화려한 힙합 음악에 이르기까지 음악의 다양성이 작품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6명의 무용수들(이재영, 권혁, 김소연, 김혜진, 변혜림, 양진영)이 엮이듯 풀리고 일심동체(一心同體)로 이뤄내는 이미지들은 탄탄한 구조를 보였다.



긴밀함과 정밀함이 엿보이는 가운데 인상 깊은 부분은 절제와 역동성의 조화였다. 서서히 조직적으로 변이되는 가운데 적절한 힘의 조절과 유기적인 장면들은 모처럼 그의 연출력을 다시금 돌아보게 했다. 또한 무용수들이 마치 시계를 표현하는 것처럼 원으로 둘러서서 움직일 때 시계추가 양쪽으로 흔들리듯 보이는 미장센은 시간의 흐름과 그 속에서 흘러가는 인간의 반복적인 시스템을 담아낸 듯싶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발생하는 역학적 구조와 화학반응에 대한 안무자의 해석은 시나브로 가슴에에서 보여주는 자연친화적이고 순수한 장면들보다 힘 있고 자신의 몸에 맞는 옷을 찾아 입은 느낌을 주었다.


고블린파티의 지경민은 <파도>를 통해 힙합 움직임의 기본적인 속성으로 상하 운동성을 발견하고 이를 실험하고자 했다. 그가 추구한 파도의 자연성은 여러 안무가들이 과거부터 표현해왔고 손쉽게 다룰 수 있을 듯하나 어려운 주제이다. 자칫 사실적으로 표현하면 진부하고 너무 추상적으로 흐르면 주제와 멀어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험정신에 근거해 흉내에 그치지 않기 위한 노력은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무용수들의 열정과 모든 움직임에서 나타났다. 자연스러움을 내세웠지만 그들이 보여주는 분절적 움직임들은 훈련을 요하는 전문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다. 그들은 파도를 모방하는 과정에서 세밀하게 머리부터 발끝까지 차례대로 사용하면서 음악은 가볍게 시작해 강한 랩핑이 담긴 음악으로 변화해 갔다.




관객들은 바다의 이미지만을 상상했지만 지경민은 파도의 움직임, 파도를 품고 있는 바다와 관련된 생물, 인간, 소리 등을 담아냈다. 많은 소리를 통해 파도를 완성해가면서 음악, 영상, 무용수들(지경민, 남진현, 류견진, 배효섭, 안현민, 오진민, 이경구, 이연주, 임성은, 장소린)의 움직임이 다채로운 파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곳곳에 웃음 포인트를 두었다. 그가 연출한 웃음 포인트란 무대가 바닷가와 배로 변해서 타이타닉의 명장면을 흉내내기도 하고 무용수들이 좀비로 변해서 물고 뜯기도 하는 것이었다. 마라카스나 바다소리를 내는 악기의 사용, 상자를 사용한 난타 등 다각도로 파도를 표현한 퍼포먼스가 무겁지 않고 즐거운 무대였지만 파도를 풀어내는 방식이 그의 평소 안무보다는 밀도가 떨어졌다.


멜랑콜리 댄스컴퍼니 대표인 정철인은 힙합 문화의 속성 중 ‘해체와 자율, 경계 허물기’를 집중 탐구한 <비보호>를 선보였다. 그는 인간이 현시대의 규칙을 해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어떠한 경계를 허물 수 있는지, 독특한 행위와 반항적인 사고가 어떠한 새로움으로 발견될 수 있는지에 주목했다. 특히 추상적인 주제보다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면서 우리 사회의 다양한 규칙 중, 길 위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와 해프닝들을 그려냈다. <비보호>는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 누구도 책임져주지 않는 선택의 순간들을 남성들만이 보여줄 수 있는 강렬한 파워로 채워갔다. 따라서 역동적 쾌감과 위험성이 주는 스릴로 관객들을 자극했다.




<비보호> 무대는 초반 장면에서는 남성들 사이의 가벼운 몸싸움 느낌의 퍼포먼스에서 시작해 랩퍼 마미손 가면과 스케이트 보드를 사용해 보드를 등에 대고 여기저기 흘러 다니는 듯한 무대를 연출했다. 정철인이 가끔 사용하는 오브제인 만큼 능숙하고 치밀한 합이 돋보였고, 마지막은 스케이트보드와 전자킥보드로 운동성도 표현했다. 남성들로만 구성된 무용수들(정철인, 김윤현, 류지수, 문경재, 유지 UZ, 이대호, 임현준, 주영상)이 보여줄 수 있는 그들만의 공간은 힘의 상호작용을 잘 활용한 동시에 우리와 함께 존재하는 수많은 사건, 사고, 미묘한 신경전, 예민성 등을 드라마틱하게 다뤘다. 진지함 속에 담긴 깔끔하고 직접적인 메시지가 이해를 도왔지만 스케이트보드와 전자킥보드 장면 등이 길어지고 다소 허무한 마무리가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어렵다는 것과 예술성이라는 것이 등식이 아니듯 쉽고 일반적인 것이 대중성을 담보하지는 않는다. 동시대성을 담고 트렌드를 쫓는 것도 필요하지만 힙(HIP)한 것을 합(合)한다고 해서 관객들에게 어필 되지는 않음을 기억해야 한다.〈HIP合〉에서 힙합의 진화된 모습을 보여준 세 안무가의 무대는 작품성에 있어서 충분히 나름의 존재감을 드러냈지만 국립현대무용단이라는 큰 산 앞에서 날개를 접은 느낌이다. 이들 개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이어질 국립현대무용단의 작품들 속에서 국립을 대표할만한 대작의 완성을 기대해 본다.



                     글_ 장지원(무용평론가)

                                                   사진제공_ 국립현대무용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