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작가
Vol.118-2 (2025.6.20.) 발행
글_ 심정민 (무용평론가·비평사학자)
사진제공_ 김경신
현대무용가 김경신의 이력은 버라이어티하다. 스트리트댄스, MBC무용단, 세종대학교, 러셀 말리판트 컴퍼니, 호페쉬 쉑터 컴퍼니, 심각한 지병, 언플로그드바디즈, 공주대학교 그리고 임펄스탄츠로 나아가는 경로 내내 일관된 요소라고 한다면 춤에 관한 범상치 않은 열정과 진중한 자세 그리고 탄탄한 역량을 들 수 있다. ‘조용하게 강한’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무적(舞跡) 따라가 보기 위해 2025년 6월 16일에 김경신을 만났다.
타고난 잠재력 하나로 주요 관문을 넘어서다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경신은 평범했던 어린 시절을 거쳐 고등학교 때 갑자기 춤바람이 세게 들었다. 당시 위세가 대단했던 서태지와 아이들과 연관된 문나이트라는 곳에서 아이돌 지망생들과 스트리트댄스를 배웠다. 춤에 대한 열망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공으로 대학을 진학한 후에도 사그라들 줄 몰랐다. 결국 대학을 자퇴하고는 MBC무용단에 입단하는 범상치 않은 사고(?)까지 쳤다.
MBC무용단에는 다양한 경로로 춤을 배워왔던 무용수들이 모여 있었는데, 거기서 현대무용을 하는 한 여자 선배의 춤사위를 보고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무언가에 매료되었다. 동작, 선형, 표현에 있어서 방송 댄스와는 전혀 달랐던 것이다. 동년배 동료의 도움으로 그것이 현대무용이라는 예술 춤이고 어디서 누구에게 어떻게 배울 수 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현대무용을 석 달 정도 배우고는 무용 명문 대학 중 두 군데에서 합격 통보를 받았다. 상당히 운이 좋은 듯하나 김경신을 보면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다. 남성 무용수로 매우 적합한 체형과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데다가 춤에 대한 열정까지 상당하기 때문이다. 세종대학교로 진학한 김경신은 국내 최정상급 교수진과 선배·동료들에게 현대무용이라는 예술 춤을 제대로 접할 수 있었다. 한두 명으로 특정하기 힘들 정도로 세종대학교에서의 경험은 이후 활동에 탄탄한 받침이 되었다.
해외 주요 단체의 러브콜을 받는 무용수로 자리매김
1999년 당시, 대학 3학년생이었던 김경신은 개인적으로 오스트리아 임펄스탄츠(ImPulsTanz) 페스티벌에 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그 4주 동안, 밤에는 전 세계 예술가들의 공연을 보고 낮에는 매일 워크숍을 4개씩 들으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아름다운 석양이 길게 이어지는 공원 잔디밭에서 여유롭고 평온하게 스트레칭을 하면서 몸을 푸는 무용수들을 보면서 그러한 환경에서 활동해 보고 싶다는 또 하나의 목표 의식이 생겼다.
처음에는 오스트리아로 갈까도 생각했으나 영어권으로 가야지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듯하여 2005년 말에 영국으로 갔다. 그곳에서 러셀 말리판트 컴퍼니, 호페쉬 쉑터 컴퍼니, 국립 웨일즈 무용단 등 세계적인 단체에서 무용수로 활약했다. 특히, 호페쉬 쉑터 컴퍼니는 국내에도 여러 차례 내한하였는데 매번 관객으로부터 큰 환호를 받았으며 젊은 무용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곤 했다. 이렇게 세계적인 단체에서 그를 선택했다는 것 자체가 국제적 수준의 무용수임을 방증한다.
아픔을 딛고 창단한 단체 언플러그드바디즈(Unplugged Bodies)
김경신은 세계적인 무용단들에서 활동할 당시, 다양한 스타일의 현대무용과 함께 구체적으로 움직임 탐구, 공간 활용, 음악 만들기 등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는 창작을 준비하는 무용가라면 알아야 하는 주요한 요소로 김경신의 창작에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 공식적인 첫 안무작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망악(oblivion)〉이란 작품으로, 영국에서 제일 큰 안무 경연대회인 ‘더 플레이스 프라이즈(The Place Prize)’에서 5명의 파이널리스트(finalist)에 오를 정도로 성과를 거두었다. 춤을 추는 데 있어 진중한 자세는 안무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차근차근 탄탄한 받침을 만들어갔던 것이다.
무용수로 한창 잘 나가고 있던 김경신에게 느닷없이 춤추는 것을 그만둬야 할 정도의 위기가 찾아왔다. 오른발 혈관에 문제가 생겨서 피가 잘 통하지 않다 보니, 한여름에도 발이 얼음장처럼 차가워서 잠을 못 잘 정도였다. 이런 식으로 진행되면 발이 썩어서 절단해야 할 수 있다는 의사의 말을 듣고 치료를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다. 서양 의학으로는 별 차도가 없어서 주기적으로 한국에 돌아와 한방으로 치료하곤 했다. 고질병으로 지금까지도 한방치료와 철저한 채식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고 한다.
발의 통증으로 더 이상 무대에서 날아오르는 것이 불가능함을 인지하고는 2012년 귀국하여 치료에 전념했다. 그리고 자신의 절체절명 상황에서 영감을 얻어 2014년 〈언플러그드바디즈(Unplugged Bodies)〉라는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진심이 통했던지 한국과 영국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내기도 했다. 작품 제목이지만 단체 이름으로도 괜찮겠다 싶어 동명의 단체를 창단하여 본격적으로 창작활동에 임했다.
이후 국제현대무용제(MoDaFe) 폐막작 초청, 창작산실 올해의신작과 올해의레퍼토리 선정,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아시아문화원 지원 등 굵직한 축제 및 기관에서 초청, 선정, 지원을 받으면서 창작자로서 확고히 자리 잡아갔다. 대표작으로는 ‘바디 시리즈’인 〈언플러그드 바디즈〉, 〈투 바디즈〉, 〈바디 어쿠스틱〉과 함께 ‘호모 시리즈’인 〈호모 루덴스〉, 〈호모 파베르〉, 〈호모 루피엔스〉가 있다.
〈Homo Faber〉 ⓒ 옥상훈
그의 대표작 호모 시리즈
‘호모 시리즈’의 첫 번째를 장식한 〈호모 루덴스〉는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의 ‘유희의 인간’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의 본성에 관해 탐구한 작품으로 세종대학교 김형남 교수와 협업으로 2019년 모다페 폐막작으로 초청받았다. 같은 해 발표한 〈호모 파베르〉는 앙리 베르그송의 도구를 만드는 인간에서 출발한 작품으로, 끊임없이 도구를 만들어낸 인간이 결국 자신을 대체할 수 있는 존재까지 만들어내는 것으로 귀결한다. 2019년 창작산실 올해의 신작과 2021년 창작산실 올해의 레퍼토리에 선정된 이력을 지닌 작품이기도 하다. 3부작의 마지막 〈호모 루피엔스〉는 유희의 인간 루덴스와 현 인류인 사피엔스를 합친 의미로 지식, 도구, 유희 등 인간의 여러 특성에 대해 다루었다. 2021년 11월 13-14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1에서 초연된 〈호모 루피엔스〉에 관해 조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호모 루피엔스〉는 유희의 인간 루덴스와 현 인류인 사피엔스를 합친 의미로 지식, 도구, 유희 등 인간의 여러 특성에 대해 다루고자 하는 의도를 깔고 있는 제목이다. 구체적으로는 4차 산업 혁명이 가져올 인간과 사물, 기계, 장치와의 관계 속에 인간 소외나 불평등이 야기되어 인류의 삶을 위협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낸 도구는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마침내 AI(인공지능)까지 만들어냈다. 인간의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AI의 탄생은 결국 인간을 고도로 발전된 세상의 부속물로 전락시키고 있다.
이러한 주제 의식은 작품 전반에 디스토피아적인 분위기를 짙게 깔리게 한다. 안무와 실연, 세트와 소품, 조명, 음악 등이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하나의 주제 이미지를 완성한 점은 확인된다. 여러 구성요소 중에서도 아르코예술극장의 다섯 배에 달하는 무대를 채운 최우석을 필두로 한 열두 명의 잘 단련된 무용수들과 함께 단상, 탁자, 플레임, 박스 등을 연상시키는 크고 작은 세트와 소품은 깊은 인상을 심어 놓았다. … 디스토피아적 세계에서 인간의 자성을 이끌며 남아있는 희망의 조각까지 제시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춤〉 2021년 12월호
이러한 ‘호모 시리즈’는 이 시대의 주요 화두로서 포스트휴먼 담론을 상대적으로 일찍부터 직접적이고 연속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포스트휴먼(post-human) 개념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자체적 약점을 극복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인간 실존과 변화의 연속성 안에 있는 인간을 뜻한다. 동시에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으로 사고해 온 이성적, 이상적 인간 주체에 대한 반성적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무용에서는 인간과 기술 혹은 신체와 기계의 결합체나 공진화를 소재로 하는 경우, 첨단 기술의 발전상에서 인간의 정체성 혼란을 고찰하는 경우,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으로 가득한 미래에 경종을 울리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복합적인 주제 의식으로써, 인공지능이나 기계의 발전상과 인간의 정체성 사이에 위협과 우려를 표현하면서 디스토피아적인 미래를 그린 작품으로는 김경신의 ‘호모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임펄스탄츠에서 공식 초청한 작품
보통 임펄스탄츠(ImPulsTanz)로 불리는 ‘임펄스탄츠-비엔나 인터내셔널 댄스 페스티벌(ImPulsTanz-Vienna International Dance Festival)’은 1984년 이래로 매년 여름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되는 유럽 최대 규모의 현대무용 페스티벌이다. 세계 각국에서 온 안무가, 무용수, 무용 교사, 신진 예술가들이 공연뿐 아니라 워크숍, 리서치 프로젝트, 토크 프로그램 등을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예술 교류도 함께 이루어지는 무용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대 현대무용의 흐름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공연예술 축제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이러한 임펄스탄츠에서 올해 공식 초청한 한국 작품이 김경신의 〈호모 파베르_애프터 라이트(Homo Faber_After Light)〉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올해 5월 31일 천안예술의전당 대공연장에서 선보인 〈호모 파베르_애프터 라이트〉는 ‘호모 시리즈’의 두 번째인 〈호모 파베르〉를 재공연한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김경신이 공연을 할 때마다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안무와 연출을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성향의 창작자이다 보니, 〈호모 파베르〉의 2025년 버전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정확해 보인다. 제목 자체로도 2019년 초연 때 〈호모 파베르_뉴비기닝(Homo Faber_New Begining)〉과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초연작인 〈호모 파베르_뉴비기닝〉은 인간의 현 모습을 투영하는 자화상과 같은 작품으로 인간이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도구에 의해 지배되는 세상을 그린다. 인간의 욕망이 야기한 이러한 현 상황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 로봇공학, 가상현실 등이 주는 위기감과 공포와도 중첩되는 부분이 있었다. 컨베이어, 탁자, 상자, 철물, 형광등, 거대한 팬, 올-인-원, 기계음, 소음 등이 어우러져 그러한 인상을 강렬하게 조성한다. 더 나아가 수류탄, 탱크, 폭격 소리, 굉음 등으로 제시되는 테러나 전쟁과 같은 이미지들은 인간이 만들어낸 도구의 최악이 어디까지 뻗어나갈 수 있는지를 보여 주었다.
2025년 버전인 〈호모 파베르_애프터 라이트〉는 한 시간 남짓 ‘지구의 탄생, 문명사회, 도구가 되어가는 인간, 전쟁의 서막, 전쟁과 인류의 바람, 전쟁 속의 놀이, 새로운 지향’ 등과 같은 이미지를 다층적으로 제시한다. 공장, 물류센터, 공사 현장, 창고 등을 연상시키는 분위기에 디스토피아적인 뉘앙스가 짙게 깔린다. 이따금 거대한 인간 실험실과 같은 느낌마저 든다. 무용수들은 짙은 어둠이 짙게 깔리는 무대를 배경으로 모호함, 갇힘, 항쟁, 소모, 배회. 좌절, 존재 찾기 등과 같은 갖가지 움직임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커다란 지구 모양의 벌룬을 등장시켜, 도구에 잠식된 인간의 현 모습이 지구 전체로의 영향을 암시하는 인류세적인 접근으로까지 나아간다. 작은 공들, 널뛰기판, LED 전구, 장난감 탱크 등이 등장하고 노동, 놀이, 경쟁, 전쟁 등을 연상시키는 여러 움직임이 펼쳐진다. 무용수들은 널뛰기판을 가지고 나와 세우고 오르고 받치고 기대는 등 여러 행태를 보이다가 직접적으로 널뛰기를 하기도 한다. 마침내 하얗거나 붉은색의 엄청난 양의 종이 가루가 쏟아져 내림으로써 압도적인 피날레를 장식하였다.
〈호모 파베르_애프터 라이트〉는 장치와 소품, 조명, 음향과 소음, 의상 그리고 움직임이 하나의 주에 이미지를 선명하게 새겨놓고 있다. 실제로, 피지컬한 움직임과 함께 갈색 종이상자, 테이블 트롤리, 철제 환풍기, 긴 형광등, 올-인-원 작업, 지구 모양 벌룬, 해머, 작은 공들, 널뛰기판, LED 전구, 장난감 탱크, 색종이뿐 아니라 기계음, 소음, 내레이션, 교향곡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청각적 기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제시하면서 궁극적으로 하나의 주제 이미지를 표현한다. 그것은 스스로 편리를 위해 만들어지는 도구에 의해 잠식되고 통제되고 압도되는 인간의 모습이다.
임펄스탄츠에서 소개될 〈호모 파베르_애프터 라이트〉는 오는 7월 오스트리아 빈 중심부에 위치한 폭크스테아터(Volkstheater)에 오를 예정이다. 이는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의 후원 그리고 주(駐)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과 임펄스탄츠의 협력으로 성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경신의 대표작 ‘호모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완성도를 갖춘 버전으로 여겨지는바 해외 무대에서 성과도 기대되는 바다.
창작자로서 김경신의 가장 장점이라고 한다면 춤에 관한 범상치 않은 열정, 진중한 자세, 탄탄한 역량에다가 끊임없이 성장하고자 하는 노력까지 덧붙일 수 있다. 그리고 〈호모 파베르_애프터 라이트〉와 임펄스탄츠 진출은 그동안 노력의 성과로 여겨질 만하다. ‘조용하게 강한’ 김경신의 무적(舞跡)은 여전히 진행 중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CHOREOGRAPHER
Vol.118-2 (2025.6.20.) Issue
Written by Sim Jeong-min (Dance Critic and Critic Historian)
Photo provided by of Kim Kyung-shin
Kim Kyung-shin, from an internationally-level dancer to a choreographer…
The career of contemporary dancer Kim Kyung-shin is diverse. If there is one consistent element throughout her path from street dance, MBC Dance Company, Sejong University, Russell Malifant Company, Hofesh Schechter Company, serious illness, Unplugged Bodies, Kongju University, and Impulstanz, it is her extraordinary passion for dance, serious attitude, and solid capabilities. We met Kim Kyung-shin on June 16, 2025 to follow her dance path, which can be expressed as ‘quietly strong.’
Overcoming major obstacles with one natural potential
Born in Seoul in 1976, Kim Kyung-shin had an ordinary childhood and suddenly became passionate about dancing in high school. He learned street dancing with aspiring idols at Moon Night, which was associated with Seo Taiji and Boys, which was very popular at the time. His passion for dancing did not subside even after he majored in computer programming in college. He eventually dropped out of college and joined the MBC Dance Company, which was an unusual event(?).
The MBC Dance Company was made up of dancers who had learned dancing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when he saw the dance moves of a female senior who was doing modern dance there, he was fascinated by something new that he had never experienced before. The movements, lines, and expressions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broadcast dance. With the help of a colleague of the same age, he learned that it was an art form called modern dance and where, from whom, and how to learn it.
After learning modern dance for about three months, he was accepted to two prestigious dance universities. He seemed to be quite lucky, but when he sees Kim Kyung-shin, he can't help but nod. He has a body type and potential that are very suitable for a male dancer, and he also has a great passion for dancing. Kim Kyung-shin, who entered Sejong University, was able to properly experience the art of modern dance from the best professors and seniors and colleagues in Korea. His experience at Sejong University became a solid foundation for his future activities, to the point that it is difficult to single out just one or two people.
Establishing himself as a dancer who receives love calls from major overseas organizations
In 1999, Kim Kyung-shin, who was a third-year college student at the time, had the opportunity to personally go to the ImPulsTanz Festival in Austria. During those four weeks, he was able to feel many things by watching performances by artists from all over the world at night and attending four workshops every day during the day. In particular, seeing dancers stretching and relaxing their bodies leisurely and peacefully on the lawn of a park with a beautiful sunset stretching out for a long time gave him another goal of wanting to work in such an environment.
At first, he thought about going to Austria, but he thought he would be able to adapt more quickly if he went to an English-speaking country, so he went to England at the end of 2005. There, he worked as a dancer in world-class companies such as the Russell Malifant Company, the Hofesh Schechter Company, and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Wales. In particular, the Hofesh Schechter Company visited Korea several times, and each time, he received great cheers from the audience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young dancers. The fact that he was chosen by such a world-class company proves that he is a dancer of international standard.
Unplugged Bodies, a company founded after overcoming pain
Kim Kyung-shin was able to experience various styles of modern dance, as well as specific movement exploration, space utilization, and music creation while working in world-class dance companies. Thi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dancers preparing to create should know, and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im Kyung-shin’s creation. His first official choreographic work dates back to 2008. At that time, with the work titled 〈Oblivion〉 she achieved success by making it to the finalist list of five in the biggest choreography competition in the UK, “The Place Prize.” Her serious attitude toward dancing was also applied to her choreography, and she gradually built a solid foundation.
A crisis that suddenly forced her to quit dancing came to Kim Kyung-shin, who was doing well as a dancer. She had a problem with the blood vessels in her right foot, which made it difficult for blood to flow, and her feet were as cold as ice even in the middle of summer, making it difficult to sleep. She tried everything she could to treat her foot, after hearing from a doctor that if it continued like this, it would rot and require amputation. Since Western medicine did not help much, she periodically returned to Korea to receive treatment with oriental medicine. She says that she still manages her chronic disease with oriental medicine and a strict vegetarian diet.
Realizing that she could no longer fly on stage due to the pain in her feet, she returned to Korea in 2012 and devoted herself to treatment. And, inspired by his desperate situation, he released the work 〈Unplugged Bodies〉 in 2014. His sincerity seemed to have resonated, and it received positive responses in Korea and the UK. Although it was the title of the work, he thought it would also be good as the name of a group, so he founded a group with the same name and began his creative activities in earnest.
Since then, he has been invited, selected, and supported by major festivals and institutions, such as being invited to the closing work of the International Contemporary Dance Festival (MoDaFe), being selected for the New Work of the Year and Repertoire of the Year at the Creative Center, and receiving support from the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and the Asia Culture Center, solidifying his position as a creator. His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Unplugged Bodies〉, 〈Two Bodies〉 and 〈Body Acoustics〉 from the 〈Body Series〉 as well as 〈Homo Ludens〉, 〈Homo Faber〉 and 〈Homo Lupiens〉 from the 〈Homo Series〉.
His representative work, Homo Series
The first work of the ‘Homo Series’, 〈Homo Ludens〉, was inspired by Johan Huizinga’s ‘Human of Play’ and explores human nature. It was invited as the closing work of the 2019 Modafé in collaboration with Professor Kim Hyung-nam of Sejong University. 〈Homo Faber〉, released in the same year, is a work that begins with Henri Bergson’s ‘Human of Play’ and ends with humans who continuously create tools eventually creating beings that can replace themselves. It was also selected as the 2019 Creative Workshop New Work of the Year and the 2021 Creative Workshop Repertoire of the Year. The last work of the trilogy, 〈Homo Lupiens〉, combines the meaning of the human of play, Ludens, and the current human race, Sapiens, and deal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humans such as knowledge, tools, and play. Here is a brief overview of 〈Homo Lupiens〉, which premiered at the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Arts Theater 1 on November 13-14, 2021.
〈Homo Lupiens〉 is a title that combines the meaning of the playful human Ludens and the current human Sapiens, and it contains the intention to deal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humans such as knowledge, tools, and play. Specifically, it contains the conte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objects, machines, and devices brought abou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cause alienation and inequality among humans, threatening human life. The tools created by human desire have developed further and finally created AI (artificial intelligence). The birth of AI, which far surpasses human capabilities, is ultimately reducing humans to appendages of a highly developed world.
This thematic consciousness thickly permeates the entire work with a dystopian atmosp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choreography, performance, set, props, lighting, and music are organically harmonized to complete a single thematic image. Among the various elements, the twelve well-trained dancers led by Choi Woo-seok, who filled the stage five times the size of the Arko Arts Theater, and the large and small sets and props reminiscent of a stage, tables, flames, and boxes left a deep impression. … It is encouraging in that it suggests a piece of hope that remains while leading human introspection in a dystopian world.
〈Choom〉 December 2021 issue
This ‘Homo Series’ is noteworthy in that it directly and continuously addressed the posthuman discourse as a major topic of this era from relatively early on. The concept of post-human refers to a human who overcomes its own weaknesses by utilizing cutting-edge technology, but ultimately remains within the continuity of human existence and change. At the same time, it also contains a reflective meaning on the rational and ideal human subject that has been thinking centered on humans based on humanism. In dance, we can see cases where the subject matter is the combination or co-evolution of humans and technology or bodies and machines, cases where the confusion of human identity is examined i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nd cases where the alarm is sounded in the future full of uncertainty and instability. As a more complex theme consciousness, Kim Kyung-shin's 'Homo Series' is a work that expresses threats and concerns betwee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r machines and human identity and depicts a dystopian future.
Works officially invited by ImPulsTanz
The 'ImPulsTanz-Vienna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commonly called ImPulsTanz, is the largest contemporary dance festival in Europe held in Vienna, Austria every summer since 1984. It can be said to be a dance platform where choreographers, dancers, dance teachers, and new artists from all over the world participate in workshops, research projects, and talk programs in addition to performances, and various artistic exchanges occur naturally. As i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flow of contemporary dance,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the world.
The fact that the Korean work officially invited by Impulstanz this year is Kim Kyung-shin's "Homo Faber_After Light" is very significant. 〈Homo Faber_After Light〉, which was presented at the Cheonan Arts Center Grand Theater on May 31 of this year, is a re-performance of 〈Homo Faber〉 the second in the ‘Homo Series’. To be precise, since Kim Kyung-shin is a creator who tends to greatly upgrade the choreography and direction through revisions and supplements every time he performs, it seems more accurate to describe it as the 2025 version of "Homo Faber." The title itself shows that it is different from 〈Homo Faber_New Beginning〉 when it was first performed in 2019.
The premiere work, 〈Homo Faber_New Beginning〉 is a self-portrait that projects the current state of humans, depicting a world dominated by tools that humans constantly create. This current situation caused by human desire overlaps with the sense of crisis and fear brought about by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and virtual reali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mbination of conveyors, tables, boxes, hardware, fluorescent lights, huge fans, all-in-ones, machine sounds, and noises creates such a strong impression. Furthermore, images of terrorism and war presented as grenades, tanks, bombing sounds, and loud noises show how far the worst of tools created by humans can extend.
The 2025 version, 〈Homo Faber_Afterlight〉 presents multi-layered images such as “the birth of the Earth, civilized society, humans becoming tools, the prelude to war, war and humanity’s desire, play in war, and new directions” for about an hour. The atmosphere reminiscent of factories, logistics centers, construction sites, and warehouses is thick with dystopian nuances. At times, it even feels like a giant human laboratory. Against the backdrop of a stage covered in thick darkness, the dancers effectively express various movement images such as ambiguity, confinement, struggle, consumption, wandering, frustration, and searching for existence. A large globe-shaped balloon appears, suggesting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state of humans consumed by tools on the entire planet, leading to an anthropocene approach. Small balls, seesaw boards, LED light bulbs, and toy tanks appear, and various movements reminiscent of labor, play, competition, and war unfold. The dancers bring out the seesaw boards, stand them up, climb on them, support them, lean on them, and even jump on them directly. Finally, a huge amount of white or red paper dust pours down, creating an overwhelming finale.
〈Homo Faber_After Light〉 vividly engraves images in one main theme with devices, props, lighting, sound, noise, costumes, and movements. In fact, along with physical movements, it utilizes numerous audiovisual devices such as brown paper boxes, table trolleys, iron ventilators, long fluorescent lights, all-in-one works, globe-shaped balloons, hammers, small balls, seesaw boards, LED bulbs, toy tanks, colored paper, as well as machine sounds, noises, narrations, and symphonies to present various forms and ultimately express one thematic image. It is the image of humans being consumed, controlled, and overwhelmed by tools that are created for their own convenience.
〈Homo Faber_After Light〉, which will be introduced at Impulstanz, is scheduled to be performed at the Volkstheater in the heart of Vienna, Austria, in July. This is known to be a part of the ‘Touring K-Arts’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KOFICE), and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Austria and Impulstanz.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complete version among Kim Kyung-shin’s representative works, the ‘Homo Series’, and is expected to perform well on overseas stages.
As a creator, Kim Kyung-shin’s greatest strengths include his extraordinary passion for dance, serious attitude, solid capabilities, and his continuous efforts to grow. In addition, his entry into 〈Homo Faber_After Light〉 and Impulstanz can be considered the results of his efforts so far. The invincible dance career of the ‘quietly strong’ Kim Kyung-shin is still ongoing, so we need to keep an eye on it.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