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춤작가

국내외로 존재감을 각인시키며 도약한 무용가 예효승

춤작가

Vol.120-1 (2025.8.5.) 발행

   

글_ 장지원(무용평론가)

사진제공_ 예효승



 

국립현대무용단_BaKi

 


어린 시절부터 끼 많던 소년 예효승은 몸으로 하는 흉내를 잘 냈고 응원단장을 지내며 남 앞에 서는 것을 좋아했다. 그런 탓에 늦은 출발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자신이 원하던 무용으로 실력을 인정받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까지 영역을 넓히는 예술가로 성장했다. 일본의 파파타라 후마라(PAPPATARA HUMARA) 객원 단원을 거쳐 프랑스 카롤린 칼송 아뜰리에 드 파리(Carolyn Carlson Atelier de Paris) 단원을 지냈다. 이후 세계적인 벨기에 쎄드라베 무용단(Les Balllets C de la B)의 한국인 단원으로 입단해 이름을 알렸고,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폐막식 공연의 조안무로 참여한 바도 있다. 현재도 작품에 출연하고 있으며 초창기 작업의 성향변화를 통해 트렌디하고 자신의 색깔이 선명한 작업들로 성공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국립현대무용단과 국립무용단의 작품을 통해 감각적이고 동시대적인 면모를 보이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 예효승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내면을 향한 시선이 세상으로 확장되면서 더욱 자유롭게 삶과 춤을 표현하고 있다. 


1974년 서울생으로 50대에 들어선 예효승은 현재는 건국대 매체연기과 겸임교수와 무용단 B luePoet D.T 대표를 맡고 있다. 이에 더해 라팡블링이라는 이벤트 브랜드 공연 일을 하는 공연기획사 운영, 영화나 행사에서 무브먼트 디렉터 일 등 공연 관련된 다각도의 작업들을 하고 있는 그는 무용뿐만 아니라 3년 전부터 에르메스와 같은 유명 브랜드와 협력작업을 하다보니 이벤트 브랜드와 관련된 콘텐츠들을 위해 사업에도 뛰어든 것이다. 그는 올해 아주 바쁘면서도 기쁜 시간을 보냈다. 국립현대무용단 〈우리는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와 국립무용단 〈파이브 바이브〉, 두 국립 단체의 안무를 동시에 진행하는 드문 기회가 주어졌고 이는 그동안 쌓아온 역량이 발휘된 결과였다. 


늦은 무용의 시작


비교적 늦은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무용을 시작한 그는 대학입시를 위해 무용을 선택한 케이스였다. 부모님이 예술과 관련은 없었고 체대를 보내려다가 지인이 무용을 했기에 부모님의 교육적 갈증을 무용으로 해소했다. 당시 경희대 무용과가 좋다라고 해서 어머님이 알음알음 오화진 선생님을 알게 되었고 그분 소개로 안정준과 장애숙 부부에게 처음부터 현대무용을 배웠다. 안정준 선생에게 작품을 받아 경희대에 입학했다. 경희대에 들어가서는 박명숙 교수님 밑에서 남자무용수로 많은 공연활동을 했다. 그때 활약하던 남자무용수들이 현재는 활동이 뜸해 아쉽기도 하다. 홍승엽 선생과는 같이 작업을 한 것은 없었으나 그가 국립현대무용단 단장이 되면서 마침 자신이 유럽에서 돌아온 때와 겹쳐 무용단의 트레이너가 된 인연이 있다. 국내에서는 육완순, 안애순, 홍승엽, 안은미, 김원 선생님의 작품에서 활동했다. 

                           

수상이력과 해외로의 진출


그는 98년도에 현대무용협회 현대무용데뷔전에서 졸업작품으로 신인상을 수상했고, 일본 오차노미즈 대학교 외국인 장학생으로 4개월간 머물기도 했다. 이후 3번의 동아콩쿠르에 참가해 실패했지만 결국 99년도에 금상을 수상했다. 군면제를 받은 그는 2002-2003년 한일문화교류의 해에 협력사업으로 지금은 없어졌지만 일본의 파파타라 후마라 무용단에서 활동했다. 2004년 30살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진행하는 신진예술가지원사업을 통해 프랑스 CN D(Centre National de la Dance)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지원사업을 냈다. 운 좋게도 여기에 선정되어 해외로 나가게 되었고 당시 김남진 무용가가 그곳에 있었는데 넓은 시장에서 활동하라는 조언도 해주었다. CN D에서 카롤린 칼송의 오디션을 보게 되었고 뽑히게 되면서 그 무용단에서도 활동했다. 


국제적 명성의 벨기에 세드라베 무용단 입단


이후 세계적 명성의 안무가 알랑 플라텔이 프랑스에서 오디션을 진행하면서 이곳에 합격해 쎄드라베 무용단에서 2005년 〈저녁기도(VSPRS)〉, 2007년 〈피티에〉 작업에 참여했다. 2009년에는 〈아웃 오브 컨텍스트 포 피나〉 오리지널 멤버가 되어 2010년 투어를 시작해 현재까지 계속 공연을 이어오고 있다. 작품은 피나 바우쉬를 기념하는 추모공연으로 오리지널 멤버가 변함없이 1년에 한 번씩 계속한다는 계약조건으로 이뤄졌다. 알랑 플라텔은 예효승을 평가하길 그의 춤을 처음 보았을 때 한 번도 보지 못한 특별한 춤이어서 좋았다고 언급했고 그의 열정 또한 높이 평가하며 인간적으로도 깊은 신뢰를 보였다.


 

ⓒ 국립현대무용단_황승택

 

 

ⓒ 국립현대무용단_황승택

 

첫 단독 안무작 〈손가락춤_Life〉


첫 안무작은 2012년 해외에 다녀와서 안무한 3인무 〈손가락춤_Life〉였다. 자유소극장에서 공연했고 현재는 무용을 하지 않고 있는 이설애, 정해경과 함께 했다. 작품은 단순하게 반복되는 노동과 치열한 경쟁에 지친 사람의 일상을 그리며 그 속에서 일탈을 꿈꾸는 자유에 대한 의지를 표현했다. 무대 위를 청소하는 사람과 공장에서 단순 작업을 반복하는 사람 등이 등장하고 사람들의 모습을 닮은 이미지의 인형이 나타나기도 했다. 특히 손가락을 눈에 띄게 움직이면서 춤추는 그 특유의 '손가락춤'이 주목을 받기도 했다. 나중에 지하철 청소노동자들의 공연 〈지하철 차차차〉와도 연계되는 측면이 엿보인다. 이후 2013년 공연예술창작산실 우수작으로 선정돼 재공연되기도 했던 〈I’m so Tired〉는 피로 과잉의 시대에 살고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담았다. 피로가 극대화된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파라다이스를 꿈꾸는 이들에게 탈출구가 되길 바라는 의도로 창작된 작품이었다. 


가장 애착이 가는 작품인 동시에 대표작 〈Now now〉


〈Now now〉는 2013년 제작된 작품으로, 지금(now)의 것, 그리고 지금 내가 가진 것(own)에 대한 이야기를 보여주자는 의도를 지녔다. 쎄드라베의 다섯 남성무용수(예효승, 마튜 덴씬 라벨(Mathieu Dessigne Ravel), 엘리 타스(Elie Tass), 로스 맥코맥(Ross McComack), 로메우 루나(Romeu Runa)는 2005년부터 6년의 시간을 같이 하며 깊은 우정과 예술적 교감을 나누면서 늘 함께 고민하고 활동했다. 그들은 언젠가 그룹을 떠나기 전에 공동으로 공연을 만들어 보자는 약속을 한국에서 실행해 옮겼고, 이 작품으로 프랑스, 벨기에, 남미 등 다수의 지역에서 투어공연을 다녔고 3년 전에도 무대에 올렸다. 


다양한 안무작들


예효승의 안무작은 2012년 이후에 집중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손가락춤_Life〉(2012), 〈발자국〉(2012), 〈N(own)ow〉(2013), ‘LIG아트홀·합정’의 개관공연으로 〈댄스엣지〉(2013), 〈I’m so Tired〉(2013), 〈CHAOSMOS〉(2013), 〈춤이 말하다〉(2016),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꾿빠이, 이상〉(2017), 〈보이스 오브 액츠〉(2018)가 있다. 〈보이스 오브 액츠〉(2018)는 날것의 움직임과 외부 자극의 강렬한 충돌, 그 안에서 표출되는 본능적인 에너지를 다뤘고, 〈낯선 사람의 효과〉(2018)는 무대와 관객석을 나누지 않고 자유롭게 공간을 나누며 춤추는 모습을 보였으며 〈오피움(OPIUM)〉(2018)에서 오피움은 양귀비꽃의 유액을 처리한 것으로 아편으로도 불리는데, 몸이 억압을 벗어나 감각을 열어가도록 하는 춤은 오피움 비슷한 어떤 무형의 촉발제를 은유한다는 평을 받았다. 〈반려선언〉(2020)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개체는 홀로 살아남을 수 없음에 주목한 공연이며 〈재생: 능력〉(2020)은 인간 몸과 기계(로봇)의 결합으로 재조직된 신체의 형상을 구현한 작품이다. 이외에도 뮤지컬 〈드라큘라〉(2022)안무, 시댄스 신작 초연 〈흔적들(feat. 의식의 흐름)〉(2023), 〈우리는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2025) 연출, 〈파이브 바이브〉(2025) 가 있다.


 

국립극장

 

 

ⓒ 국립극장

 


안무의 중점과 움직임 특성


예효승은 앞선 수많은 안무 작품들을 화려함이나 군더더기보다는 호흡을 통한 리듬과 솔직함, 꾸밈없이 몸으로 표현하는 몸성이 돋보였다. 이것은 오감을 자극하는 움직임들로 벨기에 쎄 드라 베 무용단에서의 영향도 없지 않다. 당시부터 몸의 언어를 찾기 시작했고 외형보다는 내면적인 움직임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 또한 감각적인 의식의 흐름을 따르고, 본질적이고 본능적인 작업을 추구하다 보니 이후 신체언어에 대한 고민이 많아졌고 그 결과 노화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기도 했다. 작업 과정을 중시하는 그는 에너지가 쌓여 결과물로 나와 관객에게 전달된다는 생각을 갖고 외부 작용과의 협업을 추구했다. 예효승 스스로가 생각하는 움직임 특성은 자신이 몸의 연기를 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기술적이거나 정형화된 것이 아니라 예측불허한 움직임 혹은 관객의 상상을 벗어나는 움직임을 추구하며 무용수가 몸으로 연기를 잘 하고 싶은 그런 솔직한 표현을 중시한다. 움직임에 있어서 기교적이나 일반적인 테크닉이 아니라 자신만의 춤어휘가 있고, 강인함과 에너지의 표출이 진실되면서도 진중한 자세로 그려지는 예효승의 매력은 색다른 이미지로 다가선다. 


영화, 무브먼트 디렉터, 캐스팅 디렉터, 다큐멘터리로 영역을 넓히다


예효승은 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작업영역도 넓혀왔다. 유지태, 유아인 등과 친분으로 〈살아있다〉라는 영화에서 주인공 좀비의 움직임을 안무했는데, 깊은 호흡과 미세한 표정으로 감염단계를 표현했기에 무용 언어를 무대 밖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한 일례였다. 작년에는 영화 〈원더랜드〉에서 모션 캡쳐 안무 및 출연을 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나이키 광고 무브먼트 디렉터, 마이클 코어스 글로벌 광고 무브먼트 디렉터, 헤르메스 〈Please check in〉 캐스팅 디렉터, EBS 다큐프라임 ‘예술의 쓸모’에서 지하철 청소노동자들의 공연 〈지하철 차차차〉를 연출, 안무했다. 〈지하철 차차차〉는 그에게 있어서 일반인들과 작업 만드는 과정이 흥미로움을 알게 해 준 계기가 되었다. 이 작업에서 청소동작에 리듬과 음악을 입히고, 일상적인 움직임을 춤으로 전환해 춤이 가진 치유와 소통의 가능성을 전달했다. 


주변 환경과 상호관계를 추구하는 안무자


예효승은 초창기에는 다소 심각하고 어두운 작업을 추구했고 그것이 예술이며 본인에게 맞는다고 생각했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어느 순간 자신의 생각과 가치가 변화했고 주변의 환경과 타협하는 그런 창작자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을 표명했다. 더불어 〈흔적들(feat. 의식의 흐름)〉과 〈우리는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 등을 통해 노화에 따른 신체 변화의 흐름 등에도 관심을 갖고있다. 그는 몸성에 기반을 두고 고유의 신체언어를 통해 동작을 탐구하고 확장하는 무용가로 유명하며 현재 무용수에서 창작자로 활동하는 것이 익숙해져 가고 있다. 그만큼 안무 영역의 스펙트럼이 확대되고 있으며 일에 대한 욕심이 많아지면서 감사한 마음도 갖게 되고, 일에 대한 행복과 집중이 마음가짐이 되고 있다고 한다. 현장에 있는 것이 행복하며 다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으로 충만한 그는 역시나 무용수이자 창작자인 전천후 예술인인 것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CHOREOGRAPHER

Vol. 120-1 (2025.8.5.) Issue


Written by Jang Ji-w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Ye Hyo-seung



Ye Hyo-seung, a dancer who has made a name for himself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a young age, Ye Hyo-seung was gifted with physical imitation and enjoyed performing in front of others, serving as a cheerleader. Despite his late start, he eventually found recognition in his chosen field of dance, expanding his reach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internationally. He was a visiting member of Japan's PAPPATARA HUMARA and later joined France's Carolyn Carlson Atelier de Paris. He later joined the world-renowned Belgian dance company Les Ballets C de la B as a Korean dancer, making a name for himself and even participating as an assistant choreographer in the closing ceremony of the 2014 Sochi Winter Olympics. He continues to perform in productions, and, through a shift in the style of his early work, he has achieved success with trendy and distinctive works. Ye Hyo-seung, who has garnered particular attention for his sensuous and contemporary style through works with the Korea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nd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has expanded his inner gaze, free from formal constraints, to the world, allowing him to express life and dance with greater freedom.


Born in Seoul in 1974, Ye Hyo-seung, now in his fifties, is currently an adjunc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dia and Performing Arts at Konkuk University and the president of the dance company B luePoet D.T. He also runs a performance planning company called La Pangbling, which produces event brand performances, and works as a movement director for films and events, engaging in diverse performance-related activities. Beyond dance, he has also collaborated with renowned brands like Hermès for the past three years, leading him to venture into business to create content related to event brands. This year has been both busy and rewarding for him. He was given the rare opportunity to simultaneously choreograph for two national organizations, the Korea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We Had No Choice but to Move〉 and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Five Vibes〉. This opportunity was a testament to his honed skills.


A Late Beginning in Dance


He began dancing relatively late, in his second year of high school, choosing it for college entrance exams. His parents had no interest in the arts and were considering sending him to a physical education college. However, an acquaintance of his was a dancer, so he quenched their thirst for education through dance. At the time, Kyung He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was highly regarded, so his mother introduced him to Oh Hwa-jin, who introduced him to Ahn Jung-jun and Jang Ae-sook, who taught him modern dance from the beginning. He received a piece from Ahn Jung-jun and entered Kyung Hee University. Upon entering, he performed extensively as a male dancer under Professor Park Myung-sook. It's a shame that the male dancers who were active back then are no longer active. Although he had never worked with Hong Seung-yeop, he became the director of the Korea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KNCD), and his return from Europe coincided with his appointment as the company's trainer. In Korea, he performed in works by Yook Wan-soon, Ahn Ae-soon, Hong Seung-yeop, Ahn Eun-mi, and Kim Won.


Awards and Overseas Expansion


In 1998, he won the Rookie of the Year Award for his graduation work at the Contemporary Dance Association's Contemporary Dance Debut Exhibition. He also spent four months as a foreign student at Ochanomizu University in Japan on a scholarship. He subsequently participated in the Dong-A Competition three times, failing to pass, but ultimately winning gold in 1999. After receiving military exemption, he performed with the now-defunct Japanese dance company Papathara Humara as part of a collaborative project during the 2002-2003 Korea-Japan Cultural Exchange Year. In 2004, at the age of 30, he applied for a scholarship through the Arts Council Korea's Emerging Artist Support Program,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French Centre National de la Dance (CND). Luckily, I was selected for this program and went abroad. Dancer Kim Nam-jin was there at the time, and he advised me to pursue a broader market. I auditioned for Caroline Carlson at CN D and was selected, joining the company.


Joined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Belgian C de la B Dance Company


Later, I was selected through an audition held in France by world-renowned choreographer Alain Platel. With Sé de la Vé Dance Company, I participated in 〈Vespers (VSPRS)〉 in 2005 and 〈Pitié〉 in 2007. In 2009, I became an original member of 〈Out of Context for Pina〉 which began its tour in 2010 and continues to this day. This performance, a tribute to Pina Bausch, was contract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original members would perform once a year. Alain Platel praised Ye Hyo-seung's dance, saying that when he first saw it, he was impressed by its uniqueness, something he had never seen before. He also praised his passion and expressed deep trust in him as a person.


First Solo Choreography: 〈Finger Dance_Life〉


His first choreography was the trio 〈Finger Dance_Life〉 choreographed after a trip abroad in 2012. He performed it at the Jayu Theater and collaborated with Lee Seol-ae and Jeong Hae-gyeong, who are currently retired dancers. The piece portrays the daily lives of people weary of repetitive labor and fierce competition, expressing their desire for freedom and aspirations for escape from this. It features people such as cleaners and factory workers performing repetitive tasks, as well as puppets resembling people. His signature "finger dance," characterized by the conspicuous movement of his fingers, garnered particular attention. This connection can be seen in his later performance of 〈Subway Cha Cha Cha〉 featuring subway cleaners. 〈I'm so Tired〉, which was selected as an excellent work by the Performing Arts Creation Center in 2013 and re-performed, captures the reality of our lives in an era of excessive fatigue. It was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an escape for those who dream of paradise while living in a modern society where fatigue is paramount.


〈Now Now〉, my most beloved work and representative work


〈Now Now〉, created in 2013, aims to tell the story of what is now and what I own. The five male dancers of Cedrave (Ye Hyo-seung, Mathieu Dessigne Ravel, Elie Tass, Ross McComack, and Romeu Runa) have been together for six years since 2005, sharing a deep friendship and artistic connection. They have always shared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They fulfilled their promise to create a joint performance before leaving the group, which they carried out in Korea. This work has toured numerous countries, including France, Belgium, and South America, and was performed again three years ago.


Diverse Choreographic Works


Ye Hyo-seung's choreographic work has been concentrated since 2012. The aforementioned 〈Finger Dance_Life〉(2012), 〈Footprints〉(2012), and 〈N(own)ow〉(2013), as well as the opening performance at LIG Art Hall Hapjeong, are examples. There are 〈Dance Edge〉(2013), 〈I’m so Tired〉(2013), 〈CHAOSMOS〉(2013), 〈Dance Speaks〉(2016), Seoul Arts Troupe’s original dance and dance theater 〈Gwaeppai, Isang〉(2017), and 〈Voice of Acts〉(2018). 〈Voice of Acts〉(2018) dealt with the intense collision of raw movement and external stimuli, and the instinctive energy expressed within it. 〈Stranger Effect〉(2018) showed dancing freely dividing the space without dividing the stage and the audience. In 〈OPIUM〉(2018), opium is the latex of the poppy flower and is also called opium. The dance that allows the body to break free from oppression and open the senses was evaluated as a metaphor for some intangible trigger similar to opium. 〈Declaration of Companionship〉(2020) This performance focuses on the fact that all organisms, including humans, cannot survive alone. 〈Regeneration: Ability〉(2020) embodies the reorganized form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combination of a machine (robot). His other works include choreography for the musical 〈Dracula〉(2022), the premiere of a new SiDance production, 〈Traces (feat. Stream of Consciousness)〉(2023), directing 〈We Had No Choice but to Move〉(2025), and directing 〈Five Vibes〉(2025).


Choreographic Focus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Yehyo Seung's numerous previous choreographic works stand out for their rhythmic, honest, and unadorned body expression, rather than flashiness or superfluity. These movements, which stimulate the five senses, are in no small part influenced by the Belgian dance company Se de la Vé. It was at this time that he began exploring the language of the body, focusing on inner movement rather than outward forms. Furthermore, following the sensory flow of consciousness and pursuing essential and instinctive work, he later delved deeply into body language. As a result, he also explored the topic of aging. He values the creative process, believing that energy accumulates and is ultimately conveyed to the audience, and pursues collaboration with external forces. Ye Hyo-seung's own movement style reflects his love of performing with the body. Rather than being technical or formulaic, he pursues unpredictable movements, movements that defy the audience's imagination. He values the honest expression of a dancer's desire to perform effectively with his body. His movement style is not based on technical or conventional techniques, but rather on his own unique dance vocabulary. Ye Hyo-seung's appeal lies in his genuine yet profound expression of strength and energy, creating a unique image.


Expanding his horizons to film, movement director, casting director, and documentary


Ye Hyo-seung has expanded his scope beyond dance. With his friendships with Yoo Ji-tae and Yoo Ah-in, he choreographed the movements of the zombie protagonist in the film 〈Alive〉. His deep breathing and subtle facial expressions conveyed the stages of infection, effectively utilizing the language of dance beyond the stage. Last year, he also choreographed the motion sequences for the film 〈Wonderland〉. He also choreographed and appeared in captures. In addition, he served as Nike advertising movement director, Michael Kors global advertising movement director, Hermes’ 〈Please Check In〉 casting director, and directed and choreographed 〈Subway Cha Cha Cha〉 a performance by subway cleaning workers for the EBS documentary 〈The Usefulness of Art〉. 〈Subway Cha Cha Cha〉 was an opportunity for him to discover the interest in the process of creating work with ordinary people. In this work, he imbued cleaning movements with rhythm and music, and transformed everyday movements into dance to convey the healing and communication potential of dance.


A Choreographer Who Seeks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Yehyo Seung initially pursued somewhat serious and dark work, believing it to be art and a fitting fit for him. However, over time, his thoughts and values shifted, and he expressed his desire to become a creator who compromises with his surroundings. Furthermore, through works like 〈Traces (feat. Stream of Consciousness)〉 and 〈We Had No Choice but to Move〉 he explores the phys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Renowned as a dancer who explores and expands movement through his unique body language, grounded in the physicality of the body, he is now becoming accustomed to working as a creator. His broadening range of choreography, coupled with his growing passion for his work, has fostered a sense of gratitude, and he has become a happy and focused practitioner. He is a true all-rounder, both dancer and creator, who finds joy in being on set and eager to take on new challenges.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