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춤작가

유목적 상상으로 자기만의 탄츠테아터를 추구하는 현대무용가 박소희

춤작가

Vol.121-1 (2025.9.5.) 발행


글_ 이상헌(춤 평론가)

사진제공_ 박소희



2019년 4월 ‘제25회 신인춤제전’에서 박소희 안무작 〈당신은 어떠신가?〉를 보고, 20대 초반 안무자에게 관심을 두게 되었다. 작품은 연극적 요소를 적극 도입하면서도 무용 작품의 정체성을 잘 유지하고 있었다. 대사와 움직임을 연결 짓기보다 의도적으로 툭툭 끊어 춤이 대사에 딸려 가지 않게 한 연출이 돋보였다. 리뷰에서 “춤에 도입한 대사 때문에 실패한 사례들에 견주어 가능성 있는 작품”이라고 썼다. 그 작품이 박소희의 안무 데뷔작이었다. 이후 간간이 활동 소식을 듣고 있다가 2024년 10월 19일 해운대문화회관에 올린 〈민들레〉(연출: 박소희, 공동 안무: 박소희·정승환)를 보고, 불과 5년 만에 ‘박소희 안무의 색이 완성되었다.’라는 확신이 들었다. 


1996년생 박소희가 대학을 졸업하고 짧은 시간에 안무가로 이룬 성과는 ‘시간 대비 성취’의 차원을 넘어선다. 어릴 적 할머니와 씨름판 구경 갔다가 생방송 무대에서 춤추는 모습이 텔레비전에 나와 직장에 있던 어머니가 깜짝 놀라 할머니께 전화했다는 일화를 박소희는 춤의 시작으로 이야기했다. 이 일화는 박소희 춤의 시작점이라기보다 태생적으로 춤을 좋아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정식으로 춤을 배운 것은 초등학교 4학년 때 담임 선생님의 권유로 무용학원에서 배운 방송 댄스, 벨리댄스가 시작이었다. 그렇게 춤을 배워 나름대로 이름을 날리면서 10대를 보내다가 고2 때 대학을 가려면 순수 무용이 필요하다는 말을 듣고 현대무용에 입문하게 되었다. 이 시기 춤은 흥미보다 입시 목적이 앞섰다고 회고하지만, 이전의 자유로운 춤 경험은 이후 순수 무용의 규칙 속에서도 자기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적 기반이 되었던 듯하다.


경성대 무용 전공으로 입학한 후, 그는 두 가지 중요한 자양분을 얻는다. 연극영화과 수업을 수강한 것이 첫 번째다. 연영과에서 연출 기법을 체계적으로 익히며 피나 바우슈와 탄츠테아터를 접했고, 연극적 감수성을 지닌 김남진과 이기호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특히 이기호 교수의 수업에서 대사를 배제한 채 무대의 공간만으로 힘을 구축하는 실험은 이후 작업에서 중요한 창작 방법론이 되었다. 이렇게 해서 박소희는 자연스럽게 현대무용과 연극영화 연출을 복수로 전공하였다. 두 번째는 만남이다. 무용과 동기 정승환, 연극영화과 동기 박한별 등과의 교류는 예술적 동반자 관계를 형성했고, 동료와의 협업을 통해 연극과 무용을 결합하는 독자적 언어를 정립해 나갔다. 이 과정을 통해 박소희는 ‘박소희식 탄츠테아터’라 부를 만한 표현 지평을 확장해 갔다. 이들은 지금까지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민들레

  

당신은어떠신가요

 

다시 데뷔작 〈당신은 어떠신가요?〉로 돌아가 보자, 이 작품은 그의 졸업 작품이다. 이상의 수필 〈권태〉를 모티브로, 2인무로 창작한 작품을 ‘신인춤제전’, ‘중앙동 40계단 공연’, ‘을숙도문화회관 기획 공연’, ‘부산국제무용제 거리춤 축제’까지 공연하면서 여성 4인무로 확장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공연 환경과 무용수에 따라 다르게 변주되는 차이를 확인했다고 한다. 여기서 ‘레퍼토리’ 개념이 각인되었고, 한 번 만든 작품을 계속 수정 보완해서 올리는 방식이 창작의 기본이 되었다. 그런데 ‘박소희의 레퍼토리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데 있어서 성장 과정에서 획득한 자기 확신과 든든한 동료만으로는 뭔가 비어 있는 듯하다. 사람은 공동체에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창작을 혼자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무수한 관계에서 거르고 얻은 것을 자기화하는 과정이다. 박소희 역시 많은 관계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용진 안무가와 황지선 연출가가 협업한 〈MEN〉, 〈RED HEEL〉에 참여하면서 연극과 무용이 맞물려가는 과정을 경험했고, 그 경험 또한 중요한 자양분이 되었다. 해외 작품에서도 영향을 받았는데, Hofesh Shechter, Nederlands Dans Theater(NDT), Matthew Bourne의 내한 공연을 보면서 외국 어법을 흉내 내지 않고 박소희식 현대무용 어법을 어떻게 추구할지 자문하게 되었다. 이 질문은 지금도 품고 있다고 한다. 질문은 답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의 본질을 깨달아 가는 과정이다. 답을 내는 순간 모든 사고가 멈춘다. 그는 여전히 이 질문을 ‘진행형 숙제’라 부르며 창작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다. 질문의 본질을 알고 있다는 뜻이다.


작품을 만들 때 중요하게 여기는 점을 물었다. 자신이 무엇에 분노하고, 어떤 상상 속에 살고 있는지부터 점검하면서 오늘날 사회의 지표를 묻는 말을 자기 몸의 어투로 건네려 한다는 답이 돌아왔다. 여기에 더해 어려운 표현과 직설적 표현의 균형을 어떻게 잡아 관객과 만날 것인지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여기서 드러나는 것은 단순한 자기 고백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을 신체 언어로 변환하려는 태도다. 개인 창작은 두 축으로 준비 중인데, 첫째는 폭력에 관한 작업이다. 역사와 시선 속에 스며있는 폭력의 구조를 몸으로 들여다보려 한다. 성적 소수자성을 지닌 채 살아온 50대 남성의 삶을 다룬 〈민들레〉가 떠오르는 지점이다. 두 번째는 ‘할머니의 뜨개질’인데, 자기를 모나지 않게 성장할 수 있도록 붙들어 준 할머니와 얽힌 기억에 관한 작업이 될 것이라고 한다. 앞으로의 과제는 바로 이 두 축인 사회성과 개인성의 긴장을 더욱 정교하게 엮어내는 데 있을 것이다.

 

저항의 저항

  

그리하여 능청이

 

노매터


인터뷰 끄트머리에 박소희는 ‘부산을 떠나야 춤이 자란다고 믿은 적이 없다. 거제도, 부산 그리고 칸까지 바다를 끼고 춤추는 자기 모습이 낭만적이라는 생각을 한다.’라고 말한다. 실제로 올해 초 프랑스 에르베 쿠비(Hervé Koubi) 무용단 무용수로 참여했으며, 그 작업이 12월 프랑스 칸에서 무대에 오르고, 몽펠리에(Montpellier)에서는 자기 작품이 공연될 예정이다. ‘부산에 거점을 두고, 필요하면 오래 다른 지역에 머물러 원하는 작업을 마치고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삶을 원한다.’라는 유목적 기대가 담긴 말이 인상 깊었다. 지금까지도 박소희는 특정 영역에 머물지 않았다. 그가 말한 다시 돌아 올 ‘집’이 물리적인 공간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스스로 “이것이 박소희식 탄츠테아터”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순간이 예술적 정주처(定住處)로써 ‘집’이지 않을까 싶다. 


춤꾼이자 안무가로서 박소희는 아직 답을 내지 않은 채 질문에 질문을 거듭하고 있다. 관객은 그 미완의 질문 속에서 성장하는 한 예술가의 궤적을 목격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CHOREOGRAPHER

Vol. 121-1 (2025.9.5.)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Park So-hee



Park So-hee, a contemporary dancer pursuing her own dance theater with a nomadic imagination



After seeing Park So-hee's choreography 〈How Are You?〉 at the 25th New Dance Festival in April 2019, I became interested in this choreographer in her early 20s. The work actively incorporated theatrical elements while maintaining its identity as a dance piece. The direction, which intentionally separated the dialogue and movement rather than connecting them, was striking, preventing the dance from becoming entangled with the dialogue. The review stated, “Compared to examples that fail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alogue into the dance, this work has potential.” That work was Park So-hee's choreographic debut. After hearing about her activities intermittently, I saw 〈Dandelion〉 (directed by Park So-hee, co-choreographed by Park So-hee and Jung Seung-hwan) performed at the Haeundae Cultural Center on October 19, 2024, and it was upon seeing it that I became convinced that, in just five years, “Park So-hee's choreography had been perfected.”


Born in 1996, Park So-hee's accomplishments as a choreographer in a short time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go beyond the mere "achievement over time." Park So-hee recounts her childhood experience watching a wrestling match with her grandmother, and seeing her dancing live on television caused her mother, who was at work, to call her in shock. This anecdote can be interpreted not as the beginning of Park So-hee's dance journey, but rather as a natural love of dance. Her formal training began in the fourth grade, when she learned broadcast dance and belly dancing at a dance academy at the recommendation of her homeroom teacher. She spent her teenage years learning dance and making a name for herself. Then, in her second year of high school, she heard that pure dance was necessary for college admission, leading her to pursue modern dance. She recalls that during this period, dancing was more about entrance exams than about passion, but her previous experience with free dance seems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her to build her own world even within the rules of pure dance.


After entering Kyungsung University as a dance major, she gained two crucial insights. The first was her participation in the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There, she systematically learned directing techniques, was exposed to Pina Bausch and Tanztheater, and was mentored by Kim Nam-jin and Lee Ki-ho, both of whom possessed a theatrical sensibility. Professor Lee's class, in particular, explored the power of stage space, excluding dialogue, and became a crucial creative methodology in her later work. Thus, Park So-hee naturally double-majored in both modern dance and theater and film directing. The second was an encounter. Her interactions with fellow dance students Jeong Seung-hwan and Park Han-byeol, along with her fellow theater and film students, fostered artistic partnerships. Through collaboration, she developed a unique language that combined theater and dance. Through this process, Park So-hee broadened her expressive horizons, creating what could be called "Park So-hee-style tanztheater." These collaborations continue to this day.


Returning to her debut work, 〈How Are You?〉 her graduation project. Based on Lee Sang's essay 〈Ennui〉 this work, originally created as a duet, was expanded into a four-woman dance, performing at the ‘New Dance Festival’, ‘Jungang-dong 40 Steps Performance’, ‘Eulsukdo Cultural Center Planning Performance’ and ‘Busan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Street Dance Festival’. Through these performances, she observed variation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and dancers. This ingrained the concept of ‘repertoire’ and the practice of continually revising and revising a piece once created became the foundation of her creative process. However, in building ‘Park Sohee’s Repertoire System’ the self-confidence and solid colleagues she acquired through her upbringing felt like something was missing. People live in communities, forming relationships. While creative work may seem like a solitary endeavor, it’s actually a process of internalizing what she's gleaned from countless relationships. Park Sohee has also been influenced by numerous relationships. Participating in 〈MEN〉 and 〈RED HEEL〉 a collaboration between choreographer Lee Yong-jin and director Hwang Ji-seon, allowed her to experience the intertwining of theater and dance, an experience that proved invaluable. She was also influenced by international works. Watching performances by Hofesh Shechter, Nederlands Dans Theater (NDT), and Matthew Bourne in Korea, she questioned how to pursue Park Sohee's own contemporary dance idiom without imitating foreign idioms. She says she still ponders this question. A question isn't about seeking answers, but rather about realizing the essence of a problem. The moment an answer is reached, all thinking stops. She still calls this question an "ongoing homework assignment," a driving force behind her creative work. This means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the question.


I asked him what he considers important when creating his work. He replied that he begins by examining what angers him and what imaginations he inhabits, and that he seeks to convey the questions about today's society through his own body language. He also mentioned that he is contemplating how to strike a balance between difficult and direct expressions to connect with the audience. What is revealed here is not a simple confession, but an attitude of translating social context into bodily language. He is currently preparing two personal works. The first is a work on violence. He seeks to physically examine the structures of violence permeating history and gaze. This brings to mind "Dandelion," which explores the life of a man in his fifties who has lived with a sexual minority. The second is "Grandmother's Knitting," which he says will explore memories intertwined with his grandmother, who supported him through his growth without being too harsh. His future task will lie in further elaborating the tension between these two axes: sociality and individuality.


At the end of the interview, Park So-hee says, “I've never believed that dance would flourish without leaving Busan. I find it romantic to see myself dancing along the sea, from Geoje Island to Busan to Cannes.” Indeed, earlier this year, she participated as a dancer with the French Hervé Koubi dance company, and her work will be performed in Cannes in December, while her own work will be performed in Montpellier. Her words, expressing her nomadic aspirations, were striking: “I want to live a life based in Busan, staying in other places as needed, completing my desired work, and then returning home.” Even now, Park So-hee has not settled into a specific area. It strikes me that the ‘home’ she speaks of might not be a physical space. Perhaps the moment she can confidently declare, “This is Park So-hee's style of tanztheater” is the moment when she truly feels ‘home’ as an artistic dwelling.


As a dancer and choreographer, Park So-hee continues to ask questions without providing answers. The audience is delighted simply by witnessing the trajectory of an artist growing within these unfinished questions.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