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페이지
Vol.121-2(2025.9.20.) 발행
글_ 한성주(본지 에디터)
사진제공_ 고블린파티
귀문(鬼門), 문자 그대로 풀면 귀신이 드나드는 문이다. 조상들은 이 문이 열릴 때 삶과 죽음, 이승과 저승이 이어진다고 믿었다. 경외와 두려움이 공존하는 경계의 통로 그러나 동시에 누구나 언젠가 반드시 지나야 할 문. 고블린파티x갬블러크루의 신작은 이 ‘귀문’을 빌려 무대 위에서 경계와 전이를 춤으로 현현시킨다.
공연 시작 전, 무대 한편에 놓인 봉들은 제사를 올릴 때 피는 향처럼 보였다. 이 사물들은 무대를 단숨에 ‘의례’의 장소로 바꾸어 놓는다. 봉이 세워지고 움직임이 오가며 생겨나는 틈은 관객에게 경계 너머를 상상하게 한다.
막이 오르고, 무대 오른쪽 뒤편에는 가야금을 연주하는 김민정 연주자가 앉아 있었다. 그는 단순히 현을 뜯는 연주자에 머물지 않고 직접 목소리를 더해 작품의 서두를 열었다. 작품을 소개하며 안무가가 왜 이 공연을 기획하게 되었는지를 풀어내는 일종의 내레이션이었는데 무용을 어렵게만 여기는 이들에게 친절한 길잡이 장치였던 것 같다. 언어로 시작된 순간은 곧 몸짓과 소리로 이어질 ‘또 다른 문’의 예고처럼 들렸다.
반대편에는 퍼커셔니스트 김현빈이 자리하고 있었다. 물이 흘러내리는 듯한 소리, 맑은 방울의 울림, 북의 강렬한 타격이 교차하며 공간을 채웠다. 이 소리는 단순한 배경음이 아니라 무대의 공기를 진동시키며 관객의 감각을 열어젖히는 일종의 의례적 사운드였다. 덕분에 객석은 일상에서 단절된 또 하나의 세계에 들어선 듯한 몰입감을 얻게 된다.
곧이어 검은 의상과 모자를 쓴 두 무용수가 상자를 들고 등장한다. 검은 차림은 안무가가 어린 시절 꿈에서 마주했다는 저승사자의 형상을 불러내며 개인적 체험이 무대 위에서 보편적 질문으로 확장되는 순간을 만들어낸다. 무용수가 들고 나온 상자는 관 같기도 하고 유골함 같기도 하며 무용수들의 몸짓과 함께 떨어졌다 붙었다 한다. 생과 사를 담는 기묘한 사물로 단순한 소품 이상의 의미를 보여주는 듯하다. 존재와 부재의 경계, 가까움과 멀어짐을 반복한다. 무용수들은 상자를 중심으로 앞뒤로 넘나들며 마치 삶과 죽음 사이를 오가는 듯한 궤적을 남긴다.
곧 무대 위에 칼이 등장해 또 다른 경계를 그려낸다. 여러 무용수가 칼에 몸을 기대거나 붙잡으며 움직인다. 칼날과 칼집은 이들을 때로는 갈라놓고 때로는 다시 모아 붙인다. 문턱을 가르고 경계를 세우는 매개체로서의 칼은 살아 있는 존재와 죽은 존재, 개인과 공동체의 경계를 날카롭게 시각화한다.
정적으로 세워져 있던 봉은 어느 순간 무대의 중심으로 변모한다. 무용수들은 봉을 맞부딪히며 소리를 내고 서로를 향해 내려치거나 봉을 넘어 건너가며 호흡을 교환한다. 여기에 비보잉의 회전과 도약이 겹쳐지면서 무대는 집단적 에너지로 폭발한다. 초반부의 봉이 주던 장송적이고 의례적인 느낌이 점차 놀이와 격투에 가까운 활기찬 에너지로 전환된다. 봉은 경계의 상징을 넘어서면서 충돌과 합일의 놀이적 도구가 되었다.
카혼의 울림과 가야금, 퍼커션의 리듬은 문을 두드리는 울림처럼 들리고 부드럽게 뻗는 춤과 힘차게 도약하는 춤은 서로 다른 길에서 출발해 결국 호흡을 맞추며 같은 길을 걷는다. 이 과정은 타자와의 충돌을 통해 합(合)을 이루는 순간을 상징한다.
고블린파티의 현대무용과 갬블러크루의 비보잉은 낯설면서도 친근한 충돌을 빚어낸다. 굿판 같은 장면이 펼쳐지는가 하면 회전과 스핀으로 이어지는 스트리트 댄스는 그 속에 현대적 리듬을 심는다. 전통과 현대, 삶과 죽음 등 이질적 경계들이 한 무대에서 겹쳐지며 경계 자체가 예술적 언어로 기능한다.
공연은 마지막까지 답을 내리지 않는다. 다만 문은 여전히 열려 있다. 그 문턱을 넘어 어떤 세계를 마주할지는 관객 각자의 몫이다. 〈귀문〉은 춤이 관객 각자 안에서 울리는 하나의 질문으로 남는다. “당신에게 예술은 어떤 문인가?”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Editors’ Page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Han Sungjoo (Editor of Dance Post. Korea)
Photos provided by Goblin Party
Goblin Party x Gambler Crew Open the Door to 〈Gwimun (鬼門)〉
Gwimun (鬼門), literally meaning "gate" for ghosts, refers to the passage through which ghosts pass. Our ancestors believed that when this gate opened, life and death, this world and the next, were connected. It is a liminal passage where awe and fear coexist, yet at the same time, a gate that everyone must pass through at some point. Goblin Party x Gambler Crew's new work borrows this "Gwimun" to dance through the stage, representing boundaries and transitions.
Before the performance began, the poles placed on one side of the stage resembled incense burning during ancestral rites. These objects instantly transformed the stage into a place of "ritual." The gaps created by the erection of the poles and the movement of their movements invite the audience to imagine what lies beyond the boundary.
The curtain rose, and at the back right of the stage sat Kim Min-jung, a gayageum player. She didn't simply pluck the strings; she added her voice to the opening of the piece. It was a kind of narration, introducing the piece and explaining why the choreographer had planned this performance. It seemed like a helpful guide for those who found dance difficult. The moment that began with words sounded like a prelude to another door, one that would soon lead to gesture and sound.
On the other side, percussionist Kim Hyun-bin was seated. The sound of cascading water, the clear resonance of bells, and the powerful percussion of drums intertwined, filling the space. This sound wasn't mere background music; it was a kind of ritualistic sound that vibrated the air on stage and opened the audience's senses. This immersed the audience into a world cut off from everyday life.
Soon after, two dancers in black costumes and hats appeared, carrying boxes. The black attire evokes the image of the grim reaper the choreographer encountered in a childhood dream, creating a moment where personal experiences expand into universal questions on stage. The box the dancer carries resembles both a coffin and an urn, falling and reattaching with the dancers' movements. As a strange object containing life and death, it seems to convey more than just a prop. It reiterates the boundaries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proximity and distance. The dancers move back and forth around the box, leaving a trajectory that seems to oscillate between life and death.
Soon, a sword appears on stage, delineating another boundary. Several dancers lean against or grasp the sword. The blade and sheath sometimes divide and sometimes reunite them. As a medium that divides thresholds and establishes boundaries, the sword sharply visualizes the boundaries between living and dead, individual and community.
The static pole, once standing still, suddenly transforms into the center of the stage. The dancers clash the poles, making noise and striking each other, or leaping over them, exchanging breaths. When this is combined with the spinning and leaping of b-boying, the stage explodes with collective energy. The funeral and ritualistic feeling of the poles in the beginning gradually transforms into a vibrant energy closer to play and combat. The poles transcend their role as symbols of boundaries, becoming playful tools of conflict and unity.
The resonance of the cajon, the rhythm of the gayageum, and the percussion sound like the sound of a knocking door. The gentle stretching and powerful leaping dances begin from different paths but ultimately synchronize and walk the same path. This process symbolizes the moment of unity achieved through collision with the other.
Goblin Party's modern dance and Gambler Crew's b-boying create a clash that is both unfamiliar and familiar. While scenes reminiscent of a shamanistic ritual unfold, the street dance, with its spinning and turning, instills a contemporary rhythm within. Disparate boundaries—tradition and modernity, life and death—intersect on a single stage, and the boundaries themselves function as artistic language.
The performance doesn't provide a definitive answer until the very end. However, the door remains open. It's up to each audience member to decide what world they will encounter when they cross that threshold. 〈Gwimun〉 remains a question, a question resonating within each audience member through dance: "What kind of door is art to you?"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