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Vol. 122-2 (2025.10.20.) 발행
글_ 한성주(본지 에디터)
사진제공_ 노박스댄스페스티벌

노박스댄스필름페스티벌은 무용과 영화가 만나는 특별한 자리이다. ‘움직임을 기록하고, 춤을 확장한다’는 취지 아래 다양한 댄스필름을 소개하며 관객이 새로운 방식으로 춤을 경험하도록 이끌고 있다. 매년 새로운 댄스필름을 발굴하며 국내외 무용 영화 담론을 넓히고 있는 본 축제에서 국립현대무용단 작품 〈Gravity of Living〉(안무 윤희섭, 연출 허정재·윤희섭)이 베스트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이에 본지는 작품의 제작 과정과 안무가로서의 예술적 비전을 들어보기 위해 윤희섭 안무가를 인터뷰했다.

〈Gravity of Living〉이 제7회 노박스댄스필름페스티벌에서 베스트 퍼포먼스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번 수상이 안무가님께는 어떤 의미로 다가오셨나요?
이번 수상은 저에게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크게 다가온 건 댄스필름이라는 영역에서의 도전이라는 점이에요. 정말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담긴 작품을 통해서 댄스필름이라는 영역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었고 저 또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생각합니다. 작품의 서사를 위해 움직이는 무용수들과 그 움직임을 담아내는 제작진들의 깊은 노력이 있기 때문에 더욱더 전달력 있는 작품이 되었고 나아가 수상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댄스필름이라는 영역의 예술의 한 본보기로 남아 좋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고 저의 작업을 통해서 다른 예술가들이 원동력이나 추진력을 조금이라도 얻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심사위원단이 “부부의 여정을 뛰어난 전달력의 안무와 연기, 영상으로 담아냈다”고 평가했는데요. 서사를 무용적 언어로 풀어내실 때 특별히 어떤 전략을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부부라는 인물을 통해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의 삶을 담아내는 것’을 가장 중요한 포인트로 삼았습니다. 작품 속 부부라는 인물을 통해 남성과 여성이 느낄 수 있는 감정, 또 사회나 가정에서 다룰 수 있는 문제들을 비추어내고 싶었어요. 그래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장면으로 구성하려고 했습니다. 안무에서는 제가 자주 쓰는 방식인 ‘단일 – 관계 – 군중’ 구조를 활용했습니다. 같은 주제를 두고도 인물의 수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해석되는지를 보여주려는 전략이었죠. 그래서 〈Gravity of Living〉은 성별, 환경, 사람의 수 같은 조건들을 일반화해서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삶을 보다 사실적으로 풀어내려 했습니다.

〈Gravity of Living〉를 통해 ‘삶의 무게’를 표현하고자 하셨는데 안무가님께서 생각하시는 ‘살아간다는 것의 무게’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의미가 작품 속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도 궁금합니다.
저는 ‘삶의 무게’를 우리가 반드시 책임져야 하고 이겨내야 하는 어려움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어려움을 겪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있지만 마냥 피할 수만은 없지요. 저는 그런 어려움이 있기에 성취감이나 보람, 성장 같은 원동력이 생긴다고도 봅니다. 작품 속 인물 ‘미영’의 뱃속 아이가 바로 그런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무거운 몸을 이끌며 살아가는 것, 그것은 삶이 겪는 어려움이기도 하고 동시에 살아가야 할 이유이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저는 어려움 그 자체보다도 그 어려움을 누구와 함께, 어떻게, 왜 이겨내는가에 주목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 현대인들의 자서전인 삶의 모습을 투영하려 했습니다.

무용과 영상 매체라는 두 가지 형식이 결합 된 작업에서 안무적 움직임이 카메라와 만나면서 어떻게 변주되었는지 또 더욱 잘 담긴 포인트들이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번 작업을 통해 공연예술과 매체예술의 차이를 더 선명히 인지하게 됐습니다. 무용만으로는 추상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인물들의 감정이나 서사를 카메라를 통해 훨씬 섬세하게 전달할 수 있었죠. 예를 들어 첫 장면인 집 안의 침대 신은 작은 움직임들의 나열이었는데 카메라가 이를 세밀하게 담아내면서 다이내믹이 생겼습니다. 또 산부인과나 술집 장면에서는 인물의 감정을 더욱 드러낼 수 있었고 장면 전환을 통해 공연예술과는 다른 방식의 전달력이 생겼습니다. 현장에서 모니터링하며 연출을 조율하는 과정도 결과물을 더 풍부하게 만들었습니다.
노박스댄스필름페스티벌은 ‘움직임을 기록하고, 춤을 확장한다’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안무가님께서는 무용이 영상이라는 매체를 통해 어떤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고 보시나요?
무용이 영상이라는 매체와 만났을 때, 단순히 움직임의 나열이 아니라 메시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힘이 생긴다고 봅니다. 영화에는 대사가 없을 수 있는데 그럴수록 몸짓이 언어 이상의 힘을 가지기도 하지요. 저는 몸짓의 솔직한 아름다움과 전달력이 언젠가는 언어보다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면 국가의 언어적 한계도 넘어설 수 있고,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도 허물 수 있습니다. 무용이 영상과 만나면서 더욱 보편적이고 강력한 표현 방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번 작품에서 메시지 전달을 하는 것에 어떤 차별성을 주었다고 보시나요?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함께 말씀해 주신다면요.
영상을 통해서 보여줄 때 좋았던 부분은 무엇보다 무용수를 더 가까이 보여줄 수 있어 감정 표현이 깊어졌고 연출을 통해 서사적 장면 구성이 가능했습니다. 장면 전환의 자유로움도 큰 장점이었죠. 하지만 아쉬운 점도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현장감이 부족하다는 점이에요. 땀, 호흡, 조명 아래에서의 에너지 같은 것들은 아무래도 영상으로는 다 담아내기 어려웠습니다. 조명의 각도로 극적임을 드러내는 것이 좋으면서도 그것이 실제인 것인가 과장 또는 축소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7회 노박스댄스필름페스티벌를 통해 국제적인 무용영화 담론에 동참하게 되셨습니다. 이번 작품을 기점으로 향후 탐구하고 싶은 무용영화 형식 주제나 방향성이 있으신가요?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안무 철학과 마찬가지로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의 이야기’를 담고 싶습니다. 사회적 모습은 한가지로 규명될 수 없고 각자 다르게 해석될 수 있겠지만 재조명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만들어내는 것이 제 철학입니다. 무용영화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작품에 대해 자유롭게 해석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편안한 예술을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추상적인 장면 연출보다는 많은 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예술로서의 가치를 지향하려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노박스댄스필름페스티벌에 참가하신 소감과 기사를 읽게 될 독자 및 관객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댄스필름을 통해 인사드릴 수 있어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공연장에서만 작품을 보여줄 줄 알았는데 영화관에서도 소개할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 작품 〈Gravity of Living〉은 결국 ‘나 자신의 이야기’였습니다. 다른 매체를 통한 작품을 준비하는 과정들은 낯설고 어려운 과정들이 많았지만, 그것이 필요한 어려움이었고 덕분에 더 진심 어린 작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저에겐 새로운 탄생인 아이와 같은 뜻깊고 보람찬 작품이었습니다. 작품을 관람해 주신 관객 여러분께서도 자신의 어려움에 대해 다시 한번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어려운 시간을 견디고 있는 지금의 자신에게 그리고 이미 지나온 시간을 이겨낸 자신에게 조용하지만 진심 어린 응원을 관객분들께 전하고 싶습니다.

윤희섭 안무가와의 이번 대화를 통해 〈Gravity of Living〉이 단순한 댄스필름을 넘어 동시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예술적으로 어떻게 담아내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 속 부부의 여정은 개인적 경험을 넘어 사회적, 보편적 이야기로 확장되며 무용수와 제작진이 함께 쌓아 올린 예술적 결실로 빛을 발한다. 무용이 영화라는 매체와 만나면서 얻는 섬세한 시선과 장면들은 무대 위에서 경험할 수 없는 새로운 감각을 관객에게 선사하며 동시에 춤의 언어가 국경과 언어를 넘어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 윤희섭 안무가의 작업이 어떤 방식으로 시대의 이야기를 담아낼지 기대된다. 이번 인터뷰가 독자들에게도 무용과 영화가 교차하는 예술적 현장을 더 생생하게 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노박스댄스필름페스티벌이 더 많은 예술가의 목소리와 도전을 담아내며 국제적 네트워크 속에서 의미 있는 자리를 확장해 나가길 기대한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 122-2 (2025.10.20.) Issue
Written by Han Seong-ju (Editor of Dance Post. Korea)
Photo provided by NBFF
The Weight of Life Transformed into Dance and Screen: An Interview with Choreographer Yoon Hee-seop of the 7th NBFF Award-Winning Work, 〈Gravity of Living〉
NBFF is a special occasion where dance and film converge. Under the motto "Recording Movement and Expanding Dance," the festival showcases diverse dance films, encouraging audiences to experience dance in new ways. Every year, the festival discovers new dance films and broadens the discourse on dance film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t the festival, the Korea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work, 〈Gravity of Living〉 (choreographed by Yoon Hee-seop, directed by Heo Jung-jae and Yoon Hee-seop), won the Best Performance Award. This magazine interviewed choreographer Yoon Hee-seop to learn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and his artistic vision as a choreographer.
〈Gravity of Living〉 won the Best Performance Award at the 7th NBFF. What does this award mean to you, choreographer?
This award holds many meanings for me. Most importantly, it represents a challenge in the field of dance film. Through this work, which involved the hard work of so many people, I believe I've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the field of dance film and discovered new possibilities. The profound effort of the dancers who moved for the narrative and the production team who captured those movements made the work even more powerful and ultimately led to its award. I hope it will remain a model for the art of dance film and exert a positive influence. I also hope that my work can provide even a small boost or impetus to other artists.
The judges praised the work, saying, "You captured a couple's journey with exceptionally powerful choreography, acting, and visuals." I'm curious about what specific strategies you employed when expressing the narrative through dance.
Through the character of the couple, I prioritized "capturing the lives of modern people we live." Through the couple in the piece, I wanted to illuminate the emotions men and women experience, as well as the issues they face in society and the home. Therefore, I aimed to create scenes that everyone could relate to. In the choreography, I utilized my often-used "single - relationship - crowd" structure. The strategy was to show how the same theme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aracters. Therefore, "Gravity of Living" generalized conditions like gender, environment, and the number of people to more realistically portray our everyday experiences.
You wanted to express the "weight of life" through "Gravity of Living." What do you think the "weight of living" is? I'm also curious about how that meaning is reflected in the piece.
I believe the "weight of life" is a challenge we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and overcome. Everyone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the resulting stress in life, but they can't be completely avoided. I believe that such difficulties provide the driving force behind a sense of accomplishment, fulfillment, and growth. I believe the unborn child of the character "Mi-young" in the piece embodies this very message. Carrying a heavy body is both a challenge and a reason to live.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themselves, I focused on who, how, and why we overcome them. Through this process, I aimed to project the autobiographical aspects of modern life.
In this work, which combines the two media of dance and video, can you elaborate on how choreographic movements are transformed by the camera, and what points are more effectively captured?
This work has made me more aware of the differences between performing arts and media art. Through the camera, I was able to convey the characters' emotions and narratives, which are difficult to express abstractly through dance alone, in a much more nuanced way. For example, the first scene, a bed scene in a house, was a series of small movements, but the camera captured them in detail, creating a dynamic effect. Furthermore, scenes at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 and in the bar allowed for a deeper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emotions, and scene transitions allowed for a different way of communicating than with performing arts. The process of monitoring and adjusting the production on-site also enriched the final result.
NBFF's slogan is "Recording movement, expanding dance." What new horizons do you think dance can open through the medium of film?
I believe that when dance meets film, it becomes more than just a series of movements, but a new power to convey a message emerges. Films may lack dialogue, but in that absence, gestures can have a power that surpasses language. I believe that the honest beauty and power of gestures can one day become more powerful than language. This can transcend national linguistic limitations and break down barrier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 believe that dance, when combined with video, can establish itself as a more universal and powerful form of expression.
What do you think differentiates the message conveyed in this work? Could you share bot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most appealing aspect of presenting the work through video was the ability to bring the dancers closer, deepen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 The direction also allowed for narrative composition. The freedom of scene transitions was also a major advantage. However, there were also some shortcomings. Most notably, the lack of realism. Things like sweat, breathing, and the energy under the lights were difficult to capture on video. While I appreciated the dramatic effect of the lighting angles, I also wondered if it was real or exaggerated or understated.
Through the 7th NBFF, you joined the international dance film discourse. Based on this work, are there any themes or directions you would like to explore in dance film formats?
Similar to my personal choreographic philosophy, I want to tell "stories of the times we live in today." Social aspects cannot be defined in a single way and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y each person, but my philosophy is to create positive impact through re-examination. Through dance films, I hope to create comfortable art that allows more people to freely interpret and discuss the work. Rather than focusing on abstract scenes, I aim to pursue universal artistic value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many.
Finally, please share your thoughts on participating in this year's NBFF and any message you would like to share with the readers and audience who will read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for the opportunity to share this work through dance films. I had thought my work would only be shown in theaters, but it was an honor to be able to present it in a cinema as well. "Gravity of Living" is ultimately "my own story." While the process of preparing a work through other mediums was unfamiliar and challenging, it was a necessary challenge, and thanks to it, I was able to create a more heartfelt work. For me, it was a meaningful and rewarding piece, like a new birth, a child. I hope that the audience who saw the work will als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own struggles. I would like to offer them quiet, yet heartfelt, encouragement, both for those who are enduring difficult times and for those who have already overcome them.
Through this conversation with choreographer Yoon Hee-seop, I was able to see how 〈Gravity of Living〉 artistically captures aspects that resonate with contemporaries beyond mere dance film. The couple's journey in the work extends beyond personal experience into a social and universal narrative, shining brightly as the artistic fruit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dancers and production team. The delicate perspectives and scenes that emerge when dance meets the medium of film offer audiences a new sense of connection unavailable on stage, demonstrating that the language of dance can communicate across borders and languages.
I look forward to seeing how choreographer Yoon Hee-seop's work will continue to capture the stories of our times. I hope this interview will provide readers with a more vivid glimpse into the artistic landscape where dance and film intersect. We also hope that NBFF will expand its meaningful role within the international network by encompassing the voices and challenges of more artists.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