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포커스

뉴딜 일자리와 공연예술분야(무용) 인력지원사업 - (사)한국무용협회와 관련하여


 

올해 무용계에 의미 있는 일이 있었다. 그동안 졸업 후 불투명한 미래로 고민하던 수많은 무용과 졸업생들에게 단비와 같은 뉴딜 일자리가 생겨난 것이다. 2020년 서울형 뉴딜 일자리 청년무용예술가 인턴사업은 코로나19와는 상관없다. 이미 지난해, 고인이 된 박원순 시장이 서울시 무용지원 요청에 대한 답으로 이를 발전시킨 것이다. 한국무용협회 조남규 이사장이 서울시에서 무용에 지원되는 부분이 너무 적다는 것을 강하게 어필하면서, 특히 인력지원을 받고 싶다고 했던 의견이 적극 반영되었다. 그 결과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과 예산보다 많은 액수를 지원받게 되었다. 이 사업에 관해 실질적으로 계획부터 실행까지의 작업을 해온 이성희 국장에게 다양한 얘기를 들어보았다.  

 

뉴딜 일자리와 달리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에서 진행하는 공연예술분야(무용)인력지원사업은 기본적으로 문체부 지원이 개개인보다 대관지원에 치우친 경향이 있어 당장 힘든 무용인들을 도와주는 직접 지원이 필요했다. 따라서 이 사업의 근간이 된 것이 뉴딜 일자리였고 이 형태를 문체부에서 적용한 사례이다. 초창기에는 문체부에서 왜 기관부담금(4대보험 사용자부담금)을 지원하냐는 의문도 제기했으나 이해를 통해 현재는 두 사업 모두 기관부담금을 지원받고 있다.  

 

차이점은 뉴딜 일자리는 생활형 임금지급이기에 시급제이며 ‘투잡(two job)’이 불가능하다. 또한 평균 8시간 근무로 주 40시간이 필수이다. 기관부담금을 포함해 246만 원 정도이며 4대 보험금을 제하면 실수령액은 190~200만 원 선이다. 청년지원사업인만큼 연령은 39세로 제한되어 있다. 이에 비해 인력지원사업은 월급제이며 평균 6시간 근무로 투잡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주 30시간이 필수이며 기관부담금을 포함해 실수령액은 180만 원 정도이다.   

 

두 사업에 대한 무용계 반응은 긍정적이다. 한국무용협회가 협회 회원이나 무용인들이 존재해야지만 공존하는 협회라는 점에서 생긴지 60년 이래 공정성과 투명성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무용인력 배출 1500명 수용이라는 꿈을 이루며 무용인들의 생계유지와 관련해 피부에 와닿는다는 평이다. 실제적으로 무용가들을 위한 큰 걸음이다. 앞으로의 전망은 뉴딜사업의 초창기 목표인 무용인을 살리고 무용단체를 살리자는 것이다. 또한 인력지원을 받아 민간단체에 파견해 퀄리티를 높이고, 서울시 25개와 전국문화단체에 상주단체를 입주시켜 국민들이 무용을 통해 예술향유를 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자 한다.  

 

무용협회 쪽에서 코로나 시대 대응은 다음과 같다. 감염병 공표 시기에 언택트와 디지털미디어 아트 도입시기가 빨라졌다. 무용 분야는 어떻게 가야 할지 접근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플랫폼, 시스템 쪽을 활용해 생방송 라이브 실황중계를 시작으로, 무용영상을 모은 플랫폼을 만들어서 유튜브 채널을 시작할 것이다. 이를 업로드해서 영상 플랫폼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VR, AR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것을 플랫폼화해서 확장하며 댄스 플랫폼 개편 예정으로 여러 기반을 만들고자 한다.  

 

뉴딜이나 인력지원과 같은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는 의견을 수렴해 무용 관련 정보는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얻도록 하고 있다. 무용 공연의 정보창이 되려고 대대적으로 노력 중이며 또한 선발된 단체나 개인에게 친절하게 안내해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미 온라인으로 사업설명회를 진행했고, 실시간 Q&A 인력이 뽑히면 온라인 매뉴얼을 진행할 예정이다. 협회는 전자결제시스템(협약서, 계약서)을 포함해서 이 시스템을 처음 도입해 타 분야보다 디지털라이징을 선도하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다. 

 

현재와 같은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된다면 무용계는 크게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극복을 위해 서울시 뉴딜 일자리와 문체부의 공연예술분야(무용) 인력지원사업이 단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성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글_ 장지원(무용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