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에 잠든 전통춤에 생기를 불어넣는 방안 제시
지난 8월 2일(금)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서울경기춤연구회(회장 윤종현) 주최로 열린 ‘2024 서울경기춤포럼: 서울춤, 명인 들여다보기’를 참관하였다. 서울경기춤연구회는 서울·경기권에서 파생·발전된 전통춤을 계승하기 위해 젊은 무용가들이 모여 결성한 신생 예술단체이다(sgdance.imweb.me). 작년에 단체 출범과 함께 대규모로 ‘서울경기춤페스타’를 개최하는 등 전통춤과 관련하여 축제, 공연, 연구,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개최하여 단시간에 주목받은 단체이다.
‘서울경기춤포럼’은 ‘서울경기춤페스타’의 연계 프로그램이다. 올해 포럼은 ‘서울춤, 명인 들여다보기’를 제목으로, 사회자 겸 모더레이터를 담당했던 무용인류학자 최해리 박사의 도움으로 기획되었다. 포럼의 내용은 한성준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한성준의 춤계보와 한성준의 서울춤 시대가 조망되었는데, 김미란 서울경기춤연구회 이사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2건의 발제, 지정토론 및 종합토론이 있었고, 윤종현 서울경기춤페스타 회장의 폐회사로 마무리되었다.
첫 번째 발제는 윤중강 공연평론가의 「한성준의 진실, 한성준에 대한 오류, 한성준을 향한 오마주: 한성준 탄생 150주년, 우리에게 주어진 미션은 무언가?」였다. 윤중강 선생은 한성준(본명: 한문필)의 이력을 중심으로 한성준이 활동했던 경성구파배우조합과 조선음악무용연구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한성준이 궁중무, 민속무 등을 바탕으로 재구성, 재창작했던 〈왕의 춤〉, 〈영의정 춤〉, 〈남무〉, 〈학무〉를 포함한 45가지 춤을 소개하였다. 특히 한성준 춤의 매력은 회화성과 연극성에 있다고 하며, 한성준 춤의 재현에서는 이 특성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악 기반의 공연평론가답게 윤중강 선생은 한성준의 음악성을 강조하며, 한성준 춤의 복원 및 재현에서 음악적 연구의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두 번째 발제는 「한성준과 그의 서울춤 시대: 190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초까지」였으며,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의 김경은 강사가 발표했다. 김경은 박사는 당대 신문자료에 기반을 두고, 극장과 작품을 중심으로 한성준이 서울에서 활동했던 시대를 살펴주었다. 김박사는 한성준이 서울에서 활동했던 시기에 존재했던 6개 극장(협률사, 원각사, 광무대, 단성사, 연흥사, 경성부민관)의 설립 배경, 소속 예인, 공연 내용을 설명하며, 당시 극장이 춤 작품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였으므로 지금의 기획사와 같은 역할을 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성준이 서울에 안착하게 된 계기를 원각사에서의 정기 공연, 관기 및 기생들을 위한 교육, 조선음악무용연구소의 개설과 공연활동이라고 보았다. 또한, 무용사 서적 및 논문 등을 통해 한성준의 작품을 73개가량 발견했다며, 작품들의 명칭과 주요 특징을 제시하였다. 특히 김경은 박사는 발제 말미에 한성준이 〈조선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발췌한 “우리의 예술은 오로지 우리들의 손으로 보존하고 유지하여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지금에 와서 깨달아도 결코 늦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를 인용하며, 한성준의 창작 정신과 오늘날 전통 춤꾼들의 사명감에 대해 강조하였다.
발제에 이어 권혜경 국립국악원 학예사, 김선정 무용역사기록학회 회장, 황윤지 서울경기춤연구회 부회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권혜경 토론자는 동일 공연에 대한 사료들의 정보 불일치와 전통춤의 재현과 복원에 있어서 재현자에 필요한 ‘태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김경은 박사는 재현자의 ‘태도’는 동시대성의 접근성에 대한 노력이라고 답했고, 사료의 불일치는 당사자의 구술인터뷰 내용으로 보강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윤중강 선생은 기억의 불완전성으로 구술인터뷰 또한 신뢰하기 어려우며, 당대 발행된 잡지 등 다양한 사료를 동원해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토론자인 김선정 회장은 전통춤의 시기 구분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였고, 근대 시기에 현대적인 ‘유통’ 개념이 타당한가에 대해 질의하였다. 윤중강 선생은 김회장이 제시한 1세대 한성준, 2세대 강선영, 한영숙, 3세대 이애주, 정재만 등 시기, 세대, 전형이 한꺼번에 파악될 수 있는 구분이 매우 효율적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이어 김경은 박사는 기존 전통춤의 전승과 답습에서 벗어나 상업적이고 개량적인 문화가 형성되었던 점을 강조하였으며, ‘기획’에 주안점을 둔 용어라고 답변하였다.
마지막 토론자였던 황윤지 부회장은 지난 6월 11일에 있었던 서울경기춤연구회의 정기공연 ‘묵은 조선의 새향기’(서울남산국악당)를 준비하며, 한성준 춤의 재현작업에 참여했던 경험을 공유했다. 그러면서 작품 제목 외에 기록물이 전무한 경우에 적절한 춤의 재현 및 복원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윤중강 선생은 춤과 연계된 음악을 먼저 복원하면 재현 및 복원의 틀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주었다. 김경은 박사는 기록물의 범위를 확장하여 근대시기의 영상자료에서 영감을 받아 볼 것을 권유하였다. 모더레이터 최해리 박사는 춤의 무형성과 유동성을 강조하며 현재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의 복원과 재현은 재현자의 상상일 수밖에 없지만, 근거 있는 상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당대의 역사, 사회, 문화 등 인문학적 배경을 총체적으로 연구해야 하며, 동시대에 공감 받을 수 있는 춤의 재현이 중요하다며 서울경기춤연구회 활동을 응원했다.
이번 포럼에서 필자는 한성준 연구에서 춤뿐만 아니라 시대적 배경, 주변 인물, 당대의 음악, 활동했던 극장과 단체 등 좀 더 확장된 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체감하였다. 특히 포럼에서 제시된 전통춤의 재현 및 복원의 타당성을 위한 대상과 방법 찾기 등은 전통 무용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전통춤의 재구성 및 재창작에 대한 작업과 방법론이 제시되는 포럼 및 공연이 점차 활성화되어 역사 속에 잠들어있는 전통춤들에 생기를 부여하는 플랫폼들이 많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글_오정은(전북대학교 무용학과 강사)
사진제공_ 서울경기춤포럼 ⓒ옥상훈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2024 Seoul Gyeonggi Dance Forum: Seoul Dance, Looking into the Masters’ held to commemorate the 150th anniversary of Han Seong-jun’s birth
A plan to breathe life into traditional dances that have been dormant in history
On Friday, August 2, I attended the ‘2024 Seoul Gyeonggi Dance Forum: Seoul Dance, Looking into the Masters’ hosted by the Seoul Gyeonggi Dance Research Association (Chairman Yoon Jong-hyun) at the Seoul Donhwamun Traditional Theater. The Seoul Gyeonggi Dance Research Association is a new art group formed by young dancers to inherit traditional dances that originated and developed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sgdance.imweb.me). Since its launch last year, the group has held a large-scale ‘Seoul Gyeonggi Dance Festa’ and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holding various projects related to traditional dance in the fields of festivals, performances, research, and education.
‘Seoul Gyeonggi Dance Forum’ is a linked program of ‘Seoul Gyeonggi Dance Festa’. This year’s forum was planned with the help of dance anthropologist Dr. Hae-ri Choi, who served as the moderator and host, under the title “Seoul Dance, Looking into the Masters.” The content of the forum commemorated the 150th anniversary of Han Seong-jun’s birth and looked into Han Seong-jun’s dance genealogy and Han Seong-jun’s era of Seoul dance. It began with an opening speech by Kim Mi-ran, the director of the Seoul-Gyeonggi Dance Research Association, followed by two presentations, designated discussions, and a general discussion, and concluded with a closing speech by Yoon Jong-hyun, the president of the Seoul-Gyeonggi Dance Festival.
The first presentation was 「The Truth About Han Seong-jun, Errors About Han Seong-jun, Homage to Han Seong-jun: 150th Anniversary of Han Seong-jun’s Birth, What Mission Is Given to Us?」 by performance critic Yoon Joong-gang. Professor Yoon Joong-gang introduced 45 dances, including 〈King’s Dance〉, 〈Yeonguijeong Dance〉, 〈Nammu〉 and 〈Hakmu〉 which Han Seong-jun reconstructed and recreated based on court dance and folk dance,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the Gyeongseong-gu Pa Actors’ Association and the Joseon Music and Dance Research Center, focusing on the career of Han Seong-jun (real name: Han Mun-pil). In particular, he said that the charm of Han Seong-jun’s dance lies in its pictoriality and theatricality, and he emphasiz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utilized in the reproduction of Han Seong-jun’s dance. In addition, as a performance critic ba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Professor Yoon Joong-gang emphasized Han Seong-jun’s musicality and expressed the need for musical research in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Han Seong-jun’s dance.
The second presentation was 「Han Seong-jun and his Seoul Dance Era: From the Early 1900s to the Early 1940s」 presented by Professor Kim Kyung-eun of the Arts Education Center at Seogyeong University. Dr. Kim Kyung-eun examined the period when Han Seong-jun was active in Seoul, focusing on theaters and works, based on contemporary newspaper articles. Dr. Kim explained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ffiliated entertainers, and performance content of six theaters (Hyeopryulsa, Wonkaksa, Gwangmudae, Danseongsa, Yeonheungsa, and Gyeongseongbumin-gwan) that existed during the period when Han Seong-jun was active in Seoul, and argued that the theaters at the time we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ance works, and thus played a role similar to today’s planning agencies. He also saw the regular performances at Wonkaksa, education for gisaeng and kisaeng, and the establishment and performances of the Joseon Music and Dance Research Institute as the reasons for Han Seong-jun’s settling in Seoul. He also discovered around 73 of Han Seong-jun’s works through dance history books and papers, and presented the name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particular, Dr. Kim Kyung-eun quoted an excerpt from an interview with Han Seong-jun with the Chosun Ilbo, “I think it is never too late to realize that our art must be preserved and maintained solely by our own hands,” and emphasized Han Seong-jun’s creative spirit and the sense of mission of today’s traditional dancers.
Following the presentation, a discussion was held between Kwon Hye-gyeong, curator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Kim Seon-jeong, president of the Society for the Recording of Dance History, and Hwang Yoon-ji, vice president of the Seoul-Gyeonggi Dance Research Association. Discussant Kwon Hye-gyeong asked about the inconsistencies in information in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same performance and what the “attitude” is that is necessary for a performer to reproduce and restore traditional dance. Dr. Kim Kyung-eun answered that the “attitude” of a performer is an effort to make contemporary dance accessible, and that inconsistencies in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 of oral interviews with the parties involved. However, Professor Yoon Jung-gang added that oral interviews are also difficult to trust due to the imperfection of memory, and that a re-examination is necessary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magazines published at the time.
The second discussant, President Kim Seon-jeong, expressed the difficulty of dividing the period of traditional dance and questioned whether the modern concept of ‘distribution’ was valid in the modern era. Professor Yoon Jung-gang responded that the division presented by President Kim, such as the 1st generation Han Seong-jun, the 2nd generation Kang Seon-yeong and Han Yeong-suk, and the 3rd generation Lee Ae-ju and Jeong Jae-man, seemed very efficient in that the period, generation, and typical type could be identified at once. Dr. Kim Kyung-eun then emphasized that a commercial and reformist culture was formed, breaking away from the transmission and imitation of existing traditional dance, and responded that it was a term that focused on ‘planning.’
The last panelist, Vice President Hwang Yoon-ji, shared her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reenactment of Han Seong-jun’s dance while preparing for the Seoul Gyeonggi Dance Research Association’s regular performance “Old Joseon’s New Fragrance” (Seoul Namsan Gugakdang) on June 11. She then asked a question about the appropriate method of reenacting and restoring a dance when there are no records other than the title of the work. Professor Yoon Joong-gang suggested that restoring the music associated with the dance first would establish the framework for reenacting and restoring it. Dr. Kim Kyung-eun recommended expanding the scope of records and taking inspiration from video footage from the modern era. Moderator Dr. Choi Hae-ri emphasized the intangibility and fluidity of dance and suggested that the restoration and reenactment of traditions in the present can only be the imagination of the reenacter, but a well-grounded imagination is needed. To this end, the humanities background such as th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of the time must be comprehensively studied, and it is important to reenact dances that can be resonated with the contemporary era, supporting the activities of the Seoul Gyeonggi Dance Research Association.
In this forum, I felt that Han Seong-jun's research needs to expand its perspective beyond dance to include the historical background, people around him, music of the time, and theaters and groups he was active in. In particular, I think that the search for subjects and methods for the validity of reproducing and restoring traditional dances presented at the forum has great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dancers. I hope that forums and performances that present methods and work on reconstructing and recreating traditional dances will become more active, and that many platforms will be established to breathe life into traditional dances that have been dormant in history.
Written by Oh Jeong-eun (Lecturer, Department of Danc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Photo provided by Seoul Gyeonggi Dance Forum ⓒ Ok Sang-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