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포커스

이지은의 풍류탐험: 웰컴 투 천탈살롱 “산좋고 물좋고 어절씨구 좋다”

포커스

Vol.118-1 (2025.6.5.) 발행


글·사진_ 이지은(법률사무소 리버티 변호사-한국/뉴욕주)



내가 천하제일탈공작소(이하 천탈)를 처음 알게 된 것은2022년 우연히 지인에게 초대받은 ‘추는 사람, 남산’ 공연을 통해서였다. 하회별신굿의 이매가 래퍼가수 ‘MC이노마야’로, 양주별산대놀이의 취발이가 탈춤 트레이너로 등장했고, 로봇춤을 추는 목중과 앵커 말뚝이, 통영오광대춤의 문둥이를 “일하는둥 마는둥”이란 캐릭터, 봉산탈춤의 취발이인 ‘인싸BABI’, 강령탈춤의 미얄할미는 자기주도적 삶을 사는 ‘할미욘세’로 전통적 탈춤을 동시대적 취향으로 재해석한 창작극이었다. 나는 공연의 여운이 너무 좋았고 천탈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검색을 해보았더니 유튜브 채널이 있었다. 전통을 지키면서 현대적 변용을 통해 창작활동을 꾸준히 활동해온 천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내가 천탈과 인연을 재확인한 것은 2024년 정월대보름의 절기 행사에서였다. 나는 당시 절기마다 한옥을 빌려 절기 음식을 나누고 공연을 보면서 풍류 체험을 하는 열두달에피소드라는 프로젝트에 간간히 참여하곤 했다. 그런데 오락가락 가랑비가 내리는 한옥 마당에서 천탈의 허창열 감독님의 탈춤 공연과 함께 탈춤의 기본 용어와 지식을 배워보고, 마지막에 모두 탈춤을 같이 추는 시간을 가졌다. 그 후 천탈이 운영하는 〈마실가듯, 탈춤〉 단체 톡방에 들어가 양화대교 쪽에서 매월 하는 탈춤 워크숍을 가리라 생각했다가 주말의 게으른 몸을 이기질 못해 한 번도 못 갔다. 그러다 올해 4월부터 매달 마지막 주 화요일에 천탈살롱 창립과 공연 소식을 듣게 된 것이고 드디어 다시 천탈을 만나게 되었다.


문래동에 있는 천탈살롱 스튜디오를 찾아가는 것은 다소 어려웠다. 본래 공업단지였던 문래가 예술가들의 유입으로 그 독특한 색깔을 가지게 된 이래 가끔 갤러리 오프닝이나, 작업실 방문, 공연을 보러 오갔기 때문에 낯선 동네는 아니었음에도, 문래지구대 바로 뒷골목의 빌딩을 찾다가 헤맸고, 어두운 계단을 올라 3층에 있는 스튜디오를 찾아가는 것도 다소 하드캐리한 경험이었지만 드디어 “짠” 하고 나타난 천탈스튜디오의 온기는 두려움을 녹여주었다.


4월 공연은 봉산탈춤의 먹중춤(이정동), 통영오광대의 문둥북춤(장해솔), 고성오광대 말뚝이춤(손병호), 고성오광대 문둥북춤(박희수), 고성오광대 덧배기춤(허창열), 연주는 황민왕, 김성현, 이민후, 김희수, 경의찬이 맡아주셨다.



국가무형유산 제17호로 지정된 봉산탈춤은 황해도 봉산군에 전승되던 탈춤으로, 19세기 말 이래로 해서(海西) 탈춤의 대표적인 놀이인데, 이 공연에서는 버드나무가지를 든 목중이 시원한 동작으로 한삼을 날리면서 춤을 추는 것이 흥겨웠고 파계승으로 묘사되는 목중이 귀신을 쫓아내는 벽사를 하는 것이 너무 재미있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탈춤에는 문둥이가 자주 등장하는데 문둥이는 환자임에도 사회적으로 배척받는 소수자였는데, 탈춤에서는 이들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사회에 포용하고자 한 의미가 있지 않았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4월 공연에서는 통영오광대(국가무형유산6호)의 문둥북춤과 고성오광대(국가무형유산 제7호)의 문둥북춤을 선보였는데, 각기 다른 문둥춤을 보는 것이 신기했다. 동그란 뻥튀기 빵 같은 모양의 탈을 쓴 통영오광대와 어두운색의 길쭉한 얼굴을 한 고성오광대의 탈 모양의 차이부터 문둥이의 애환을 표현하면서 손가락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소고채를 잘 잡기도 어려운 모습과 전염성이 큰 나병환자로 손가락질 받고 공포와 배척이 된 그들의 한을 애절히 그린 것이 인상적이었다.




고성오광대의 말뚝이 춤은 천지인을 형상화했다는 춤사위로 활기가 넘치고 평민을 멸시하고 괴롭히는 양반을 혼내주는 말뚝이답게 호방한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허창열 감독의 고성오광대 덧배기춤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던 휠체어 덧배기춤이었다. 연이은 연골 혹사로 인해 최근 무릎수술을 받았다는 허창열 감독은 혼자 병실에서 휠체어를 타고 연습하면서 이렇게 열정을 또 불사른 것이었다. 덧배기춤은 덧배기란 경상도식 자진모리장단의 이름을 딴 것으로 마당에서 추는 특별한 순서나 격식 없이 추는 활달한 춤을 ‘허튼춤’ 또는 ‘덧배기춤’이라고 한다. 덧배기춤의 의미나 해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꽉 배긴다’, ‘힘차게 배긴다’. 또는 덧난 것, 잘못된 것, 부정한 것을 베어버린다는 뜻도 가지고 있고 영남 지역에서 탈을 물리치고 잘못된 탈이라는 뜻의 덧을 베어버리기 위하여 신명을 다하여 추는 기본 춤이라고 한다. 나는 휠체어 덧배기춤 공연을 통해 덧배기춤의 문언적 의미에 맞게 부상으로 인한 덧을 베어버릴 수 있기를 바랐다. 그리고 공연을 마치고 탈을 벗고 만난 젊은 춤꾼들과 악사들의 진정성과 순수한 모습을 볼 수 있어서 관객과의 대화시간도 좋았다.



나는 4월의 천탈살롱 공연이 너무 좋았음에도 실연자보다 관객의 수가 적었다는 사실에 너무 속이 상했었다. 그래서 다시 5월 천탈살롱을 찾게 되었다. 5월 공연는 양주별산대놀이 연잎춤(김지훈), 은율탈춤 목중춤(최민우), 강령탈춤 미얄할매(박인선), 하회별신굿탈놀이 이매마당(이주원), 고성오광대 덧배기춤(허창열), 연주에는 황민왕, 김성현, 이민후, 김희수, 경의찬이 준비해주었다.



양주별산대놀이(국가무형유산 제2호)의 연잎춤은 도가 높은 고승인 연잎이 등장하는 춤으로 이 땅의 평화를 위해 추는 것이다.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가 했더니 연잎의 눈살에 생명체가 비치면 모두 죽기 때문에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오는 것이었다. 연잎은 사방을 돌며 탈판의 잡귀 침범을 막아주는 벽사의 의미를 가진다고 한다. 4월 공연의 먹중춤도 벽사의 의미로 일단 시작했는데, 5월 역시 벽사의 춤으로 시작하는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다음 은율탈춤(국가무형유산 제61호)의 목중춤은 본래8명의 목중들이 등장하여 순서대로 불림하며 군무(群舞)를 추고 퇴장하는 형식인데, 독무로 선보인 것이다. 황해도 지방의 탈춤으로 젊은 파계승인 목중이 취해 나와 춤자랑을 하는 것인데 고깔을 쓰고 점프를 하듯이 한삼을 휘두르는 역동적 춤사위가 인상적이었다. 현대적으로 8목중춤을 변용을 해본다면 목중들이 댄스 배틀을 벌이는 형식도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도 잠깐 해보았다.



탈춤은 대체로 승려들의 이야기와 양반 및 천민의 관계, 그리고 처첩의 가정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미얄(할미)은 탈춤의 후반부 가정 이야기에 주역으로 등장하는 늙은 조강지처의 이름이다. 강령탈춤의 미얄할미 역시 한이 많은 할미로 가정폭력과 주색잡기를 일삼다 가출한 남편을 찾아 전국을 떠돈 인물인데 이번 공연에서는 늙은 조강지처의 한을 재담과 익살로 승화시킨 것이 너무 재미있었다. 관객 중 여생을 보낼 파트너 한 분을 택했는데 여성 동반자를 택하는 바람에 웃음보를 터뜨리게 했다.



하회별신굿의 이매는 탈의 특성상 턱이 없고 절름발이로 어리석고 바보스러운 하인상으로 그려지는데, 미완성과 부족으로 완결과 완벽을 지향하는 사대부의 허점과 약점을 드러내는 우회적 표현이라고 한다. 이주원 춤꾼이 추는 이매가 뭔가 좀 부족하고, 느릿하면서 어눌하면서 한이 많아 보이는 이매를 잘 표현해 주었던 것 같다. 춤꾼 이주원은 한 인터뷰에서 탈춤의 정신에 대해 탈난 것을 들추고, 높은 것은 내리고 낮은 것은 올려 높낮이를 맞추는 것이라 했다. 이매를 재해석해 본다면 약삭빠른 초랭이보다 오히려 각성하면 발전할 여지가 많은 캐릭터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 공연은 4월에 선보였던 고성오광대의 덧배기춤으로 허창열 춤꾼이 보다 날렵해진 동작으로 휠체어를 타고 유려한 춤선을 선보였다. 소수의 관람객들과 함께하는 천탈살롱은 악사들의 음악과 멋진 춤사위를 바로 가까이에서 현장감 있게 볼 수 있는 멋진 기회였다. 나는 앞으로도 시간이 되면 천탈살롱에서 탈춤에 대해 좀 더 배우고 느껴보려고 한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8-1 (2025.6.5.) Published


Written and Photo by Lee Ji-eun (Liberty Law Firm Attorney-Korea/New York)



Lee Ji-eun's Exploration of the Wind: Welcome to Cheontal Salon "The mountains are great, the water is great, and the food is great"


 

Lee Ji-eun's Exploration of the Wind: Welcome to Cheontal Salon "The mountains are great, the water is great, and the food is great"


I first learned about Cheonhajeiltal Worksh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eontal) in 2022 when I was invited by an acquaintance to the 'Chui-neun-saram, Namsan' performance. Hahoe Byeolsingut’s Imae appeared as a rapper singer ‘MC Inomaya’, Yangju Byeolsandaenori’s Chwibari appeared as a mask dance trainer, Mokjung and anchor Malttugi who dance robot dance, Mungdungi from Tongyeong Ogwangdae Dance as a character called “Ilhaneundung Ma-neundung”, Bongsan Talchum’s Chwibari as ‘Inssa BABI’, and Gangnyeong Talchum’s Miyal Halmi as ‘Halmiyonse’ who lives a self-directed life. It was a creative play that reinterpreted traditional mask dance with contemporary tastes. I really enjoyed the aftertaste of the performance and became curious about Cheontal, so I searched and found a YouTube channel. I was able to ge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Cheontal, who has been consistently active in creative activities through modern transformation while preserving tradition.


I reaffirmed my connection with Cheontal at the seasonal event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in 2024. At that time, I occasionally participated in a project called the Twelve Months Episode, where we rented a hanok for each season, shared seasonal food, and watched performances to experience the pleasure of the season. Then, in the hanok yard where it was drizzling intermittently, I learned the basic terminology and knowledge of talchum with a talchum performance by director Heo Chang-yeol of Cheontal, and at the end, we all danced talchum together. After that, I joined the group chatroom of 〈Drinking, Talchum〉 run by Cheontal and thought about going to the monthly talchum workshop held near Yanghwa Bridge, but I couldn’t overcome my lazy body on the weekends and never went. Then, starting in April of this year, I heard news of the establishment of Cheontal Salon and the performances on the last Tuesday of every month, and finally, I met Cheontal again.


It was somewhat difficult to get to the Cheontal Salon studio in Munrae-dong. Originally an industrial complex, Munrae gained its own unique color with the influx of artists, so I occasionally visited gallery openings, studios, and performances, so it wasn’t an unfamiliar neighborhood, but I had a hard time finding the building in the alley right behind Munrae Police Station, and climbing the dark stairs to find the studio on the third floor was a somewhat hard-carrying experience, but the warmth of Cheontal Studio, which finally appeared “tta”, melted away my fears.


The April performances were Bongsan Talchum’s Meokjung Dance (Lee Jeong-dong), Tongyeong Ogwangdae’s Mungdungbuk Dance (Jang Hae-sol), Goseong Ogwangdae’s Malttugi Dance (Son Byeong-ho), Goseong Ogwangdae’s Mungdungbuk Dance (Park Hee-soo), and Goseong Ogwangdae’s Deotbaegi Dance (Heo Chang-yeol). The performances were by Hwang Min-wang, Kim Seong-hyeon, Lee Min-hu, Kim Hee-soo, and Gyeong Ui-chan.


Bongsan Talchum,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7, is a mask da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Bongsan County, Hwanghae Province, and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y of Haeseo (海西) mask dance since the late 19th century. In this performance, the mokjung holding a willow branch and dancing while swinging a hansam with refreshing movements was exciting, and I thought it was really fun to see the mokjung, who is depicted as a monk who has broken his precepts, exorcising ghosts.


Leprosy often appears in mask dances, and although leprosy is a socially ostracized minority, I thought that there must have been a meaning in mask dances to include them as the main characters in society. In the April performance, the Tongyeong Ogwangda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6) and the Goseong Ogwangda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7) performed the Mungdung Bukchum, and it was interesting to see the different Mungdung dances.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masks of Tongyeong O-gwangdae, which are shaped like round puffed bread, and Goseong O-gwangdae, which have long, dark faces, was impressive, starting with the expression of the sorrows of leprosy, with the fingers not functioning properly, making it difficult to hold the stick, and the sorrow of those who were pointed at and ostracized as highly contagious lepers.


The Malttugi dance of Goseong O-gwangdae was full of energy with dance movements that symbolized heaven, earth, and man, and you could feel the bold spirit of Malttugi, who scolds the nobles who despise and harass the common people.


Lastly, Director Heo Chang-yeol's Goseong O-gwangdae's Dotbaegi dance was a wheelchair dotbaegi dance that you couldn't see anywhere else. Director Heo Chang-yeol, who recently had knee surgery due to repeated overwork on his cartilage, practiced alone in a wheelchair in his hospital room, showing off his passion again. Deotbaegi dance is named after the Gyeongsang-do style jajinmori jangdan called Deotbaegi. It is a lively dance performed in the yard without any special order or formality, called ‘Heotun dance’ or ‘Deotbaegi dance.’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Deotbaegi dance are various, such as ‘to be tightly packed’ or ‘to be strongly packed.’ It also means to cut off something that is too much, wrong, or unclean. It is said to be a basic dance performed with all one’s heart to defeat the mask and cut off the mask, which means a wrong mask in the Yeongnam region. I hoped that I could cut off the mask caused by injury through the wheelchair Deotbaegi dance performance, in line with the literal meaning of Deotbaegi dance. And I also enjoyed the time spent talking with the audience because I could see the sincerity and purity of the young dancers and musicians I met after the performance and taking off their masks.


I was so upset that there were fewer audience members than performers at the Cheontal Salon performance in April, even though I really enjoyed it. So I went back to the May Cheontal Salon. The May performances were the Yangju Byeolsandae Nori Lotus Dance (Kim Ji-hoon), the Eunyul Tal Dance Mokjung Dance (Choi Min-woo), the Gangnyeong Tal Dance Miyal Halmae (Park In-sun), the Hahoe Byeolsingut Tal Dance Imaemadang (Lee Ju-won), and the Goseong O-gwangdae Deotbaegi Dance (Heo Chang-yeol). The performances were prepared by Hwang Min-wang, Kim Seong-hyeon, Lee Min-hu, Kim Hee-soo, and Gyeong Ui-chan.


The Lotus Dance of the Yangju Byeolsandae Nori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 is a dance featuring the high-ranking monk Yeonip, and is performed for peace in this land. I wondered why he covered his face with a fan, and it turned out that if any living thing was caught in the lotus leaf’s brow, it would die. The lotus leaf is said to have the meaning of a wall that circulates in all directions and prevents evil spirits from invading the stage. The April performance of the Mokjung dance also started with the meaning of a burial, and I thought that May also started with a burial dance.


The Mokjung dance of the following Eunyul Talchum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61) was originally a form in which eight Mokjungs appeared, were called in order, danced a group dance, and then left, but it was performed as a solo dance. It is a mask dance from the Hwanghae Province where a young monk who has broken his precepts comes out and shows off his dance moves. The dynamic dance movements of wearing a hood and swinging a hansam as if jumping were impressive. I also briefly thought that it would be fun to transform the 8 Mokjung dance into a modern form in which the Mokjungs engage in a dance battle.


Malchum is generally composed of stories about monk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bles and the commoners, and stories about the family of a wife and concubine. Miyal (Halmi) is the name of an old wife who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latter part of the mask dance. Miyal Halmi of Gangnyeong Talchum is also a woman with a lot of resentment who wanders around the country in search of her husband who ran away from home after committing domestic violence and prostitution. In this performance, it was so funny how the old wife’s resentment was sublimated into wit and humor. She chose one of the audience members to spend the rest of her life with, and it was a female companion that made everyone burst into laughter.


The Imae of Hahoe Byeolsingut is depicted as a foolish and idiotic servant with no chin and a limp due to the nature of the mask. It is said that this is a roundabout way of expressing the weaknesses and vulnerabilities of the noble class who pursue completion and perfection through incompleteness and insufficiencies. The Imae performed by dancer Lee Ju-won seems to have expressed Imae well, who seems somewhat lacking, slow, awkward, and resentful. In an interview, dancer Lee Ju-won said that the spirit of the mask dance is to bring out the hidden things, lower the high and raise the low, and adjust the high and low. If we reinterpret this character, I think he is a character with a lot of room for development if he awakens, rather than a quick-witted Cho-rang-i.


The last performance was the Goseong O-gwangdae's Ddeobaegi Dance that was performed in April, and dancer Heo Chang-yeol showed off his graceful dance lines while riding a wheelchair with more agile movements. The Cheontal Salon with a small audience was a great opportunity to see the musicians' music and wonderful dance moves up close and in a realistic way. I will continue to learn more about and experience mask dance at the Cheontal Salon when I have tim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