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포커스

댄스포스트코리아 ABC4Dance (2) 인간의 춤이란 무엇인가

포커스

Vol.118-1 (2025.6.5.) 발행


글_ 최미연(한국춤서사연구소 소장)

사진_ 댄스포스트코리아 편집실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5월 2일부터 금요일마다 신촌생활문화센터에서 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민족미학연구소의 소장인 민족미학의 권위자 채희완 선생님을 모시고 ABC4Dance(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라는 명칭으로 세미나를 가지고 있다. ABC4Dance 세미나는 9월-12월까지 장기간에 걸쳐 총 3부로 계획되어 있으며, 현재 첫 시작인 1부는 ‘미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춤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삼아 진행되고 있다. 이번 글은 5월 23일과 30일에 진행된 3, 4회차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3, 4회차 수업의 주요한 주제는 집약하면 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이다. 채희완 선생님은 인간이 춤을 추는 이유에 대해서 ‘살아있음’에 춤을 춘다고 말하였다. 인간은 춤을 추기에 살아있으며, 사람이 살아있다는 것은 춤추고 있다는 것이다. 1930년대 한국춤의 대가(大家)인 한성준 선생은 “인간의 움직임은 장단만 있으면 다 춤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고 한다. 채희완 선생님은 이 발언은 춤에 대한 가장 현대적인 표현이며, 이 말씀이 절실하게 다가온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고 한다. 춤은 일상생활 가운데에서도 살아있다는 것을 증빙하는 독특한 측면이 있으며, 학문적으로 명칭을 짓는다면 ‘생명론적 춤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의 움직임은 어디서 출발하는가의 질문은 무엇이 나를 살게 하고 못살게 하는가와 같은 이야기이다. 이것은 살아있는 동식물이라면 삼라만상이 가지고 있는 공동의 문제이자 21세기 중반기에 동서양 인류의 핵심적 과제인 ‘생명’과 ‘평화’이다. 


한국춤은 살아 있음에 반대되는 것, 죽음과 같이 춤을 추지 못하게 하는 세력과 함께 춤을 추는 것이기에 가장 강력한 춤이다. 한국춤은 일상화된 살(殺), 죽음, 병고, 재난, 환란, 재앙, 억압 등 사람을 못살게 구는 것에 대한 대결 의식으로서의 살풀이라고 할 수 있다. 살풀이는 춤의 가장 일상적이고 핵심적이고 위대한 목적이자 지향적 주제가 명확한 춤이다. 우리 민족은 춤으로든 손수건으로든 자신의 살을 풀어내는 춤을 추었는데, 오늘날 살풀이춤은 진정한 의미를 잃고 기방에서 개발된 정중동(靜中動)의 여인의 한(恨)의 춤으로 좁혀지게 되었다. 


우리 민족은 굿은 굿적 상징으로, 풍물은 풍물적 상징으로, 탈춤은 탈춤적 상징으로 살풀이를 하고 있다. 농경시대에서는 해마다 있는 자연과의 갈등, 신과의 갈등을 세시풍속으로 풀어냈는데, 석전(石戰)놀이, 줄다리기 등 모의쟁투라고 하는 싸움판을 벌였다. 이러한 민속에서의 벽사진경은 사악한 것을 부숴버리고 밝은 데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어두운 국면을 새로운 상태로 균형을 잡아가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병신춤은 병신이 아닌 자가 병신의 흉내를 내서 몸을 비틀어서 추는 것으로, 그것은 비극적이고, 슬프고, 원한에 맺힌 것이어야 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병신춤은 병신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지독한 자기 학대와 폭로의 춤이면서도, 한편으로 비정상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기본적인 노선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화쟁(和諍)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채희완 선생님은 춤을 추는 것은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였다. 춤의 효능은 예술을 통한 자기 표현 외에도 생명의 기본이며, 춤의 쓰임새는 17-18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 춤꾼들은 춤의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주제를 잡아서 춤을 되살려주는 임무를 해주어야 한다. 한편 춤은 리듬을 타는 활동으로 생산력과 노동의 가치를 회복시키는 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리듬을 타면서 일하고 사는 것이 어쩌면은 삶의 일부분이 아니라 보다 궁극적인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현대에는 과거에 지향하던 예술적인 춤과 그렇지 못한 춤과의 구분이 사라지고 있다. 20세기 후반에는 예술의 종말이라고 할 정도로 과거에는 예술이라 여겨지지 않았던 부분들도 미적 관점에서 바라봐서 생겨나는 미감들까지 모두 예술이고 미학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현대에는 예술 작품의 복제품들이 마구 쏟아지고 일반인들도 예술 작품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예술창작의 민주화를 만들어냈다. 이에 따라 모방 등 예전에 형편없이 값이 매겨지던 개념도 예술로 여겨지게 되었다. 시간에 따라서 또한 사람마다 각각의 시각에 따라서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늘에 있는 구름을 본다면 기상학자는 기상학의 관점에서 화가는 화가의 관점에서 보게 된다. 따라서 현대에는 미학적 관점과 인식론적 관점의 구분이 무너지게 되었고, 총괄적인 시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춤은 호흡을 중요시하는데, 문화적으로 죽음을 말하는 데 있어서도 호흡과 연관 짓는 특성이 있다. 의사들이 인간의 죽음을 의학적으로 결정내릴 때 서양의 경우는 심장의 멈춤을 죽음이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 민족은 숨쉬기를 멈추다, “숨을 거두다, 호흡을 거두다”라고 표현한다. 그렇다면 한국춤에 있어서 숨을 잘 쉰다는 것은 무엇인가? 채희완 선생님은 춤의 호흡에 대하여 춤과 장단의 기초이자 원초적인 것은 단전호흡(丹田呼吸)이라고 보지만 그것에 몰두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하셨다. 한국에서 춤추는 사람들은 중단전(中丹田)에서 춤이 시작된다고 보는데, 원천적인 것은 회음혈(會陰穴)에서 이루어지는 호흡이다. 지금 남아 있는지 확실치 않지만 한민족의 선도(仙道)사상에 깊게 남아 있는 몸의 훈련법이나 기(氣) 훈련도 참고로 삼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경주 지역의 저명한 학자이신 윤경렬(尹京烈) 선생에 따르면 우리 민족의 음악은 3박자의 특징을 가진다고 말씀하셨다고 한다. 채희완 선생님은 이에 적극 동의하면서 구음으로 직접 자진모리 장단과 굿거리 장단의 “덩덩따쿵따 덩따쿵따덩따쿵따”를 활기차게 외치며 우리 민족의 장단이 한 박에 3분박 짜리 4개가 있는 것임을 설명하셨다. 우리 음악은 ‘삼재양의(三才兩儀)’ 즉 3박으로 나누어지지만 2박의 음양(陰陽) 구조로 나누어진다고 한다. 또한 채희완 선생님은 인간의 몸은 세계적으로 같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풍물 가락이 인간이라는 공통적인 리듬을 토대로 전 세계 민족의 가락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말씀도 덧붙였다.



오늘 정리한 내용은 채희완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바를 거의 그대로 어투를 살리며 요약하였다. 왜냐하면 나의 말을 덧붙이는 것이 전달을 방해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모든 말씀이 감동과 울림이 컸기 때문이다. 나는 어린 시절에 한국춤을 배운 적이 있으나 대학은 국문과에 진학하였고, 동아리에서 탈춤을 배운 후 뒤늦게 본격적으로 한국무용을 배워 무용수로 무대에 선 바 있다. 이후 무용이론으로 방향을 바꾸어 한양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고 무용인류학을 주전공으로 연구하고 강의를 하였다. 큰 무대는 아니지만 여전히 한국춤을 추고 있으며, 한국춤과 무용가들을 사랑하고 대중화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마음속의 열정은 여전하다. 채희완 선생님을 아주 오래 전부터 뵈었고 글도 보아왔는데, 이번에 채희완 선생님께 귀중한 수업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기쁘고 감사드린다. 앞으로도 건강한 모습으로 좋은 말씀을 많이 전해주시길 기대한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by Choi Mi-yeon (Director of the Korean Dance Narrative Research Institute)

Photos by Dance Post. Korea


Dance Post Korea ABC4Dance (2) What is human dance?


Dance Post Korea will hold a seminar titled ABC4Dance (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 every Friday from May 2, 2025 at the Sinchon Living Culture Center with Professor Chae Hee-wan, an authority on ethnic aesthetics who is an honorary professor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the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Ethnic Aesthetics. The ABC4Dance seminar is planned to be held in three parts over a long period from September to December, and the first part, currently underway, is titled ‘What is dance as a subject of aesthetics research?’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3rd and 4th sessions held on May 23 and 30.


First, the main topic of the 3rd and 4th sessions is, in a nutshell, what is dance?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humans dance because they are ‘alive.’ Humans are alive because they dance, and being alive means dancing. Han Seong-jun, a master of Korean dance in the 1930s, is said to have said, “Any human movement can become a dance if there is a rhythm.”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this statement is the most modern expression of dance, and that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is statement came to mind. Dance has a unique aspect that proves that we are alive even in our daily lives, and if we were to give it an academic name, we could say that it is ‘vital dance.’ The question of where human movement comes from is the same as asking what makes me alive and what makes me not alive. This is a common problem for all living animals and plants, and it is ‘life’ and ‘peace,’ which are the core tasks of Eastern and Western humanity in the mid-21st century. Korean dance is the most powerful dance because it dances with the opposite of life, the force that prevents us from dancing, like death. Korean dance can be said to be a salpuri as a ritual of confrontation against the everyday things that make people miserable, such as killing, death, illness, disaster, turmoil, calamity, and oppression. Salpuri is the most everyday, core, and great purpose of dance and a clear directional theme. Our people danced a dance to release their own flesh, whether through dance or with a handkerchief, but today, salpuri dance has lost its true meaning and has become narrowed down to a dance of women’s resentment developed in a kisaeng house, a dance of stillness and movement.


Our people perform salpuri with gut as a symbol of gut, with pungmul as a symbol of pungmul, and with talchum as a symbol of talchum. In the agricultural era, the conflict with nature and with gods that occurred every year was resolved through seasonal customs, and they held mock battles called seokjeon (石戰) games and tug-of-war. In these folklores, the wall painting is not about destroying evil and moving towards the light, but rather about balancing the dark side into a new state. For example, the Byeongsin Dance is a dance in which a non-byeongsin imitates a crippled person and twists his body, which should seem tragic, sad, and full of resentment, but it is not. The Byeongsin Dance is a dance of extreme self-abuse and exposure in which a person wants to escape the shackles of a crippled person,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alled a reconciliation in that it has a basic line of living with the abnormal.


In addition,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dancing is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In addition to self-expression through art, the efficacy of dancing is the basis of life, and the uses of dancing are diverse, reaching 17-18. Dancers should find a theme that maximizes the efficacy of dancing and carry out the task of reviving dancing. On the other hand, dancing can be said to be an activity that restores productivity and the value of labor as a rhythmic activity. In that case, working and living while following the rhythm may not be a part of life, but rather the ultimate.


In modern times, the distinction between artistic and non-artistic dances that were pursued in the past is disappear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even parts that were not considered art in the past were transformed into art and objects of aesthetics, even the aesthetic senses that arise from looking at them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o the point that it could be called the end of art. In modern times, copies of works of art are being poured out in droves, and even ordinary people can easily access works of art, creating a democratization of artistic creation. Accordingly, concepts that were previously poorly valued, such as imitation, are now considered art. This is because perspectives differ depending on time and each person’s perspective. When looking at clouds in the sky, a meteorologist sees them from a meteorological perspective, and a painter sees them from a painter’s perspective. Therefore, in modern times, the distinction between aesthetic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has collapsed, and a comprehensive perspective is required.


Meanwhile, Korean dance emphasizes breathing,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associating breathing with death in cultural terms. When doctors medically determine a person’s death, in the West, they call it the cessation of the heart. However, our people express it as “stopping breathing, taking a breath.” So what does it mean to breathe well in Korean dance? Regarding breathing in dance,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the basis and origin of dance and rhythm is danjeon breathing (丹田呼吸), but we should be careful not to become obsessed with it. Korean dancers believe that dancing begins in the middle danjeon (中丹田), and the origin is breathing that takes place in the hoeeumhyeol (會陰穴). It is not certain whether it still exists, but we should also refer to the body training method or qi training that is deeply embedded in the Seondo (仙道)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In this context, Professor Yoon Gyeong-ryeol (尹京烈), a prominent scholar from the Gyeongju region, said that our people’s music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riple meter. Teacher Chae Hee-wan agreed with this and energetically shouted out the “deungdeungtakungta dengtakkungta dengtakkungta” rhythms of the Jajinmori and Gutgeori rhythms, explaining that our people’s rhythms have four 3-beat beats per beat. Our music is divided into “samjaeyangui (三才兩儀)”, that is, three beats, but it is divided into a two-beat yin-yang structure. Teacher Chae Hee-wan also added that since the human body is the same worldwide, our people’s folk music can potentially advance to the rhythms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based on the common rhythm of humans.


The content summarized today is almost exactly what Teacher Chae Hee-wan said, keeping his tone intact. This is because all his words were so moving and resonant that adding my words felt like it was interrupting the delivery. I learned Korean dance as a child, but I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in college. After learning talchum in a club, I learned Korean dance in earnest later and performed on stage as a dancer. After that, I changed my direction to dance theory and majored in cultural anthropology at Hanyang University, and researched and lectured on dance anthropology as my major. Although it is not a big stage, I still dance Korean dance, and my passion for loving Korean dance and dancers and contributing to its popularization remains the same. I have known and read articles from Professor Chae Hee-wan for a long time, and I am happy and grateful that I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take valuable lessons from her this time. I hope that you will continue to give me good words in good health in the futu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