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Vol.118-1 (2025.6.5.) 발행
글_ 이희나(본지 편집주간)
20세기 러시아 발레의 역사에서 유리 그리고로비치가 차지하는 의미는 엄청나다. 특히 1964년부터 1995년까지 30여 년 동안 수석안무가로 있었으며 1988년부터는 예술감독을 역임했던 볼쇼이발레단에서 그의 존재감은 상상 이상이다. 그의 안무작들은 모두 볼쇼이발레단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볼쇼이에서 공연하는 거의 모든 고전 발레들은 그리고로비치의 손을 거쳐 재탄생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그리고로비치는 볼쇼이발레단의 “정체성”과 같은 존재였다.
1927년 1월 2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난 그는 1946년 바가노바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1961년까지 마린스키발레단의 전신인 키로프발레단에서 무용수로 활동했다. 1961-1964년까지 마린스키에서 발레마스터를 지낸 후 모스크바 볼쇼이극장으로 본거지를 옮겨 〈스파르타쿠스(Спартак)〉(1968)을 비롯한 역사에 남을 작품들을 창작했다. 러시아 내의 모든 발레단이 그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있지만 볼쇼이발레단이야말로 그리고로비치의 스타일을 체화하여 유지하고 있는 곳이다. 예술감독을 그만둔 후에도 자신의 작품이 무대에 오를 때면 무용수들의 동작을 몸소 지도하였고, 자신의 안무작들을 끊임없이 체크하여 시대의 흐름에 맞게 변화시켰다.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 유수 발레단에서 공연되어 왔으며, 그가 구현한 다이내믹하고 드라마틱한 움직임과 발레 미학은 20세기 발레 역사에 기록할 만한 가치를 갖는다.
유리 그리고로비치의 별세 뉴스가 보도된 잠시 후, 볼쇼이극장의 SNS에는 그에게 작별을 표하는 추도행사 소식이 공지되었다. 그에게 작별 인사를 건네고픈 사람이면 누구나 무료로 참석이 가능한 행사로, 5월 23일 금요일 오전 11시에 볼쇼이 대극장에서 열렸다.
당일 오전 10시경 도착한 볼쇼이극장 앞 광장 정면은 출입을 통제하고 보안 경비들이 서 있었고 운구차가 서 있는 상태였다. 입장이 예정된 광장 한쪽 편에는 이미 몇십 명의 시민들이 줄을 서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리고로비치의 마지막 가는 길을 장식하기 위한 아름다운 꽃을 들고 있었다. 나 역시 두 송이의 붉은 카네이션을 들고 줄을 섰다(러시아의 풍습으로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홀수의 꽃을, 장례식에는 짝수의 꽃을 드린다). 건물의 옆문을 통해 입장한 줄은 극장 홀까지 이어졌고, 양쪽에서 들어온 하객들은 한 명씩 무대 앞에 잠들어 있는 그리고로비치에게 다가가 작별 인사를 건넸다. 무언가를 속삭이거나 눈물을 훔치는 사람도 있었다. 하객들의 줄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그리고로비치의 사진이 크게 걸린 무대막 아래로 오케스트라석 바로 앞에 그리고로비치가 누워있었으며 그 주변으로 조화(弔花)가 장식되어 있었다. 그리고로비치의 작품 및 고전 발레 작품들의 고요하고 느린 음악이 행사 내내 오케스트라 단원들에 의해 연주되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종교적 장례 행사에서 연도를 바치거나 염불을 읊는 것처럼 울려 퍼지는 발레 음악의 선율은 발레 예술가가 떠나는 길에 바치는 가장 정성스러운 마음이 담긴 기도였다.
무수한 문화예술 관련 인사들과 볼쇼이극장 관계자들, 무용 관계자들이 행사에 참석하였다. 이들 중에는 마린스키와 볼쇼이극장의 총감독 발레리 게르기예프, 러시아 예술 아카데미 회원이자 미술사학자, 음악평론가, 러시아 명예예술가인 안드레이 졸로토프, 과거에 그리고로비치와 함께 발레단에서 춤추었으며 현재 발레단의 마스터로 있는 보리스 아키모프와 나데즈다 그라쵸바, 니나 캅초바, 바가노바 아카데미의 학장 니콜라이 치스카리제, 볼쇼이발레단의 프리마발레리나이자 모스크바 발레아카데미의 학장인 스베틀라나 자하로바, 이전 수석발레리노였으며 현재 리에파 프로덕션의 대표인 안드리스 리에파, 마린스키발레단의 프리마발레리나 디아나 비쉬뇨바 등이 눈에 띄었다. 그들은 그리고로비치에게 예를 표한 후 객석에 앉아 그리고로비치와의 추억을 곱씹다가 중간 중간 앞으로 나가 추도 연설을 하였다. 그리고로비치와의 일화를 소개하거나 그에게 받은 것들에 대해 감사 인사를 표하였다. 또한 그리고로비치가 러시아와 전세계 예술계에 남긴 업적과 유산을 기리며 경의를 표했다.
볼쇼이의 유일한 아시아 발레리나로서 그리고로비치와 남다른 인연을 맺었던 배주윤 씨와 그의 남편이자 현재 볼쇼이발레단 발레마스터로 있는 안드레이 볼로틴도 추도식에 참석하였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말로 그리고로비치에게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전했다.
“저의 발레 인생은 그리고로비치 안무의 대작들과 항상 함께했습니다. 최태지 전 국립발레단장님이 그리고로비치 안무작들을 한국에 많이 소개하였어요. 저는 〈스파르타쿠스〉를 초연할 때 프리기아역을 초청받아 그리고로비치와 나탈리아 베스메르트노바의 지도를 직접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 순간들은 춤을 추는 사람들에게도 그리고 그의 작품을 보는 누구에게도 잊지 못할 행복한 순간일 것입니다.”(배주윤)
“위대한 발레 거장 유리 니콜라예비치 그리고로비치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작품을 보며 자란 우리 예술가들은 깊은 슬픔에 잠겼습니다. 우리는 그런 천재와 함께 일할 수 있는 행복을 누렸고 이제 그가 남긴 유산과 가르침을 보존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발레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는 한 그리고로비치는 우리와 함께할 것입니다.”(볼로틴)
그 밖에도 러시아 전역에 퍼져 활동하는 전현직 발레 종사자들과 학생들이 극장을 찾았으며 발레단원들도 모두 참석하여 안무가에게 인사를 건넸다. 공교롭게도 이날 저녁 공연은 그리고로비치가 1965년 안무한 작품 〈사랑의 전설(Легенда о любви)〉이 예정되어 있었던지라 안무가 헌정 공연의 의미를 담아 무대에 올랐다.
두 시간 여 동안 추모 행사를 진행한 후, 푸틴 대통령이 보낸 근조화환과 그리고로비치의 사진, 그리고 관이 극장 밖으로 이동되었다. 그 장면을 보기 위해 극장 앞에서 기다렸던 시민들은 “브라보!” 함성과 함께 러시안 박수(공연장에서 박자를 맞추어 치는 박수)를 치며 위대한 예술가의 마지막을 함께 했다. 예술 종사자들도 있었겠지만 대부분은 그저 순수하게 발레를 사랑하는 사람들로 보였다. 이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 그리고로비치와 그의 발레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한껏 표현했다. 인생의 대부분을 발레와 극장에서 보냈을 전설적 안무가는 세상을 떠나는 길에서도 극장을 밟았다. 눈을 감고서도 수많은 사람들의 “브라보”를 들었다. 박수갈채를 받았다. 마지막 길의 시작과 끝이 이보다 더 예술적일 수 있을까. 한 명의 거장을 떠나보내는 장면을 함께 하노라니 예술을 대하는 러시아 사람들의 깊은 애정과 품격을 느낄 수 있었다.
유리 그리고로비치가 세상을 떠난 같은 날, 또 한 명의 유리(유리 블라디미로프; Юрий К. Владимиров)가 세상을 떠났다. 1942년 1월 1일생으로 볼쇼이발레단 무용수였던 그는 그리고로비치 안무의 〈이반 뇌제(Иван Грозный)〉(1975)의 필름 버전에서 이반을 춤 춘 것으로 유명하다.
유리 그리고로비치의 작품들
* 오리지널 안무작
〈돌꽃(Каменный цветок)〉(1957)
〈사랑의 전설(Легенда о любви)〉(1965)
〈호두까기 인형(Щелкунчик)〉(1966)
〈스파르타쿠스(Спартак)〉(1968)
〈이반 뇌제(Иван Грозный)〉(1975)
〈앙가라(Ангара)〉(1976)
〈로미오와 줄리엣(Ромео и Джульетта)〉(1978)
〈황금시대(Золотой век)〉(1982)
* 고전발레 재해석
〈잠자는 숲속의 미녀(Спящая красавица)〉(1963, 1973)
〈백조의 호수(Лебединое озеро)〉(1969, 2001)
〈레이몬다(Раймонда)〉(1984, 2003)
〈지젤(Жизель)〉(1987)
〈라바야데르(Баядерка)〉(1991)
〈해적(Корсар)〉(1994)
〈돈키호테(Дон Кихот)〉(1994)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by Lee Heena (Editor-in-Chief of Dance Post. Korea)
How Russia, a country that loves art, bids farewell to a ballet master: Yuri Grigorovich Memorial Service
On Monday, May 19, 2025, Yuri Nikolayevich Grigorovich, the legend of 20th-century ballet, passed away. He was 98 years old.
The significance of Yuri Grigorovich in the history of 20th-century Russian ballet is enormous. In particular, his presence at the Bolshoi Ballet, where he served as chief choreographer for 30 years from 1964 to 1995 and artistic director since 1988, is beyond imagination. All of his choreographic works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works of the Bolshoi Ballet, and almost all of the classical ballets performed at the Bolshoi were reborn through Grigorovich’s hands. Grigorovich was literally the “identity” of the Bolshoi Ballet. Born in St. Petersburg on January 2, 1927, he graduated from the Vaganova Academy in 1946 and worked as a dancer at the Kirov Ballet, the predecessor of the Mariinsky Ballet, until 1961. After serving as ballet master at the Mariinsky from 1961 to 1964, he moved to the Bolshoi Theater in Moscow, where he created works that will remain in history, including “Spartacus” (1968). All ballet companies in Russia stage his works, but the Bolshoi Ballet is the one that embodies and maintains Grigorovich’s style. Even after he retired from being an artistic director, he personally directed the dancers' movements whenever his works were on stage, and constantly checked his choreography to change it to fit the times. His works have been performed by leading ballet compan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in Korea, and the dynamic and dramatic movements and ballet aesthetics he implemented are worthy of being recorded in the history of 20th-century ballet.
Shortly after the news of Yuri Grigorovich's passing was reported, the Bolshoi Theater's SNS announced a memorial service to bid him farewell. Anyone who wanted to say goodbye to him could attend the event for free, and it was held at the Bolshoi Grand Theater at 11 a.m. on Friday, May 23.
When we arrived at around 10 a.m. that day, the square in front of the Bolshoi Theater was closed to the public, and security guards were standing by, and the hearse was waiting. Dozens of citizens were already lined up on one side of the square where they were scheduled to enter. Many people were holding beautiful flowers to decorate Grigorovich's final journey. I also stood in line holding two red carnations (according to Russian custom, an odd number of flowers are given to a living person and an even number of flowers to a funeral). The line that entered through the side door of the building extended to the theater hall, and guests from both sides approached Grigorovich, who was sleeping in front of the stage, one by one to say goodbye. Some whispered something or wiped away tears. The line of guests continued endlessly. Grigorovich was lying right in front of the orchestra pit under the stage curtain with a large picture of him, and flowers were adorned around him. It was very impressive that the orchestra members played the calm and slow music of Grigorovich’s works and classical ballet works throughout the event. The melody of the ballet music, which resonated like a prayer or chant at a religious funeral, was the most sincere prayer offered by a ballet artist on his way out.
Countless people related to culture and arts, Bolshoi Theater officials, and dance officials attended the event. Among them were Valery Gergiev, the general director of the Mariinsky and Bolshoi Theaters; Andrei Zolotov, a member of the Russian Academy of Arts, an art historian, music critic and Honored Artist of Russia; Boris Akimov, who previously danced with Grigorovich in the ballet and is currently the master of the ballet; Nadezhda Grachova, Nina Kaptsova, the rector of the Vaganova Academy; Svetlana Zakharova, the prima ballerina of the Bolshoi Ballet and rector of the Moscow Ballet Academy; Andris Liepa, the former principal ballerina and current head of Liepa Productions; and Diana Vishnyova, the prima ballerina of the Mariinsky Ballet. After paying their respects to Grigorovich, they sat in the audience and recalled their memories of Grigorovich, and occasionally came to the front to give eulogies. They told stories about Grigorovich or expressed their gratitude for things they had received from him. They also paid tribute to Grigorovich’s achievements and legacy in the Russian and global art world.
Bae Ju-yoon, who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Grigorovich as the only Asian ballerina at the Bolshoi, and her husband, Andrei Bolotin, who is currently the Bolshoi Ballet’s ballet master, also attended the memorial service. They expressed their gratitude and respect to Grigorovich in the following words:
“My ballet life has always been accompanied by Grigorovich’s great choreographies. Former National Ballet Director Choi Tae-ji introduced many of Grigorovich’s choreographies to Korea. When the premiere of 〈Spartacus〉 was held, I was invited to play the role of Phrygia and was able to receive direct instruction from Grigorovich and Natalia Besmertnova. Those moments will be unforgettable and happy moments for both dancers and those who watch his work.” (Bae Ju-yoon)
“The great ballet master Yuri Nikolayevich Grigorovich has passed away. Our artists who grew up watching his work are deeply saddened. We had the pleasure of working with such a genius and will now try to preserve his legacy and teachings. As long as we love ballet, Grigorovich will be with us.” (Bolotin)
In addition, current and former ballet practitioners and students from all over Russia visited the theater, and all members of the ballet company attended to greet the choreographer. Coincidentally, the evening performance that day was scheduled to be Grigorovich’s 1965 choreography 〈Legend of Love〉, so the choreographer came on stage with the meaning of a tribute performance.
After a two-hour memorial service, the wreath sent by President Putin, Grigorovich’s photo, and the coffin were moved out of the theater. The citizens who had waited in front of the theater to see the scene cheered “Bravo!” and gave Russian applause (the clapping that is performed in time with the beat at the theater) to accompany the great artist on his last day. There were some who were in the arts, but most of them seemed to be pure ballet lovers. They expressed their love and respect for Grigorovich and his ballet in their own way. The legendary choreographer, who spent most of his life in ballet and theater, also visited the theater on his way out of this world. Even with his eyes closed, he heard “Bravo” from countless people. He received applause. Could the beginning and end of his last journey be more artistic? Watching the scene of a great master leaving, I could feel the deep affection and dignity of the Russian people towards art.
On the same day that Yuri Grigorovich passed away, another Yuri (Yuri Vladimirov; Юрий К. Владимиров) passed away. Born on January 1, 1942, he was a dancer at the Bolshoi Ballet and is famous for dancing Ivan in the film version of 〈Ivan the Terrible〉 (1975) choreographed by Grigorovich.
Works by Yuri Grigorovich
* Original choreographic works
Stone Flower (1957)
Legend of Love (1965)
The Nutcracker (1966)
Spartacus (1968)
Ivan the Terrible (1975)
Angara (1976)
Romeo and Juliet (1978)
The Golden Age (1982)
* Reproduction of classical ballets
Sleeping Beauty (1963, 1973)
Swan Lake (1969, 2001)
Raymonda (1984, 2003)
Giselle (1987)
La Bayadere (1991)
Le Corsaire (1994)
Don Quixote (1994)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