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글의 원본은 〈수사연구〉 2025년 6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포커스
Vol.118-2 (2025.6.20.) 발행
글·사진_ 이지은(법률사무소 리버티 변호사)
누구에게 열광적으로 빠지는 일이 거의 없는 나를 입덕시킨 마성의 남자 무용수가 있다. 그 이름은 최호종. 무용의 신이라는 별명을 가진 최호종 무용수는 작년9월부터 11월까지 M.Net에서 방영했던 남성 무용수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스테이지파이터〉 촬영을 위해 한국무용계에서 최고의 자리로 꼽히는 국립무용단을 퇴단하고 순수무용예술의 대중화를 위한 전장에 뛰어 들었다. 그는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 장르별로 나뉜 장르별 경쟁부터 발군의 실력을 보이고 최종 장르 파괴 경쟁을 거쳐 수석의 자리에 올랐다. 나는 그 과정마다 최호종 무용수가 보여준 엄청난 실력, 치열한 노력, 예술을 대하는 진지한 자세에 큰 감동을 받았다. 그는 피지컬, 퍼포머의 탁월함뿐 아니라 한정된 시간 내에 작품을 구성하는 안무 능력 역시 뛰어난 만능이었다.
그는 스테파STF 무용단으로 뽑힌 최종 무용수 12인을 대표한 소감에서 이렇게 말했다. “제가 생각하는 무용수는 몸과 정신을 모루 위에 올려놓고 두드려 단단해질 용기와 내려쳐 깨부술 각오도 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저는 제가 생각하는 무용수의 이상에 늘 다가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내가 오늘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춤 그리고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끊임없이 나아가겠다.”
최호종으로 대표되는 스테파 무용수들은 순수무용의 대중화 역사를 쓰게 만든 주역들이었다. 나는 작년 12월에 열린 스테파STF 무용단의 인천 공연과 서울 공연을 모두 갔는데, 나 말고도 최호종 무용수의 매력에 빠진 관람객들이 너무 많아 대규모 공연이 순식간에 매진되었다. 나는 스테파 전국 공연의 첫 번째 공연인 인천 공연은 취소표가 나오기를 기다려 구할 수 있었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친구와 동생까지 끌고 갔는데 단차가 없는 좌석이라 제대로 감상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약간의 컴플레인도 받았지만 이건 무용수 탓이 아니라고 강변했다. 혼자서라도 보려고 겨우 구한 서울 공연 자리가 아주 좋지는 않았는데, 같이 간 지인인 무용인류학자 최해리 선생님과 함께 스테파의 한국무용 코치였던 정보경 선생님을 우연히 만난 덕분에 정코치님이 자리를 바꾸어 주셔서 좋은 뷰에서 볼 수 있었던 행운이 있었다.
언론들도 최호종의 다양한 매력을 주목했다. 나는 스테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최호종의 과거 퍼포먼스 영상도 찾아보고 인스타도 팔로우하고 가끔 키워드 검색도 해보았고, 화보, 인터뷰도 당연히 찾아보았다. 소위 입덕 후 덕질을 시작한 것이다. 최호종의 여러 별명들- 오리를 좋아해서 최오리, 스테파의 한국무용 “왕의 기원: 태평성대”에서 선왕역을 맡아 호종대왕, 근육질 핑크퐁 영상을 인스타에 올렸다가 호종핑으로 바뀐 것 등도 너무 재미있었다. 나는 홍석천 씨와 오랜 친분이 있는데 석천 오빠 생일을 맞아 카톡으로 선물을 보내면서 석천 오빠가 진행하는 유튜브 〈홍석천의 보석함〉(미남들을 초대해 보석을 소개하고 보석을 감정하는 프로그램)에 최호종님을 섭외하면 안되냐고 졸랐다. “너의 사심을 채우려 뇌물을 쓰냐”고 ‘쫑크’를 먹기도 했지만, 결국 최호종이 강경호, 신민권과 함께 보석함에 출연한 것이다! 나는 너무 반가워서 석천 오빠에게 바로 감사 인사를 드리면서 “저도 촬영때 불러주시지”라고 했는데, 정작 오빠는 내가 추천한 것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더라…. 그만큼 복수 추천도 많았을 것이고, 최호종님의 인기를 실감한 것이니 그래도 좋았다.
최호종이 5월 24일 단독 공연을 한다는 소식에 단숨에 공연 예매를 하고, 언젠가는 최호종을 사석에서 만날 기회도 있지 않을까란 희망을 가지고 있던 차에 두둥! 나는 드디어 그를 만나게 되었다. 5월 2일 국립극장에서 〈사랑의 죽음, 피비린내가 눈에서 떠나지 않아, 후안발몬테〉 공연을 보고 일어나는데 내 뒤 좌석에 호종님이 관람을 마친 것을 발견한 것이다. 재빨리 호종님을 따라가 인사를 했다. 어쩔 줄 몰라 부끄러워하는 나에게 호종님이 직접 내 휴대폰을 가지고 셀카를 찍어주셨다. 성덕의 순간 찰칵.
드디어 5월 24일 공연. 연세대 백주년 콘서트홀에 입장하자 홀에서 울려 퍼지는 우퍼소리, 공연 티저 영상에서 보았던 흰 조명의 사각형 무대 안에서 호종님이 관객 입장 전 하우스오프닝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팬들에 대한 정식 프로그램에는 없는 웰컴 서프라이즈 선물로 느껴졌다. 최호종 무용수는 본인이 글을 쓰는 것을 매우 즐긴다고 밝혔는데, Movenote라고 프로그램 북에 나오는 작품 해설도 직접 쓴 것 같았고, 그 정성이 너무 느껴졌다. “지금 여기”라는 뜻의 Now here가 될 수도 있고, “어디에도 없는”이란 Nowhere가 될 수도 있는 중의적 표현을 담은 공연 제목도 너무 감각적이었다. 이번 공연은 무용과 팬들을 위한 토크쇼를 겸한 어디에도 없던 공연이었다. 한국무용 전공을 한 임하늘 앵커가 사회를 보면서 중간중간 최호종님이 직접 나와 공연의 의미나 본인의 작품세계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는데, 보통 순수무용 공연과는 전혀 다른 형식으로 팬들에게는 너무 귀한 시간이 아니었을까.
첫 작품은 〈스테파〉에서 선보인 매달린 박쥐 같은 포즈로 시작하는 최대 인기작 〈영원한 악몽〉으로 방송 당시 같이 팀을 꾸렸던 김종철, 김영웅, 김효준, 윤혁중 무용수들이 모두 함께 출연했다. 최호종은 Movenote에 이 작품에 대해 이렇게 썼다. “내가 두려워하는 것들로 가득한 세계에서 나를 대변하는 것들 것 점차 사라질 때 지독한 악몽의 고통과 역동만이 내가 아직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다음 작품 역시 〈스테파〉에서 한국무용에 기반한 창작작품으로 감동을 준 〈한줌 흙으로〉라는 것으로, 한줌 흙으로 돌아가는 인간의 유한함에 대해 다룬 것이다. 거문고주자이자 작곡가인 황진아님의 연주와 함께 진행되었고, 작품을 마치고 황진아님이 어린 최호종 무용수의 특별함을 발견하고 성덕한 인연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다음 작품인 〈휘몰이〉는 황진아님의 거문고와 EDM DJing이 맞물린 컨템퍼러리 작품으로 영상미까지 너무 좋았다.
내가 제일 좋았던 작품은 네번째 작품인 〈인어(Merman)〉였다. 수족관에 갇힌 인어를 다룬 영화〈The Shape of Water〉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이 작품은 수족관에 담겨진 최호종 무용수가 수족관에서 나와 바다를 헤엄치고자 하는 동작들을 보여주었다. 인어의 고통과 좌절된 꿈을 환상적으로 표현했던 이 작품은 의상, 조명, 동작 모두 잘 어우러져서 그 잔상이 계속 남아 있다. 다섯 번째 작품 〈큐브〉는 최근 혁진유라는 이름으로 인기를 끄는 게스트 무용수 3명(윤혁중, 박진호, 김유찬)의 작품이었고 매우 모던했다. 여섯 번째 〈So Beautiful〉은 사제지간으로 유명한 호종님의 제자 김규년 무용수와 같이 팬들이 추천한 음악에 맞추어 진행된 무대로 비감한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 마지막 〈볼레로〉는 최호종의 언어로 해석한 모리스 베자르의 안무, 모리스 라벨의 음악에 맞추어 재구성한 오마주 작품으로, 최호종 무용수 고유의 아름다운 몸짓을 최대한 느낄 수 있는 감동적 마무리였다.
아, 그리고 어디서도 보지 못했던 공연답게 팬들에 대한 크리스피 도넛 역조공 사건은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공연을 마치고 나오는데 호종 무용수가 공연을 마치고 매번 한판씩 먹는 크리스피 도넛을 팬들에게 하나씩 나눠준 것이다. 팬들을 향한 그의 따뜻한 사랑을 느낄 수 있었던, 어디에도 없던 공연의 여운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 The original of this article was published in the June 2025 issue of www.susa.co.kr.
Focus
Vol.118-2 (2025.6.20.)
Written and Photo by Lee Ji-eun (Liberty Law Firm Attorney)
Dancer Choi Ho-jong's solo performance 2025 NOWHERE, aka Ho-jongping's introduction
There is a male dancer who has become a fan of me, who rarely falls for someone passionately. His name is Choi Ho-jong. Nicknamed the God of Dance, Choi Ho-jong left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considered the best in the Korean dance world, to film 〈Stage Fighter〉, a male dancer survival program that aired on M.Net from September to November last year, and jumped into the battlefield to popularize pure dance art. He showed outstanding skills in the genre-specific competition divided into ballet, modern dance, and Korean dance genres, and rose to the top position through the final genre-breaking competition. I was deeply moved by the tremendous skills, fierce effort, and serious attitude toward art that Choi Ho-jong showed throughout the process. He was not only excellent as a physical and performer, but also had an outstanding choreographic ability to compose a piece within a limited time.
In his speech representing the 12 final dancers selected for the STF Dance Company, he said this: “I think a dancer is someone who places their body and mind on an anvil and has the courage to be strong by pounding it, as well as the determination to break it down.” “I will always strive to approach the ideal of a dancer that I think of, and I will continuously move forward with the dance that I think is beautiful today and in the direction that I think is right.”
The STF dancers, represented by Choi Ho-jong, were the main characters who wrote the history of popularizing pure dance. I went to both the Incheon and Seoul performances of the Stepa STF Dance Company held in December last year, and there were so many audience members who fell for Choi Ho-jong’s charm that the large-scale performances sold out in an instant. I was able to get the first performance of STF's national concert, the Incheon performance, after waiting for the cancellation tickets to come out. I went with my friend and younger sibling on Christmas Eve, and there were some complaints that it was too difficult to enjoy the show properly because the seats were not level, but I insisted that it was not the dancer's fault. The seats for the Seoul performance that I managed to get by myself were not very good, but thanks to the coincidence that I met Stepa's Korean dance coach, Jeong Bo-gyeong, along with my acquaintance, dance anthropologist Choi Hae-ri, Coach Jeong changed seats for me, so I was able to watch it from a good view.
The media also took notice of Choi Ho-jong's various charms. While the STF program was going on, I looked up videos of Choi Ho-jong's past performances, followed him on Instagram, occasionally searched for keywords, and of course, looked up pictorials and interviews. I started fandom after becoming a fan. Choi Ho-jong's various nicknames - Choi Ori because he likes ducks, Hojongdaewang because he played the role of Seonwang in Steph's Korean dance "The Origin of the King: Taepyeongseongdae", and Hojongping because he uploaded a video of a muscular Pinkfong on Instagram - were also very funny. I have been friends with Hong Seok-cheon for a long time, and when I sent him a gift via KakaoTalk for his birthday, I asked him to invite Choi Ho-jong to his YouTube show 〈Hong Seok-cheon's Jewelry Box〉(a program where handsome men are invited to introduce and appraise jewelry). I even got a "Jongk" saying, "Are you bribing me to satisfy your selfish desires?", but in the end, Choi Ho-jong appeared on Jewelry Box with Kang Kyung-ho and Shin Min-kwon! I was so happy that I immediately thanked Seok-cheon and said, "Please invite me to filming too," but he didn't even remember that I recommended him... . There must have been many multiple recommendations, and I felt Choi Ho-jong's popularity, so I was happy about that.
When I heard that Choi Ho-jong would be holding a solo concert on May 24, I immediately booked the concert ticket and hoped that I would have the chance to meet Choi Ho-jong in private someday. Then, tada! I finally got to meet him. On May 2, I saw Ho-jong sitting behind me after watching the performance of 〈Love’s Death, The Smell of Blood Never Leaves My Eyes, Juan Balmonte〉 at the National Theater. I quickly followed Ho-jong and greeted him. I was embarrassed and didn’t know what to do, but Ho-jong took a selfie with my phone. A moment of Seongdeok.
Finally, the performance on May 24. Upon entering Yonsei University’s Centennial Concert Hall, I could hear the woofers resonating through the hall, and Ho-jong was performing a house-opening performance before the audience entered the square stage with white lights that I had seen in the teaser video of the performance. This attempt felt like a welcome surprise gift to the fans that wasn’t in the official program. Dancer Choi Ho-jong said that he really enjoys writing, and it seemed that he wrote the commentary for the piece in the program book called Movenote himself, and his sincerity was really felt. The title of the performance, which could mean “Now here” or “Nowhere,” was also very sensual. This performance was a talk show for dance and fans, and it was a performance like no other. The performance was hosted by anchor Lim Ha-neul, who majored in Korean dance, and Choi Ho-jong himself appeared here and there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or his world of works. It was a very precious time for fans, as it was a completely different format from the usual pure dance performances.
The first piece was the most popular piece, 〈Eternal Nightmare〉 which started with a hanging bat-like pose from “STF,” and dancers Kim Jong-chul, Kim Young-woong, Kim Hyo-jun, and Yoon Hyuk-joong, who were part of the team at the time of the broadcast, all appeared together. Choi Ho-jong wrote about this piece in Movenote: “In a world full of things I fear, when the things that represent me gradually disappear, only the pain and dynamism of a terrible nightmare make me feel that I am still alive.” The next piece was also a touching creative piece based on Korean dance in STF called 〈A Handful of Soil〉 which deals with the finiteness of humans returning to a handful of soil. It was performed with the performance of Hwang Jin-ah, a geomungo player and composer, and after the piece, Hwang Jin-ah discovered the specialness of the young dancer Choi Ho-jong and learned about their relationship. The next piece, 〈Whirlwind〉 was a contemporary piece that combined Hwang Jin-ah’s geomungo and EDM DJing, and the visuals were also very good.
The piece that I liked the most was the fourth piece, 〈Merman〉. This piece, which was inspired by the movie 〈The Shape of Water〉 which deals with a mermaid trapped in an aquarium, showed the movements of Choi Ho-jong, a dancer trapped in an aquarium, trying to come out of the aquarium and swim in the sea. This work, which fantastically expressed the pain and frustrated dreams of a mermaid, lingered in the afterimages because the costumes, lighting, and movements were all well-coordinated. The fifth work, 〈Cube〉, was a work by three guest dancers (Yoon Hyuk-joong, Park Jin-ho, and Kim Yu-chan) who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under the name Hyuk Jin-yu, and was very modern. The sixth work, 〈So Beautiful〉, was a performance with music recommended by fans, performed by dancer Kim Gyu-nyeon, a disciple of Ho-jong, who is famous for being a disciple of the master, and showed a sorrowful beauty. The last work, 〈Bolero〉, was a re-creation of the choreography of Maurice Béjart, interpreted in Choi Ho-jong's own language, and the music of Maurice Ravel, and it was a touching ending where Choi Ho-jong's unique beautiful gestures could be felt to the fullest.
Oh, and as expected from a performance like no other, I don't think I'll ever forget the incident of the Krispy Kreme Donuts being given to the fans. After the performance, Ho-jong gave each fan a Krispy Kreme Donut, which he eats every time he finishes the performance. The afterglow of this unprecedented performance, where one could feel his warm love for his fans, still lingers.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