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Vol.118-2 (2025.6.20.) 발행
글·사진_ 오정은(전북대학교 강사)
댄스포스트코리아에서 진행하는 ‘ABC4Dance(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에서는 2025년 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춤미학의 대가인 채희완 선생님의 세미나가 5월부터 진행되고 있다. 이번 글은 1부에 해당하는 ‘미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춤은 무엇인가’ 주제 중 5-6회차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정은 2025년 5월 30일(금), 6월 13일(금)이며, 장소는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강의실에서 진행되었다.
춤과 장단은 하나
5회차 수업의 서두는 지난 4회 차에 이어 ‘춤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를 정리하는 얘기로 시작되었다. 채희완 선생님은 ‘춤은 음악이 기초가 되는 것’을 강조하며 춤과 음악을 연계하여 설명하였다. 인체의 리듬은 호흡이며, 그 원천적인 호흡은 생체리듬과 단전호흡을 그대로 연결 짓는 것으로 들숨과 날숨 그리고 속도에 따른 각 개인의 개념과 성격을 내포한다고 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동서양의 음악용어 Moderato(보통빠르기)와 굿거리장단 등을 구음으로 예를 들며 이해를 도왔다. 그리고 모든 음악의 장단(비트)의 속도와 호흡은 인간의 한계와 환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별 차이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열대(熱帶) 지역일수록 빠른 장단과 춤사위가 빠르고 발놀림 동작 또한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한대(寒帶) 지역의 경우에는 느린 장단과 느린 춤사위로 호흡이 긴 특징을 가지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즉, 각 나라의 춤과 음악은 문화적 속성과 호흡 그리고 살고 있는 땅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문화적 인자들이 같이 어우러져 춤과 장단의 성격과 빠르기를 정하기 때문에 단순히 인체적인 조건으로만 얘기할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래서 장단이야말로 문화적인 요소를 생각하지 않고 생체적인 리듬 또는 자연과학적인 어떤 속도나 빠르기나 그런 걸로만 얘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제대로 된 장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인류학적 접근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장단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2박자 계열, 3박자 계열, 2+3박자 등의 혼합계열로 볼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분박의 특징을 가진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3박자를 가진 서양의 왈츠와 한국의 세마치장단을 비교하며 왈츠의 ‘쿵작자 쿵작자’의 강약약 강약약으로 첫 박이 강조되어 고르게 진행되지만, 세마치장단은 ‘덩ㆍㆍ/덩ㆍ떠/쿵닥ㆍ’ 3분박 3박을 1ㆍ2ㆍ3 /2ㆍ2ㆍ3/ 3ㆍ2ㆍ3으로 끝에 가서 중간 박 정도에 강조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우실하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2004) 내용을 인용하며 ‘2수 분화(分化)와 3수 분화’를 설명하였는데, 2수 분화는 음양 이중 생성론으로 짝수 분화 구조를 이루며, 코스모스적 우주론으로 태극, 하단전, 균형, 정착, 대칭, 수렴, 백두대간의 서쪽을 의미하고, 3수 분화는 쳔지인 삼자사상으로 홀수 분화 구조를 이루며, 카오스적 우주론으로 궁궁(弓弓), 상단전, 역동, 생성, 변화, 분산, 확산, 유전, 백두대간 동쪽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이를 이어 칠판에 정간보를 적어가며 굿거리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등을 구음과 함께 설명하며 2분박, 3분박, 혼합분박(2+3)을 이해시켰다. 혼합분박은 2+3으로 5박이 아닌 3분박+2분박의 혼합을 말한다. 그리고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한 2002년 월드컵 응원 구호인 “대~한민국 짝짝~짝 짝~짝”의 근원이 오방진 가락의 일부분을 활용한 것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오방진 가락은 경상도 풍물굿의 장단 이름이고, 전라도 지방의 동살풀이가락이기도 하다. 채희완 선생님은 당시 응원 가락을 한 배를 살려 암수가락, 음양의 조화로 더 다양한 활용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을 전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장단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2회 차에 걸쳐서 강조했던 것은 춤은 장단에 의해 춤 흐름의 굴곡과 율동감을 생성해 내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예술작품 뿐 아닌 예술체험의 중요
미학의 연구 대상은 예술 작품이다. 미학은 미와 예술을 다루는 학문으로 철학적으로 형이상학적 접근과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고 하였다. 예술가의 창작 중심으로 미학의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예술 작품 속에 인간이 노력해서 만들어낸 미가 담겨 있기에 미학의 중심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하였다. 미적대상인 예술작품을 보는 것을 감상 즉, 향유(享有)라고 하였다. 향유는 영어로는 enjoyment, 우리말로 맛보고 즐기고 감상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다. 감상자(향유자)는 예술가의 미적 노력을 그 성과물인 예술 작품을 받아들여서 맛보고 즐기고 감상을 한다고 하였다. 예술은 예술가(창작자)-예술 작품-감상자(향유자)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전체를 둘러싸여 있는 예술 환경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네 가지 구조가 미학을 논할 수 있는 중심 구조로 볼 수 있으며, 예술 작품이 중심부로 존재한다고 하였다.
예술 체험은 넓은 의미의 미적 체험이라고 본다고 하였다. 예술 작품을 감상(향유)하는 행위를 예술 체험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예술 작품, 예술 체험 즉, 미적대상과 미적 체험은 시대에 따라 미를 바라보는 시각과 체험의 차이의 확장이 되고 있음을 이해시켰다. 또한 미의 대상은 자연미와 예술미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며 여러 사례들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오늘날의 예술은 고전적인 예술 대상을 넘어서 비예술까지도 예술 영역으로 혼합되고 있음을 인지시키며 현실 속에서 시대 변화를 이해해 보자는 의견을 나누며 수업을 이어갔다.
칸트의 미학, 예술 작품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미적 쾌와 추
어떤 예술 작품을 볼 때 우리는 유쾌와 불유쾌를 각자의 방식으로 느낄 수 있다. 이전의 미(美)는 쾌만을 포함했지만 칸트의 추의 개념이 포함되며 불유쾌인 ‘추’까지 미의 영역으로 확장시킨 것을 우리는 21세기 동시대 예술 작품에서 더 실감하고 있다. 채희완 선생님은 이와 관련하여 수업 중 칸트와 관련된 수강자의 질문을 이어 칸트의 비판 철학을 설명하였다. 칸트의 비판 철학의 핵심은 미학으로서 1790년에 나온 『판단력 비판』이라고 하는 책에서 칸트 비판 철학이 완성되어 있는데 거기에서 칸트는 미 또는 예술은 인식론하고도 다른 것이고 윤리학과도 다른 것이고 자연 철학하고도 다른 것이고 윤리학과도 다른 그 두 개를 매개해주는 독특한 주관적 취미 판정의 안전성에 놓여 있다고 설명하였다.
5회 차에 이어 6회 차 수업에서도 칸트의 철학의 이야기는 계속되었다. 칸트는 미학이 철학의 포함이 아닌 독자적인 학문으로 배제하였다고 했다. 칸트의 철학은 선험 철학이며, 선험 철학의 세계에서는 공통성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인간이면 다 공유돼 있는 세계를 설정하고 그런 세계하고 실제 상황 경험의 세계하고 맞붙이면서 생겨나는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보는 것임을 얘기하였다. 그리고 칸트의 철학은 경험의 세계 바로 직전에 인간이면 누구나 공유하고 있는 이성과 자유 의지와 공감각이 있고, 거기서 출발을 하고 있음을 말하였다. 이는 어떠한 대상을 보고 무관심적 태도를 취해서 사심 없이 감상의 태도를 말한 ‘칸트의 미적 무관심성’이다. 칸트의 비판 철학은 절대론과 경험론의 장점과 허점을 비판적으로 통합시킨 것이며. 칸트의 미학은 칸트의 미학이 이전 시대와 이후 시대를 교량 시켜주고 있는 핵심적인 종합성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시대에 따른 예술의 영역
예술의 역사는 비평의 역사이기도 하다고 한다. 예술 작품의 결과물들은 비평가의 시각과 글에 의해 평가되어 서로의 영향을 가진다고 한다.
예술의 개념이 정착된 것은 18세기로 리버럴 아츠(Liberal Arts)라는 개념을 도출하면서 이와 대립되고 있는 개념으로 오늘날로 얘기하면 순수 예술(Pure Art)이 있다. 18세기 이전에는 문예(문학+예술)와 노동이 결합된 기술적인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고 한다. 즉, 예전에는 창작자 중심의 예술 작품을 만드는 예술가들의 중심이었다. 현재는 예술가, 예술 작품, 감상자(향유자) 외에도 예술 동반층(제작자, 큐레이터, 문화기획자, 감상자 등) 영약이 포함되고 있다고 하였다. 예술 동반층의 영향은 예술 작품과 예술 사조에 예술 경향을 발생시키고 유통시키고 향유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오늘날은 세계에 많은 예술들이 거의 자본주의에 시장 원리에 쫓아가지고 매니저, 감독조차도 제작자에 의해서 선택되고 그것이 이제 작업을 시작하게끔 만들어 놓는 창작의 결정적인 계기로 영향이 있다고 한다. 즉, 21세기 들어와서 예술 창작의 핵심 개념은 예술가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한때 힘차게 누렸던 예술은 낭만주의 시대에 르네상스 시대가 가장 화려했던 시기였다고 한다.
향수 체험은 감상부터 비평까지, 그리고 드라마 트루거 역할의 중요성
미학은 미적 대상에 관한 예술 체험 또는 미적 체험에 연관되는 여러 가지 경험적 사실과 관념적인 것을 한꺼번에 다루는 학문이라고 한다. 예술학이 등장하면서부터는 미학의 중심 논의가 미적 체험으로 집중되면서 예술 작품론에 해당되는 것으로 더욱더 좁혀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20세기 이전만 해도 한정된 시간과 장소에 의해 통용되던 예술이 21세기 디지털 시대가 확장되어 오면서 감상자의 체험이 예술 작품의 유통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이 되면서 ‘향수’체험의 중요도가 생성되었다고 한다. 소수자만이 만들어내고 감상할 수 있던 예술 작품들의 미적 체험이 누구나가 향유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교회음악을 몇몇 신자들만 향유했던 것이 지금은 버스정류장에서 들을 수 있고, 교회 벽화들도 지하철 벽에서도 향유하는 시대가 온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고 한다.
미학자와 예술가와 비평가의 영역을 확고하게 나눠놓고 비평가가 작품에 대해서 얘기한 것 에 대해서 다시 비평할 때는 세 영역의 사람들이 같이 공동 작업을 하면서 메타 비평으로 넘어가야 된다고 했다. 작품론이 있고 한쪽의 창작, 한쪽의 향수(감상)으로 둔다면 향수의 맨 마지막 과정은 비평 작업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비평 작업은 누구나 다 할 수 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예술 작품의 보편성을 예술 작품 비평도 다분히 주관적인 작업의 영역에 들어가 그것의 보편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예술 작업과 연관돼 있는 삼자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한다. 연극에서는 이미 드라마 트루거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단순한 큐레이터가 아닌 새로운 예술 세계를 이끌어 나갈 것이다 라고 채희완 선생님은 전망한다고 하였다. 현재 무용 분야에서도 드라마투르거의 역할이 확장되어 가고 있는 것에서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마무리를 하며
본인은 채희완 선생님과의 인연으로 201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구술채록사업 ‘20세기 후반 참여지향의 춤 흐름 재발견’ 주제사(구술자 채희완, 책임연구원 최해리)에서 보조연구원으로 참여한 경험을 갖고 있다. 2번의 주제사 진행을 하며 부산과 경주를 오가며 춤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또한 채희완 선생님을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의 특강 등을 통해서도 뵈었던 것들이 혼합되어 현재 전통춤 재구성/재창작 활동의 근간이 되는 영향을 받고 있기도 하다. 그 영향 중 가장 큰 것은 ‘무용’이라는 용어보다 ‘춤’이라는 용어를 활용하는 것과 전통의 가치를 찾아보려고 하는 태도를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이번 댄스포스트코리아 세미나를 통해 채희완 선생님의 미학적 시선과 춤의 근간을 찾아보는 시간을 기대하고 있다. 그래서 최대한 세미나 수업 외에 뒷풀이 시간에도 참여하고자 했다. 실제 수업에서 논의되는 내용을 뒷풀이 장소에서 더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시간에서도 ‘춤은 신체의 중반부 즉, 단전 주변의 가슴 아래부터 무릎까지의 연결된 호흡과 움직임이 중요하고’, ‘멈춤에서 드러나는 것을 통해 생명을 일깨워 주는 것이 춤추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앞으로의 시간도 기대가 된다.
본인(@oje0709)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을 통해 한국춤의 전통과 창작의 경계에서 전통춤 재구성/재창작 영역을 꾸준히 만들어가는 춤꾼이다. 그리고 국민대학교에서 무용학을 상명대학교에서 공연예술경영학을 접하면서 이론과 기획영역까지 확장하였다. 2008년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의 일원으로 기록(아카이브, 구술사) 영역을 접한 것이 기반이 되어 현재는 기록과 관련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전북대학교 무용학과에서 무용이론 강사로 활동 중이며, (재)전문무용수지원센터 직업전환 컨설팅 무용멘토이기도 하다.
참고 링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20세기 후반 참여지향의 춤 흐름 재발견-채희완’ 구술채록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329421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8-2 (2025.6.20.) Issue
Written & photos by Oh Jeong-eu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ructor)
Dance Post Korea ABC4Dance (3) The importance of harmony between dance and rhythm, understanding aesthetic experience
Dance Post Korea's ‘ABC4Dance (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 is hosting a seminar by Professor Chae Hee-wan, an emeritus professor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a master of dance aesthetics, starting in May 2025. This article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5th and 6th sessions of the first part, 'What is dance as a subject of aesthetics research?' The schedule is May 30 (Fri) and June 13 (Fri), 2025, and the venue is the Seogyo lecture room of the Seoul Life Culture Center.
Dance and rhythm are one
The beginning of the 5th class began with a discussion on ‘Where does dance come from?’, following the previous 4th session. Teacher Chae Hee-wan emphasized that ‘dance is based on music’ and explained dance and music in connection. He said that the rhythm of the human body is breathing, and that the fundamental breathing i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biorhythm and danjeon breathing, and includ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inhalation, exhalation, and speed. To explain this, he used the Eastern and Western musical terms Moderato (moderate speed) and Gutgeori rhythm as examples to help understanding. He also said that the speed of the beat and breathing of all music are affected by human limitations and the environment, so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t can be inferred that in tropical regions, the rhythm and dance moves are fast and the footwork is fast, while in very cold regions, the rhythm and dance moves are slow and the breathing is long.
That is, the dance and music of each country are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tempo of the dance and rhythm, as cultural factors are combined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s, breathing, and various conditions of the land where they live, so they cannot be discussed simply in terms of human condi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talk about rhythm without considering cultural factors, such as biological rhythm or natural scientific speed or tempo, so it i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rhythm, it must be understood through a cultural anthropology approach.
Regardless of the East or the West, rhythm can be viewed as a mixed series such as 2 beat series, 3 beat series, and 2+3 beat series, but in the case of Korea, it is said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a split beat. For example, comparing the Western waltz with the Korean semachi rhythm, which has a triple meter, the waltz's 'kungjakja kungjakja' emphasizes the first beat with strong-weak-weak strong-weak weak and progresses evenly, but the semachi rhythm explains that the triple meter of 'deongㆍㆍ/deongㆍtteo/kungdakㆍ' emphasizes the middle beat towards the end with 1ㆍ2ㆍ3 /2ㆍ2ㆍ3/ 3ㆍ2ㆍ3.
Next, he cited Woo Sil-ha’s “Structure and Principle of Traditional Music” (2004) to explain “2-number differentiation (分化) and 3-number differentiation.” He said that 2-number differentiation is an even-number differentiation structure based on the dual creation theory of yin and yang, and in cosmic cosmology it means Taegeuk, lower dantian, balance, fixation, symmetry, convergence, and the west of Baekdudaegan. He also said that 3-number differentiation is an odd-number differentiation structure based on the three-character thought of Cheonjiin, and in chaotic cosmology it means gungung (弓弓), upper dantian, dynamism, creation, change, dispersion, diffusion, inheritance, and the east of Baekdudaegan. He continued by writing jeongganbo on the blackboard and explaining gutgeori jangdan, jungmori jangdan, jungjungmori jangdan, etc. with their pronunciation, and helped students understand 2-number beats, 3-number beats, and mixed dantian (2+3). Mixed dantian refers to a mixture of 3-number beats and 2-number beats, rather than 5 beats with 2+3.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igin of the 2002 World Cup cheering chant, “Dae~hanmin-guk jjak jjak jjak,” familiar to Koreans, was part of the Obangjin rhythm. Obangjin rhythm is the name of the rhythm of Gyeongsang-do Pungmulgut and also the Dongsalpuri rhythm of Jeolla-do. Teacher Chae Hee-wan expressed regret that the cheering rhythm at the time could have been used more diversely by using the harmony of male and female rhythms and yin and yang. He said that the reason he emphasized the rhythm in detail in two sessions was because dance creates the curves and rhythm of the dance flow through the rhythm.
The importance of artistic experience, not just works of art
The subject of aesthetics research is works of art. Aesthetics is the study of beauty and art, and it can be examined from a philosophical, metaphysical, and scientific approach. He said that many discussions of aesthetics are centered on the creation of artists, and since works of art contain the beauty created through human effort, it is quite natural to make aesthetics the central subject of research. Viewing an aesthetic object, a work of art, is called appreciation, or enjoyment. Enjoyment means enjoyment in English, and in Korean, it means to taste, enjoy, and appreciate. The appreciator (enjoyer) accepts the artist's aesthetic efforts, which are the results of the work of art, and tastes, enjoys, and appreciates it. Art is composed of the structure of the artist (creator) - the work of art - the appreciator (enjoyer), and there is an artistic environment surrounding it. These four structures can be viewed as the central structure for discussing aesthetics, and the work of art exists as the center.
The experience of art is considered an aesthetic experience in a broad sense. The act of appreciating (enjoying) a work of art can be viewed as an experience of art. It was made to understand that the work of art, the experience of art, that is, the aesthetic object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have expanded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beauty over time. It was also explained that the object of beauty includes natural beauty and artistic beauty, and explained several cases. And today's art goes beyond classical art objects and even non-art is mixed into the realm of art, and the class continued with the idea of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the times in reality.
Kant’s aesthetics, aesthetic pleasure and ugliness including the diversity of works of art
When we see a work of art, we can feel pleasure and displeasure in our own way. In the past, beauty included only pleasure, but Kant's concept of ugliness is included, and we can feel it more in contemporary art works of the 21st century, expanding the realm of beauty to include 'ugliness', which is displeasure. In relation to this, Professor Chae Hee-wan explained Kant's critical philosophy following a question from a student related to Kant during class. The cor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is aesthetics, and Kant's critical philosophy was completed in a book called 'Critique of Judgment' published in 1790, where Kant explained that beauty or art is different from epistemology, ethics, natural philosophy, and ethics, and lies in the safety of a unique subjective judgment of taste that mediates the two.
The story of Kant's philosophy continued in the 6th class, following the 5th. Kant said that aesthetics was not included in philosophy, but was exclud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Kant's philosophy is a priori philosophy, and since the world of a priori philosophy is based on commonality, he said that it sets up a world that all humans share, and critically views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such a world and the world of actual situational experience collide. And Kant's philosophy said that right before the world of experience, there are reason, free will, and synesthesia that all humans share, and that it starts from there. This is 'Kant's aesthetic indifference', which refers to an attitude of appreciation without selfishness by taking an indifferent attitude toward an object. Kant's critical philosophy critically integrat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bsolutism and empiricism. Kant's aesthetics explained that Kant's aesthetics has a core synthesis that bridges the previous and subsequent eras.
The realm of art according to the era
It is said that the history of art is also the history of criticism. The results of works of art are evaluated by the perspective and writing of critics and are said to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The concept of art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and the concept of liberal arts was derived, and the concept that is opposed to it is pure art in today's terms. It is said that before the 18th century, it was focused on the technical aspects of literature (literature + art) and labor. In other words, in the past, it was centered on artists who created works of art centered on the creator. It is said that in addition to artists, works of art, and appreciators (enjoyers), the art companion group (producers, curators, cultural planners, appreciators, etc.) is included. It is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art companion group generates, distributes, and enjoys artistic trends in works of art and art trends. For example, it is said that today, many arts in the world are almost entirely driven by capitalism and market principles, and even managers and directors are selected by producers and this has an influence as a decisive factor in creation that makes them start working. In other words, in the 21st century, the core concept of artistic creation is not in the artist. It is said that the art that was once enjoyed vigorously was at its most splendid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during the Romantic era.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dramaturgy in the experience of nostalgia, from appreciation to criticism
It is said that aesthetics is a discipline that deals with various empirical facts and conceptual thing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art or aesthetic experience of aesthetic objects at the same time. It is said that since the emergence of art studies, the central discussion of aesthetics has focused on aesthetic experience and narrowed down to the theory of works of art. It is said that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nostalgia’ has been created as the experience of the viewer has become a decisive factor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works of art as the digital era of the 21st century has expanded, while art that was used only in limited time and place before the 20th century has become a critical experience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works of art. It is sai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works of art that only a few people could create and appreciate has come to an era where everyone can enjoy them. For exampl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ra has come where church music, which was enjoyed only by a few believers, can now be heard at bus stops, and church murals can be enjoyed on subway walls.
He said that when the realms of aestheticians, artists, and critics are firmly divided and critics re-criticize what critics say about a work, people in the three fields should work together and move on to meta-criticism. If there is a theory of the work, and if one side is creation and the other side is nostalgia (appreciation), then the last stage of nostalgia can be seen as a critical work. Anyone can do the critical work, but strictly speaking, the universality of a work of art is also a subjective work, and in order to continuously secure its universality, the role of a third party related to the work of art is necessary. He said that dramaturgers are already playing that role in theater. Professor Chae Hee-wan predicted that they will lead a new art world, not just a simple curator. It was a point that could be agreed upon, considering that the role of dramaturgers is currently expanding in the field of dance.
In closing
I have experience as an assistant researcher in the 2015 ARKO Arts Archives oral history recording project of the Korea Arts Council, Arko Arts Archives, ‘Rediscovering the Participatory Dance Flow in the Late 20th Century’ (narrator Chae Hee-wan, researcher Choi Hae-ri) due to my connection with Professor Chae Hee-wan. It was a time when I could feel the passion for dance while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Busan and Gyeongju while conducting two theme talks. In addition, I have also met Professor Chae Hee-wan through special lectures at the Korea Dance Culture Archives, which have become the basis for my current activities to reconstruct/recreate traditional dance. The biggest influences are the use of the term ‘dance’ rather than ‘dance’ and the attitude of trying to find the value of tradition.
I am looking forward to exploring Professor Chae Hee-wan’s aesthetic perspective and the foundation of dance through this Dance Post Korea seminar. That is why I tried to participate in the after-party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seminar classes. This is because I can share more of the content discussed in the actual classes at the after-party. In the last time, we also heard that ‘dancing is about breathing and movement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body, that is, from the chest around the danjeon to the knees’ and ‘dancing is about awakening life through what is revealed in pauses’. I look forward to the future as well.
I (@oje0709) am a dancer who has been consistently creating the area of traditional dance reconstruction/recrea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radition and creation of Korean dance through Seoul Gugak Arts High Schoo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raditional Arts School. And while studying dance at Kookmin University and performing arts management at Sangmyung University, I expanded my field to theory and planning. As a member of the Korea Dance Culture Archives in 2008, I came into contact with the field of records (archives, oral history), and I am currently continuing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records. I am currently working as a dance theory instructor at the Department of Dance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I am also a dance mentor for career transition consulting at the Professional Dancer Support Center.
Reference link
Arko Arts Archives, Arts Council Korea, ‘Rediscovering the Participatory Dance Flow of the Late 20th Century - Chae Hee-wan’ Oral Recording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329421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