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포커스

댄스포스트코리아 ABC4Dance (4): 현대예술을 향하여_ 예술체험론, 관점의 이동

포커스

Vol.119-1 (2025.7.5.) 발행


글·사진_ 염혜규(미술사연구자)



댄스포스트코리아에서 진행하는 ‘ABC4Dance(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에서는 2025년 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춤미학의 대가인 채희완 선생님의 세미나가 5월부터 진행되고 있다. 이번 글은 1부에 해당하는 ‘미학의 연구 대상으로서의 춤은 무엇인가’ 주제 중 7-8회차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정은 2025년 6월 20일(금), 6월 27일(금)이며, 장소는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강의실에서 진행되었다.


7-8회차 수업에서는 6회차에서 다뤘던 향수 체험을 중심으로 한 예술체험론을 정리하는 시간과 현대예술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채희완 선생님은 20세기 이후 한쪽의 창작체험과 향수 체험이 동일한 근원적 원칙 속에서 수용되어 왔다고 하였다. 창작자의 예술 작업에 대해 수용자로 머물렀던 감상자가 추(追)체험을 통해 작품에 관여하게 됨으로써 창작자와 대등하게 되었다. 이는 작품 자체를 재료로 하여 또 다른 작품을 재창조하는 작업이랄 수 있다. 20 세기 후반 독일을 중심으로 형성된 수용미학은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다. 수용미학에서는 독자, 즉 향수자의 체험을 중시한다. 독자의 독서 행위에 따른 작품 해석은 수용자의 재창조 작업이다. 예술 작품이 단지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수용자의 적극적 개입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향수 체험, 더 나아가 예술 작품에 대한 개념 또한 변화를 가져왔다. 

 

작품(a work of art)은 더 이상 창작자 개인에 의해 완성되는 하나의 결과물만을 뜻하지 않고 “과정(a series of process)” 이라는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작품은 창작자의 작업뿐 아니라, 매니져, 프로듀서 등이 함께 작품에 관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마당’ 혹은 ‘판’을 만들어내는 ‘한 묶음의 과정’으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이는 20세기 후반 예술에 대한 논의 방식에도 변화에도 영향을 끼쳤다. 예술은 퍼포먼스, 이벤트의 성격이 부여되며 하나의 문화복합(culture complex) 혹은 문화복합공간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런 현상은 특히 미국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미식축구시합 현장이다. 선수들과 관중, 심판과 치어걸들, 각종 광고와 하프 타임의 공연과 중계방송을 하는 언론 매체들 등이 만들어내는 총체적 합작품으로 미국을 상징하는 축제의 현장이다. 무엇보다도 이와 같은 열광적인 축제의 현장과 내가 만남으로서 강렬한 하나의 문화적 체험이 이루어진다. 이와 유사한 또 하나의 현장은 미국 대통령 선거유세 현장이다. 이 현장에 속한 모든 것이 만들어내는 하나의 합작품으로서, 미국의 미학자들은 이를 20세기가 만들어낸 새로운 미적 현상 이자 미적 체험의 장으로 보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미적 체험의 결과가 아닌, 그 결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인 미적 체혐의 현장이다.


채희완 선생님은 이와 같은 논의와 더불어 내용과 형식 사이의 문제가 예술 작품의 중요한 논의 대상으로 다뤄지고 있다고 했다(버질 C. 올드리치(V.C. Aldrich)의 『예술철학』).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내용과 형식의 관계를 매체, 재료, 소재, 주제의 관계를 통해 설명하였다. 내용을 이루는 일차적 재료는 소재다. 소재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주제를 향하는 하나의 매체로서 작동함에 따라 소재적 주제로 바뀐다(재료->소재->소재적 주제). 또한 주제가 소재를 통해 대변되는 그 틀이 형식이다. 춤의 재료(meterials)는 몸이다. 몸은 움직임을 통해 매체가 된다. 몸의 움직임은 하나의 언어이다. 이로써 형식이 만들어진다(재료->매체->언어->형식). 주제, 즉 이야기하고 싶은 바를 몸을 매체로 표현하는 형식의 과정이 있다. 이것이 최종적으로 만났을 때 작품이 된다.



고전적 의미에서 예술 작품의 탄생은 생명체의 탄생에 비유할 수 있다. 잉태로부터 탄생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를 거쳐 예술 작품이 탄생한다. 아방가르드(avant-garde: 전위예술)는 이러한 단계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돌발적으로 일어난다. 이는 예술 작품의 의미변화를 일으켰다. 기존의 명작, 마에스트로(Maestro)의 개념이 일시에 무너졌다. 예술 작품은 영원무궁한 것이 아닌, 언제 어디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것으로서의 “촉발 직전의 것”이다. 최일선에 서 있는 예술행위자에게 작품이라는 것은 일종의 전투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변화는 예술 혹은 명작에 있어 시공간의 개념을 깨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음악에 있어 배제될 수 없는 시간성과 미술작품이 갖는 공간성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요구되었다. 


이는 관중들이 힘을 발휘한 결과이기도 하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대중의 “반역”, 예술의 위대함, 예술의 영원성에 대한 “반역”이라고 했다. 이는 20세기 예술의 출발을 알린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며 등장한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미래파 등은 제국주의에 대한 반란과 함께 등장하였다. 또한 이전까지 예술 작품이 “주문”의 작품이었다면, 근대로 넘어오면서는 예술작품은 나의 “욕구”로부터 비롯된, 예술로서 자기표현의 관철 의지가 표현된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오늘날 근대예술의 개념이 발생하였다.


“예술작품의 의미변화”를 보여주는 두 예술가로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과 존 케이지(John Cage)를 들 수 있다. 뒤샹이 1917년 전시장에 〈샘(Fountain)〉 이라는 작품명 아래 남자 변기를 설치했던 “사건”은 20세기를 강타한 예술 사건이며 예술 작품-현상이었다. 이 사건은 없던 것이 작가에 의해 창작되어야 한다는 기존의 개념을 깨뜨렸다. 뒤샹은 변기 제작자의 싸인 R.Mutte가 새겨진 “레디 메이드(ready made)”, 즉 기성품인 변기를 전시장에 설치했을 뿐이다. 또한 변기는 화장실이 아닌 전시공간에 설치되면서 변기라는 사물이 가진 본래의 용도변경을 통해, 감상자에게 변기의 “존재의 의미”를 달리 생각할 것이 요청되었다. 〈샘〉은 예술 작품에 대한 규정, 예술 작품과 일상품의 구별과 같은 “예술에 대한 해석의 문제”를 불러왔다. 


존 케이지가 1952년 독일 도나웨신겐 현대음악제에 출품한 〈4분 33초〉 역시 예술 작품에 대한 개념을 바꿔놓았다. 존 케이지는 피아노 위에 악보를 두고, 실제로 피아노 연주를 하지 않았다. 채희완 선생님은 〈4분 33초〉에서 주목할 요소는 “악보가 있다” 라는 것, 그 악보에 맞춰 연주했다는 것이라고 했다. 3악장으로 된 악보에는 음표가 전혀 없고, 악장별로 Tacet(연주하지 말고 쉬어라)라는 악상만이 쓰여 있었다. 연주자는 피아노 뚜껑 닫고 엶으로서 공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었다. 악장의 끝과 시작은 연속적으로 일어나기에 피아노 뚜껑의 닫힘과 열림의 반복은 시작과 끝이 물고 물리는 연속성을 만들어 냄으로써 시작도 끝도 없는 “무시”와 “무종”의 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연주자는 악장별로 연주 시간을 무작위로 정할 수 있다. 작곡가는 “소리를 조직하는 사람”이다. 4분 33초의 연주 시간에는 바람 소리, 사람들의 웅성거림 같은 소음이 포함됨으로써, 이 각종 소리는 음악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는 무엇이 가장 음악적인 것이냐라는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발생시킨다. 뒤샹의 〈샘〉에서 제기되었던 예술에 대한 해석의 문제는 〈4분 33초〉에서도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채희완 선생님은 20세기 이후 다양한 예술관들이 전개되었으나, 수업에서는 전통적 예술관을 깨고 “관점의 이동”을 가져온 예술관과 예술가를 소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했다. 수업에서 다뤄진 내용이 반드시 주류 예술에 속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주류가 아니더라도 중요한 것이 있고, 이를 다루는 이유는 바로 20세기 예술의 중요한 특징을 보여주기 위함임을 밝혔다.


나는 춤을 전공하지도 않았고, 어쩌다 보니 소위 말하는 인문학의 테두리 안에서 공식적인 학업 교육을 마쳤지만, 아쉽게도 학문의 깊이가 얕아 아는 것이 많지 않은 사람이다. 다만 성인이 된 이후 춤 공연을 처음 보고 좋아하게 돼서 종종 공연을 봐온 것이 계기가 되어 지난해부터 댄스포스트코리아의 리뷰어로 합류하여 무용비평문을 쓰고 있다. 하지만 학구적인 것과는 거리가 있어 여전히 춤 관련 책 한 권 읽어본 것이 없던 와중에 채희완 선생님의 춤미학 세미나 소식을 접하고 참석하게 되었다. 춤 공부를 할 기회가 없었던 내게 8주 시간은 뜻깊은 배움의 시간이었다. 9월에 시작될 2부 세미나가 더욱 기다려진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and Photo by Yeom Hye-gyu (Art History Researcher)



Dance Post Korea ABC4Dance (4): Towards Contemporary Art_ Art Experience Theory, Shift in Perspective



Dance Post Korea's 'ABC4Dance (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 is hosting a seminar by Professor Chae Hee-wan, an emeritus professor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a master of dance aesthetics, starting in May 2025. This article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7th and 8th sessions of the first part, 'What is dance as a subject of aesthetics research?' The schedule is Friday, June 20th and Friday, June 27th, 2025, and the venue is the Seogyo Lecture Room of the Seoul Living Culture Center.


In the 7th and 8th sessions, we organized the art experience theory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nostalgia discussed in the 6th session and learned about the aspects of contemporary art.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since the 20th century, the creative experience and the nostalgic experience have been accepted under the same fundamental principle. The appreciator, who had been a recipient of the creator’s artistic work, became involved in the work through the follow-up experience, thereby becoming equal to the creator. This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recreating another work using the work itself as material. Reception aesthetics, which was formed in Germany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flects this tendency. Reception aesthetics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the reader, that is, the nostalgic.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reader’s reading behavior is the work of the recipient’s re-creation. As the work of art is no longer simply created by the artist but is achieved through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recipient, the nostalgic experience and even the concept of the work of art have also changed.


A work of art no longer means just a single result completed by an individual creator, but has acquired the meaning of “a series of processes.” The work came to exist as a ‘package process’ that creates a ‘yard’ or ‘board’ a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the creator’s work but also managers, producers, etc. participate in the work. This also influenced the way art was discussed and chang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rt was given the character of a performance or an event, and came to have the meaning of a cultural complex or cultural complex space.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best example of this is the American football game scene. It is a festival scene that symbolizes the United States, a total collaborative work created by players, spectators, referees, cheerleaders, various advertisements, halftime performances, and media outlets that broadcast the game. Above all, my encounter with this passionate festival scene creates an intense cultural experience. Another scene similar to this is the scene of a US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As a collaborative work created by everything in this scene, American aestheticians viewed it as a new aesthetic phenomenon and a place of aesthetic experience created in the 20th century.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he result of this aesthetic experience, but the process leading to that result, which is the site of aesthetic experience.


Along with this discussion,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the issue between content and form is being treated as an important topic of discussion in works of art (V.C. Aldrich's 『Philosophy of Art』). He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 that constitutes a work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um, material, subject matter, and theme. The primary material that constitutes the content is material. As the material functions as a medium that leads to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 it changes into a material subject matter (material->material->material subject matter). In addition, the framework in which the subject matter is represented through the material is the form. The material of dance is the body. The body becomes a medium through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body is a language. This creates a form (material->medium->language->form). There is a formal process that expresses the subject matter, that is, what one wants to say, through the body. When these finally meet, they become a work of art.


In a classical sense, the birth of a work of art can be likened to the birth of a living organism. A work of art is born through stages from conception to birth. The avant-garde does not go through these stages but rather occurs suddenly. This caused a change in the meaning of a work of art. The existing concept of a masterpiece or a maestro collapsed all at once. A work of art is not something that is eternal and infinite, but something that can appear “right before it is triggered” without knowing when, where, or how. For an artist on the front lines, a work of art can be considered a kind of battle situation. This change resulted in breaking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in art or a masterpiece. A change in perspective on the temporality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music and the spatiality of a work of art was required.


This was also the result of the audience exerting their power. Some scholars called it a “rebellion” by the public, a “rebellion” against the greatness of art and the eternity of art. This announced the beginning of 20th-century art. Dadaism, Surrealism, and Futurism, which emerge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emerged along with the rebellion against imperialism. Furthermore, while previously works of art were works of “order,” in the modern era, works of art came to mean the expression of my “desire” and the will to express myself through art. From this, the concept of modern art emerged.


Marcel Duchamp and John Cage are two artists who demonstrate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works of art.” The “incident” in which Duchamp installed a men’s toilet in an exhibition hall under the title of 〈Fountain〉 in 1917 was an art incident and an art-work phenomenon that hit the 20th century hard. This incident broke the existing concept that something that did not exist should be created by the artist. Duchamp simply installed a “ready made” toilet with the toilet maker’s signature R. Mutte in the exhibition hall. Also, the toilet was installed in an exhibition space, not a bathroom, an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oilet was changed, asking the viewer to think differently about the “meaning of existence” of the toilet. 〈Fountain〉 brought up “issues of interpretation of art,” such as the definition of a work of art and the distinction between a work of art and an everyday product.


John Cage’s 〈4’33〉 submitted to the Donaueschingen Contemporary Music Festival in Germany in 1952 also changed the concept of a work of art. John Cage placed the music score on the piano and did not actually play the piano.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the notable element in 〈4’33〉 was that “there was a music score” and that he played to that score. The score, which consists of three movements, has no musical notes at all, and only the phrase “Tacet” (don’t play, just rest) is written for each movement. The performer indicated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performance by closing and opening the piano lid. Since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movement occur continuously, the repeated closing and opening of the piano lid creates a continuity where the beginning and end meet, thereby generating the phenomenon of “ignorance” and “no end” that has neither beginning nor end. In addition, the performer can randomly set the playing time for each movement. The composer is a “person who organizes sound.” Since the playing time of 4 minutes and 33 seconds includes noises such as the sound of the wind and the murmur of people, these various sounds have the right to exist as music. This raises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the most musical. The problem of art interpretation raised in Duchamp’s 〈Fountain〉 can be seen as being applied to 〈4’33〉 as well. 


Professor Chae Hee-wan said that although various art view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20th century, the class focused on introducing art views and artists who broke the traditional art views and brought about a “shift in perspective.” He stated that the content covered in the class was not necessarily mainstream art, but that there were important things even if they were not mainstream, and that it was to show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art.


I did not major in dance, and somehow I completed my formal academic education within the so-called humanities, but unfortunately, I am a person who does not know much because my academic depth is shallow. However, I first saw a dance performance as an adult and liked it, so I often watched the performances, and since then, I have been writing dance critiques as a reviewer for Danpoco since last year. However, I am far from academic, so I still have not read a single book related to dance. Then, I heard about Professor Chae Hee-wan’s dance aesthetics seminar and decided to attend. For me, who had no opportunity to study dance, the 8-week period was a meaningful learning time. I am even more excited for the second seminar that will start in September.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