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포커스

서울교방의 몽펠리에 공연 동행 관람기

※ 본 글의 원본은 〈수사연구〉 2025년 7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포커스

Vol.119-1 (2025.7.5.) 발행


글_ 이지은(법률사무소 리버티 변호사)

사진_ 이지은, 최해리



 

저는 6월 21일부터 27일까지 서울교방 동인들을 따라 프랑스 몽펠리에를 방문하여 그들의 공연 준비를 돕고 최측근 거리에서 관람할 수 있는 귀한 기회를 얻었어요. 서울교방은 고려시대부터 예능을 지도하던 기관인 교방청(敎坊廳)으로부터 유래된 교방문화와 근대시기의 예술인 양성소 권번(券番)의 춤 전통을 잇는 춤꾼들의 수련 네트워크로 김경란 대표가 이끌고 있습니다. 저는 작년 9월의 “김경란류 권번춤 예맥: 반월(半月)”을 비롯해 올해 2월의 “독공(獨功)독무(獨舞): 서울교방 6인전” 등 서울교방의 공연을 접한 이후에 팬이 되었고, 이번 몽펠리에 공연여행에 참여하면서 준비 과정부터 실제 공연까지 지켜보며 더욱 깊이 있게 춤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울교방의 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울교방을 이끌고 있는 김경란 대표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작년 제가 보았던 “반월” 공연은 서울교방의 대표 레퍼토리를 망라한 공연이었습니다. 김경란은 경기여고를 거쳐 서울대학교 미대에 입학한 재원이었습니다. 대학4학년 때 학생운동으로 구속된 남자친구를 면회하기 위해 옥중 결혼을 하고 본격적으로 학생운동에 투신하기 위해 학교를 스스로 뛰쳐나온 용감한 인물입니다. 미대에 진학했지만 김경란은 원래 어릴 때부터 무용을 배웠고, 중학교 시절에는 현대무용도 배웠으며, 학생운동에 참여한 이후로 여러 지역의 탈춤과 농악, 그리고 굿도 섭렵했습니다. 특히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의 보유자였던 김금화 만신에게 내림굿을 받고 신딸이 되었으며, 진주권번 출신의 김수악 명인을 보필하며 〈진주교방굿거리춤〉을 전승하고 이 춤의 이수자가 되었습니다. 김경란은 한국문화의 뿌리를 알기 위한 과정으로 굿을 배웠습니다. 굿을 배우면서 춤이 굿에서 분화돼 나온 것이라고 확신하고, 굿 안에 깃든 춤의 상징성을 이해하면서 춤의 근본적인 원리를 찾게 되었습니다. 권번의 주요 레퍼토리였던 승무, 살풀이춤, 입춤이 굿의 구조에서 독자적으로 떨어져 나온 것이라는 것이죠. 김경란은 민주화운동이 끝난 1990년대 이후로 명상과 수련을 통해 치유를 경험하면서 이런 개인적 치유를 사회적 치유의 영역으로 넓히려고 소외된 변방의 춤, 지방의 춤을 가지고 대중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춤판을 개척하기 시작했습니다. 2010년 뜻을 같이 하는 후배 춤꾼들과 서울교방이라는 동인체를 조직하고, 권번 예기(藝妓)들이었던 김수악, 장금도, 조갑녀의 춤맥을 이어나가면서도 전통춤을 오늘날의 춤으로 재해석하는 새로운 레퍼토리의 개발을 통해 김경란류의 신전통춤을 창조하였습니다. 또한, “홀춤전”, “6인전” 등 서울교방의 브랜드 공연을 지향해 왔습니다.


참고로, 제가 귀국하자마자 요즘 넷플릭스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보며 주인공 걸그룹 헌트릭스가 입었던 한국 전통의상이 무녀의 검무 복식을 연상시킨다고 생각했었는데, 매기 강 감독이 제 생각대로 한국의 무당들이 모두 여자이고 액운을 쫓는 역할을 하기에 주인공 걸그룹을 무녀로 생각하고 이 작품을 만든 것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어, 굿이 가진 현대적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번 몽펠리에에서의 서울교방 공연은 두 차례 열렸습니다. 첫 번째 공연은 유서깊은 몽펠리에 오페라극장의 소극장에서 이루어졌으며, 두 번째 공연은 넬슨 만델라 국제교류의 집 야외무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저는 두 차례 공연의 리허설과 준비 과정을 옆에서 참관하고 분장실도 들어가 무용가 선생님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멋진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서울교방의 선생님들은 예산 제약상 의상과 악기 등 모든 짐을 한국에서부터 각자 꾸려왔고, 분장도 직접 하였습니다. 그분들의 열정과 용기에 감탄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 한국 전통춤의 즉흥성과 신명성을 감안한다면 반주단을 동반하는 것이 맞지만 예산 관계상 녹음된 음악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서 아쉬움이 느껴졌습니다. 선생님들은 나보다 이틀 먼저 도착하여 공연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따로 연습실을 구할 수가 없어 공연 전날 저녁에 공원에서 소고춤의 동선과 동작을 맞추어 보던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2025년 6월 23일 첫 번째 공연 “서울교방과 함께하는 한국춤 세레나데”가 열렸던 몽펠리에 오페라하우스는 몽펠리에 시내 중심인 코미디 광장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1888년에 개관한 오페라하우스는 몽펠리에 시의 중심에 자리잡아 몽펠리에의 문화적 역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서울교방 공연은 350석 규모의 살레 몰리에르 콘서트홀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극장 내부는 넓은 창문과 이를 반사하는 거울, 내부 프레스코 벽화와 고풍스러운 장식들로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다만, 에어컨 시설이 없어서 무대와 객석의 냉방 부분이 아쉬웠고 관객들의 집중도에 영향을 줄까 우려되었는데, 실제 공연관람시 상당히 더워 부담스럽기는 했습니다.




저는 선생님들을 따라 음향과 조명 리허설을 참관하고 분장실에도 들어가볼 수 있었습니다. 무대 바로 뒤편의 분장실은 협소했지만, 복도를 따라가니 대극장 뒤편에 널찍한 분장실이 있었습니다. 이 공간은 냉방시설도 있고, 소파와 빈백, 피아노와 냉장고, 바까지 갖추어 파티도 가능할 것 같은 쾌적한 장소였습니다. 그래서 선생님들은 소극장 쪽은 대기실로, 대극장 쪽은 분장실로 활용했습니다. 저는 이번 공연의 주요 후원자였던 다른 분과 함께 근교 바닷가를 다녀와 뒤늦게 합류해서 분장실에서 김밥을 얻어 먹고, 얼음과 음료수 조달을 해드리는 심부름을 한 것이 전부였어요. 그리고 선생님들의 의상과 비녀를 비롯한 머리 장식이 너무 예뻐서 선생님들의 뒷모습을 몇 컷 찍어 보기도 했어요.




공연20분을 앞두고 저희는 관객석으로 빠져나와 공연을 감상하는 관람객의 입장으로 전환했는데, 객석은 거의 만석이었습니다. 서울교방을 초청하고, 이번 공연을 주관하신 분은 재불 무용가 남영호 예술감독이었어요. 한불 문화교류에 대한 남 감독님의 공로를 몽펠리에 시민들도 익히 알고 있다는 것을 몽펠리에 시의 국제교류 담당 부시장과 오페라하우스 관장의 오프닝 연설과 관객들의 호응에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공연의 시작을 열어준 것은 두 명의 무용수(김혜윤, 박정화)가 추는 〈운빈아미(탐스러운 귀밑머리와 초승달처럼 아름다운 눈썹)〉라는 흥겨운 장고춤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1918년 『조선미인보감』에 등재되어 있는 평양기생 김취홍으로부터 전승된 춤을 12체 장구춤으로 재구성한 것이라고 합니다. 김혜윤과 박정화는 전통춤의 섬세함과 단아한 매력을 장고의 박진감 넘치는 리듬과 함께 보여주었는데, 오랜 기간 호흡을 맞추어 온 두 무용수의 노련함이 엿보였습니다. 


활기찬 장고가락으로 무대의 흥을 달군 후에 한국의 조용한 미감을 음미할 수 있는 〈민살풀이춤〉이 이어졌습니다. 이 춤을 추신 서정숙 선생님은 분장실에서 음악도 느리고 옷도 밋밋해서 관객들이 졸거나 반응이 시원치 않을까 걱정하셨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무대를 장악하는 독무의 힘이 대단했습니다. 살풀이춤은 액을 쫓는다는 의미에서 보통 길다란 명주 수건을 가지고 추는데, 〈민살풀이춤〉은 수건 없이 추는 살풀이춤입니다. 〈민살풀이춤〉은 호남지역의 권번에서 발전하여 남원권번의 조갑녀 명인, 군산 소화권번의 장금도 명인 등을 통해 전승되어 왔습니다. 이번 공연에서 서정숙은 장금도의 〈민살풀이춤〉을 추었습니다. 흰색 옷을 입고 느릿한 장단에 맞추어 절도 있고 품위 있는 손사위와 발사위가 매력적이었습니다. 이 춤은 한동작, 한동작을 구사함에 있어서 호흡을 길게 머무르게 하고, 부드러운 숨결이 흐르는 가운데 같은 손과 발을 움직여 몸의 조화로운 균형을 이루는 내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어떤 논문을 보니 〈민살풀이춤〉의 움직임에 깃든 곡선과 여백의 미, 무심성, 몸체의 특성 등은 전통춤의 본질이라고 하였고, 역학(易學)의 관점에서 해석한 글도 있어서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세번째 순서는 김미선의 〈구음검무(口音劍舞)〉였습니다. 저는 전통 관복 같은 것을 입고 칼을 휘두르면서 추는 검무의 근원이 궁금했습니다. 알아보니 우리 검무의 근원은 신라 소년 황창의 전설에서 비롯되었어요. 신라 소년 황창은 칼춤으로 유명했는데, 백제왕 앞에서 칼춤을 추다가 왕에게 칼을 던져 죽이고 그도 죽었다고 합니다. 신라인들은 황창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가면을 쓰고 춤을 추었다고 합니다. 조선 시대에 기녀들이 추는 검무로 이어졌는데, 특히 1789년 다산 정약용은 진주 촉석루 연회에서 진주 기생이 춘 검무를 감상하고 “검무를 추는 여인에게 바치다”라는 〈무검편증미인(舞劒篇贈美人)〉이란 시를 쓴 바 있습니다. 가락과 칼 쓰는 법에서부터 발디딤과 춤사위에 이르기까지 궁중 검무를 계승한 〈진주검무〉는 1906년 진주교방의 관기 최순이가 궁중 무희로 선발되어 장악원에서 수련받은 것이 원형이라고 합니다. 1910년 일본이 교방제도를 폐지하여 이후 기녀들은 기생조합 또는 권번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는데, 최순이는 진주권번에서 8명이 추는 군무 형식으로 검무를 가르쳤다고 합니다. 〈진주검무〉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습니다. 또한, 진주권번은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이 침략당한 후 왜장을 안고 투신한 의기 논개의 제사인 “의암별제”를 치렀는데, 이때 가장 주요한 춤이 〈진주검무〉였다고 합니다. 김미선은 독무로 〈구음검무〉를 추었습니다. 무대에 등장해서 전립을 쓰고 서 있는 첫 모습에서부터 대단한 카리스마가 느껴졌습니다. 〈구음검무〉는 삼현육각의 풍성한 반주 대신에 장구 장단 하나에 의존하여 김수악 명인의 구음에 영감받은 현대적인 여성 구음의 바리에션에 맞추어 품격 높은 춤사위와 절도 있으면서도 능수능란한 칼놀림이 매우 인상적이었으며, 호국의 절개가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선보인 작품은 김혜윤, 박정화, 최지은 3명의 무용수가 추는 〈논개별곡〉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의암별제”에서 김수악 명인이 추었던 〈논개살풀이〉를 서울교방의 김경란 대표가 창작 무극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조선시대 의기였던 논개의 비장한 삶을 서사화하고, 한국 여성들의 강인한 삶을 상징한 아름다운 살풀이춤입니다. 무용수들이 다양한 감정과 서사를 표현하듯이 흰수건을 자유자재로 던지고 감고 풀어가면서 보여준 춤사위가 너무 환상적이었고 관객들도 한국춤의 미감에 흠뻑 젖어들었습니다.





마지막 무대는 〈교방굿거리춤〉이 장식하였습니다. 김부경을 필두로, 김미선, 서정숙, 최지은 4명의 춤꾼이 이끈 흥겨운 무대였습니다. 왜 교방춤에 굿이 나올까란 의문을 계속 가지고 있었습니다. 알고 보니 우리나라 전통 음악에서 가장 기본이자 중심을 이루는 장단이 굿거리인데, 교방 혹은 권번에서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던 춤이라 해서 교방+굿거리춤이라고 한답니다. 〈교방굿거리춤〉은 두 파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처음에는 차분하면서 끈끈하고, 섬세하면서 애절한 느낌을 주는 장단에 맞추어 노랑저고리에 파란 치마를 입은 김부경 무용수가 느릿하게 독무를 춥니다. 중간에 치마끈을 묶는 것을 신호로 장단과 춤의 분위기가 전환됩니다. 그녀가 바닥에 놓인 소고를 집어 들면 김미선, 서정숙, 최지은 3명의 무용수가 합류하고, 함께 신명 난 소고춤을 추면서 흥의 절정을 향해 질주합니다. 관객들은 무용수들이 원으로 돌면서 소고를 두드리고 추는 춤에 맟추어 손뼉을 치며 하모니를 이루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피날레는 리허설에서 준비한대로 커튼콜 음악에 무용수들이 둘씩 등장했고, 관객들과 교감을 위해 모두 객석으로 내려와 춤을 추며 흥을 돋우었습니다. 관객들과 같이 덩실덩실 춤을 추며 교감을 나눈 것은 훌륭한 마무리였습니다. 극장을 나서는 프랑스 관객들의 표정이 환했고 너무 좋았습니다.


그 다음날 몽펠리에 넬슨 만델라 국제교류의 집에서의 공연은 첫 공연을 무사히 마친 뒤였고, 공연시간도 30분이라서 서울교방 선생님들은 보다 가벼운 마음으로 공연을 준비하였습니다. 도심의 공원을 가로질러 끝 쪽으로 가니 정원이 있는 아름다운 저택이 등장했는데, 그곳이 국제교류의 집이었습니다. 야외 무대가 위치한 곳에 우거진 나무 그늘이 있어 햇볕이 과하지 않았고 시원한 바람도 불어왔습니다. 나무 그늘과 햇빛이 있는 조명, 아름다운 뒷무대가 자연스럽게 조성되었습니다. 공연 시작 전에 남영호 감독님이 한국춤의 미학적 특성을 소개하고, 이번 공연에서 프로듀서 역할을 하신 무용인류학자 최해리 선생님에게 서울교방의 소개를 요청하였습니다. 2회차 공연의 레퍼토리는 〈장고춤〉, 〈민살풀이춤〉, 〈교방굿거리춤〉이었습니다. 지난 밤과 같은 작품이지만 관객들과 보다 친밀하고 자유롭게 교감할 수 있는 무대여서 더욱 좋았습니다. 마지막의 〈교방굿거리춤〉을 보면서 흥겨운 나머지 한 손에 폰을 들고 촬영하면서, 또 한 손으로는 덩실덩실 춤을 추기도 했는데, 선생님들이 그 모습을 보고 재밌다며 사진까지 찍었더군요. 공연 후 한국 스낵과 티를 제공하는 간단한 애프터파티가 마련되었는데, 관객들과 무용수들 간에 자연스럽게 대화도 나눌 수 있고, 관객들의 호기심 어린 질문에도 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지역의 유명한 작곡가는 움직이지 않는 듯하면서도 미묘하게 움직이고 있는 춤을 보면서 소름이 돋더라며, 차후에 서울교방의 무용수들과 즉흥 공연을 해보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저는 이번 서울교방의 몽펠리에 공연에 동행하면서 한국 전통춤의 미학을 계승하면서 현대적으로 발전시켜온 분들이 없었더라면 우리춤은 사라져 버렸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순수한 열정으로 춤을 계속 유지해 오신 분들을 더욱 알고 싶고, 또 널리 알리고 싶어졌습니다. 케이 팝, 케이 드라마로 한류에 대한 글로벌 열품이 일어난 지금, 이제는 한류의 뿌리가 되는 전통 리듬과 춤의 아름다움을 세계 만방에 알릴 수 있도록 더욱 관심을 갖고 지원을 확대해야 할 시점인 것 같습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9-1 (2025.7.5.) Issue

 

Written by Lee Ji-eun (Liberty Law Firm Attorney)

Photos by Lee Ji-eun, Choi Haeree


A Companion Viewing of Seoul Kyobang’s Montpellier Performance


From June 21 to 27, I visited Montpellier, France with members of Seoul Kyobang to help prepare for their performance and had the precious opportunity to watch it from up close. Seoul Kyobang is a training network for dancers that inherits the Kyobang culture that originated from the Kyobangcheong (敎坊廳), an institution that taught performing arts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the dance tradition of the Gwonbeon (券番), an art training center in the modern era, and is led by CEO Kim Kyung-ran. I became a fan of Seoul Kyobang after seeing their performances, including “Kim Kyung-ran-style Kwonbeonchum Yemaek: Banwol (半月)” in September of last year and “Dokgong (獨功) Dokmu (獨舞): Seoul Kyobang 6-person Exhibition” in February of this year. After participating in this Montpellier performance tour,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dance more deeply by watching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actual performance.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Seoul Kyobang’s dance, you need to know about Kim Kyung-ran, who leads Seoul Kyobang. The “Banwol” performance that I saw last year was a performance that covered Seoul Kyobang’s representative repertoire. Kim Kyung-ran was a talented person who graduated from Gyeonggi Girls’ High School and entered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She is a brave person who got married in prison in her fourth year of college to visit her boyfriend who was imprisoned for student activism, and ran away from school on her own to devote herself to the student movement. Although she went to art school, Kim Kyung-ran originally learned dance from a young age, and also learned modern dance in middle school.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ent movement, she also experienced mask dance, nongak, and gut from various regions. In particular, she received a naerim gut from Kim Geum-hwa, the holder of the 〈Seohaean Baeyeonsingut and Daedonggut〉 and became a god’s daughter. She also assisted master Kim Su-ak from Jinju Gwonbeon to pass down the 〈Jinju Gyobanggutgeori Dance〉 and became a practitioner of this dance. Kim Kyung-ran learned gut as a process of learning about the roots of Korean culture. While learning gut, she became convinced that dance was derived from gut, and as she understood the symbolism of dance within gut, she was able to fi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ance. She said that Seungmu, Salpuri dance, and Ipchum, which were the main repertoires of Gwonbeon, independently branched off from the structure of gut. Since the end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90s, Kim Kyung-ran has experienced healing through meditation and training, and in order to expand this personal healing into the realm of social healing, she began to pioneer a new dance scen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using dances from the marginalized regions and local dances. In 2010, she organized a club called Seoul Gyobang with like-minded junior dancers, and while continuing the dance tradition of Kim Su-ak, Jang Geum-do, and Jo Gap-nyeo, who were gwonbeon yegi (gisaengs), she developed a new repertoire that reinterprets traditional dances as modern dances, thereby creating a new traditional dance style of Kim Kyung-ran. She has also been pursuing Seoul Gyobang’s brand performances such as “Holchumjeon” and “Six-injeon.”


By the way, as soon as I returned to Korea, I watched the Netflix hit 〈K-Pop Demon Hunters〉 and thought that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s worn by the main character girl group Huntrix reminded me of the sword dance costumes of female shamans. However, director Maggie Kang revealed in an interview that she created this work thinking of the main character girl group as female shamans because all Korean shamans are women and their role is to ward off evil spirits, which made me think again about the modern meaning of gut.


There were two Seoul Gyobang performances in Montpellier this time. The first performance was held in the small theater of the historic Montpellier Opera House, and the second performance was held on the outdoor stage of the Nelson Mandela International Exchange House. I had a wonderful time observing the rehearsals and preparations for both performances, and going into the dressing rooms to talk to the dance instructors. Due to budget constraints, the Seoul Gyobang instructors brought all their own costumes, instruments, and other items from Korea, and they even did their own makeup. I couldn’t help but admire their passion and courage. Considering the improvisation and livelin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t would have been right to have an accompaniment troupe, but due to budget constraints, I had no choice but to use recorded music, which was disappointing. The teachers arrived two days before me and were preparing for the performance, but since we couldn’t find a separate practice room, I remember practicing the movements and movements of the sogo dance in the park the evening before the performance.


The Montpellier Opera House, where the first performance “Serenade of Korean Dance with Seoul Gyobang” was held on June 23, 2025,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Montpellier, Place de la Comédie. The opera house, which opened in 1888, is located in the center of Montpellier and seems to represent Montpellier’s cultural capabilities. The Seoul Gyobang performance was held in the Salle Molière concert hall, which can accommodate 350 people. The interior of the theater was so beautiful with its large windows, mirrors reflecting them, frescoes inside, and antique decorations. However, since there was no air conditioning, I was disappointed with the lack of cooling on the stage and in the audience, and I was worried that it would affect the concentration of the audience, but it was quite hot and uncomfortable when watching the actual performance.


I was able to follow the teachers to observe the sound and lighting rehearsal and also enter the dressing room. The dressing room right behind the stage was small, but when I followed the hallway, there was a spacious dressing room behind the main theater. This space was comfortable enough to hold a party, with air conditioning, sofas, bean bags, a piano, a refrigerator, and even a bar. So the teachers used the small theater side as a waiting room and the main theater side as a dressing room. I joined them late after visiting the nearby beach with another person who was the main sponsor of this performance, and all I did was get kimbap in the dressing room and run errands to get ice and drinks. And the teachers’ costumes and hair decorations, including hairpins, were so pretty that I took a few shots of their backs.


Twenty minutes before the performance, we left the audience seats and switched to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watching the performance, but the seats were almost full. The person who invited Seoul Gyobang and organized this performance was artistic director Nam Young-ho, a dancer living in France. The citizens of Montpellier are well aware of Director Nam’s contributions to Korean-French cultural exchange, as evidenced by the opening speeches by the deputy mayor in charge of international exchanges in Montpellier and the director of the opera house, as well as the audience’s response.


The performance began with a lively janggu dance called 〈Unbinami (a charming hairline and beautiful eyebrows like a crescent moon)〉 performed by two dancers (Kim Hye-yoon and Park Jeong-hwa). This work is said to be a 12-piece janggu dance reconstructed from a dance handed down from Pyongyang gisaeng Kim Chwi-hong, who is listed in the 『Joseon Miinbogam』 in 1918. Kim Hye-yoon and Park Jeong-hwa showed the delicate and elegant charm of traditional dance along with the dynamic rhythm of the janggu, and the experience of the two dancers who have been working together for a long time was evident.


After the lively janggo rhythm heated up the stage, the 〈Minsalpuri Dance〉, which allowed us to savor the quiet beauty of Korea, followed. Ms. Seo Jeong-suk, who performed this dance, worried in the dressing room that the music would be slow and the costumes would be dull, and that the audience would fall asleep or not respond well, but that was not the case at all. The power of the solo dance that dominated the stage was amazing. Salpuri Dance is usually performed with a long silk towel to ward off evil spirits, but 〈Minsalpuri Dance〉 is performed without a towel. 〈Minsalpuri Dance〉 developed in the Honam region and was passed down through masters such as Jo Gap-nyeo of Namwon Gwonbeon and Jang Geum-do of Gunsan Sohwa Gwonbeon. In this performance, Seo Jeong-suk performed Jang Geum-do’s 〈Minsalpuri Dance〉. Wearing white clothes, her restrained and dignified hand and foot movements to the slow rhythm were attractive. This dance is said to be characterized by holding the breath for a long time while performing each movement, and moving the same hand and foot while breathing softly to achieve harmonious balance of the body. I read a paper that said that the curves and beauty of space, indifference, and body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movements of 〈Minsalpuri Dance〉 are the essence of traditional dance, and there was also an article that interpret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ok of Changes, which was very interesting.


The third order was Kim Mi-seon’s 〈Gu-eum Geommu (口音劍舞)〉. I was curious about the origin of the sword dance, which involves wearing something like a traditional official’s uniform and swinging a sword. I found out that the origin of our sword dance comes from the legend of Hwangchang, a boy from Silla. Hwangchang, a boy from Silla, was famous for his sword dance. It is said that he danced in front of the king of Baekje, threw his sword at him, and killed him, and he also died. It is said that the people of Silla wore his mask and danced to commemorate Hwangchang. It was passed down to the sword dance performed by gisaeng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n 1789, Dasan Jeong Yak-yong wrote a poem titled 〈Mugeompyeonjeungmiin (舞劒篇贈美人)〉 after appreciating the sword dance performed by a gisaeng of Jinju at the Jinju Chokseongnu banquet. It is said that 〈Jinju Geommu〉 which inherited the court sword dance from the rhythm and the way the sword was used to step and dance, originated from Choi Soon-yi, a gisaeng of Jinju Gyobang, who was selected as a court dancer in 1906 and trained at Jangakwon. In 1910, Japan abolished the Gyobang system, and thereafter, gisaengs began to be active centered around gisaeng associations or gwonbeon. It is said that Choi Soon-yi taught sword dance in the form of a group dance by eight people at Jinju Gwonbeon. 〈Jinju Geommu〉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currently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1967 because it is evaluated to have a long history and to have preserved its original form. In addition, Jinju Gwonbeon performed “Uiambyeolje,” a memorial service for Ui-gi Nongae, who threw himself into the battlefield carrying a Japanese general after Jinjuseong was invaded during the Imjin War, and it is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dance at that time was 〈Jinju Geommu〉. Kim Mi-seon danced 〈Gu-eum Geommu〉 as a solo. From the moment she appeared on stage and stood with her head held high, I felt great charisma. Instead of the rich accompaniment of the Samhyeon Yukgak, 〈Gu-eum Geommu〉 relied on a single janggu rhythm and was inspired by the modern female Gu-eum of Master Kim Su-ak. Her dignified dance moves and restrained yet skillful swordplay were very impressive, and her integrity as a patriot was also felt.


The next piece presented was 〈Nongae Byeolgok〉 performed by three dancers, Kim Hye-yoon, Park Jeong-hwa, and Choi Ji-eun. This piece is a re-creation of 〈Nongae Salpuri〉 performed by Kim Su-ak in “Uiam Byeolgyeolje” into a creative dance by Seoul Gyobang’s CEO Kim Gyeong-ran. It is a beautiful salpuri dance that narrates the tragic life of Nongae, a hero of the Joseon Dynasty, and symbolizes the strong lives of Korean women. The dancers freely threw, wrapped, and released white towels as if expressing various emotions and narratives, and the dance movements were fantastic, and the audience was completely absorbed in the beauty of Korean dance.


The last stage was decorated with 〈Gyobang Gutgeori Dance〉. It was an exciting stage led by four dancers, Kim Bu-gyeong, Kim Mi-seon, Seo Jeong-suk, and Choi Ji-eun. I kept wondering why a gut is included in Gyobang Dance. As it turns out, the most basic and central rhythm in our country's traditional music is gutgeori, and it is called gyobang + gutgeori dance because it is a dance performed to the gutgeori rhythm in gyobang or gwonbeon. 〈Gyobang Gutgeori Dance〉 consists of two parts. At first, dancer Kim Bu-gyeong, wearing a yellow jacket and blue skirt, slowly dances solo to a rhythm that is calm and tense, delicate and sorrowful. In the middle, the rhythm and the mood of the dance change with the signal of tying the skirt string. When she picks up the sogo on the floor, three dancers, Kim Mi-sun, Seo Jeong-suk, and Choi Ji-eun, join in, and they dance the sogo dance together, rushing toward the peak of excitement. The audience couldn't hide their excitement as they clapped their hands to the rhythm of the dancers circling around, beating the sogo and dancing.


The finale was a great ending, with two dancers appearing to the curtain call music as prepared in the rehearsal, and all of them came down to the audience and danced to liven up the atmosphere. It was a great ending to dance and interact with the audience. The expressions on the faces of the French audience leaving the theater were bright and wonderful.


The next day, the performance at the Nelson Mandela International Exchange House in Montpellier was after the first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time was 30 minutes, so the Seoul Gyobang teachers prepared the performance with a lighter heart. As we crossed the park in the city center and went to the end, a beautiful mansion with a garden appeared, which was the International Exchange House. The outdoor stage was located under the shade of thick trees, so the sunlight was not too strong, and a cool breeze was blowing. The shade of the trees, the lighting with sunlight, and the beautiful backstage were naturally created. Before the performance began, Director Nam Young-ho introduc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and asked dance anthropologist Choi Hae-ri, who served as the producer for this performance, to introduce Seoul Gyobang. The repertoire for the second performance was 〈Janggo Dance〉 〈Minsalpuri Dance〉 and 〈Gyobang Gutgeori Dance〉. It was the same piece as last night, but it was even better because it was a stage where we could interact more intimately and freely with the audience. While watching the last 〈Gyobang Gutgeori Dance〉, I was so excited that I held my phone in one hand and took pictures while dancing with the other hand. The teachers found it funny and even took pictures of me. After the performance, a simple after-party was held where Korean snacks and tea were provided, which provided a chance for the audience and dancers to naturally converse and answer the audience’s curious questions. A famous local composer said that he got goosebumps watching the dance that seemed to be still but was moving subtly, and expressed his desire to do an impromptu performance with Seoul Gyobang dancers in the future.


While accompanying the Montpellier performance of Seoul Gyobang, I thought that if there had not been those who inherited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developed it in a modern way, our dance would have disappeared. I wanted to know more about those who have continued to dance with pure passion, and I wanted to make them more widely known. Now that the global craze for the Korean Wave has occurred due to K-pop and K-dramas, I think it is time to pay more attention and expand support so that the beauty of traditional rhythms and dances, which are the roots of the Korean Wave, can be known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