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양민아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연구교수)
들어가며: 춤으로 읽는 전환의 시대, ‘훌리히아(Hulihia)’
2025년 5월 19일부터 6월 1일까지 하와이대학교 마노아 캠퍼스에서 Asia Pacific Dance Festival(APDF)은 ‘훌리히아’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몸을 통해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여정이었다. 하와이어로 '뒤집다, 전복하다,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다'는 뜻의 ‘훌리히아’는 개인과 공동체, 역사와 문화, 기억과 정체성에 이르는 다양한 층위의 변화를 춤이라는 언어로 풀어내도록 이끌었다. 이번 페스티벌은 단지 무용의 축제를 넘어, 전환의 시대에 춤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과 응답의 장이자, 그 자체로 하나의 공동체적 이벤트였다. 공연 중심의 축제를 넘어 학술적 사고와 신체적 참여,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다층적 문화 경험을 제공하는 APDF는 2011년 하와이대학교 아웃리치 칼리지와 동서 문화 센터(East-West Center)가 공동으로 시작하여 격년으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표적인 예술 플랫폼이다.
APDF는 공연, 교육, 학술이 유기적으로 얽힌 입체적 구성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크게 레지던시 아티스트가 이끄는 집중 교육 프로그램, 대표 공연 ‘이케하나(Ike Hana) I & II’, 그리고 3일간의 국제 학술대회로 나뉘었다. 특히 집중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권의 전통 춤을 배우고, 그 배경과 의미를 몸을 통해 이해하는 실천의 공간이었다. 참가자들은 단순한 수강생이 아닌 적극적인 공동 창작의 주체로서 프로그램 말미에는 ‘이케 하나’ 무대에도 직접 참여했다.
이케 하나: "보고, 경험하고, 이해하는 몸“
‘이케 하나(’Ike Hana)’는 하와이어로 "보고(‘ike), 경험하고, 이해하는(hana) 몸"을 뜻하며, 공연을 통한 인식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장이었다. 올해는 하와이 훌라 그룹 Hālau Pua Ali‘i ʻIlima, 피지의 Rako Pasefika, 인도/캐나다의 Arzoo Dance Theatre가 참여해, 각기 다른 문화적 맥락과 정체성을 반영한 무대를 선보였다. 하와이 훌라는 퀸 엠마와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에 헌정된 전통 훌라부터 서구 음악과 접목된 현대 훌라까지 다양한 형식을 통해 식민주의와 문화 보존의 문제를 환기시켰다. Rako Pasefika는 로투마 여성 전사들의 신화를 통해 치유와 공동체 회복의 서사를 펼쳤고, Arzoo Dance Theatre는 인도계 헝가리 화가 암리타 셰르길의 정체성과 여성성의 고민을 카탁 춤을 해체하고 재구성한 무대로 풀어냈다. 공연 후 이어진 'Talk Story'에서는 창작자와 관객이 직접 만나 창작의 맥락과 감상을 공유하며 깊은 교감을 나눌 수 있었다.
집중 교육 프로그램: 움직임을 통한 다문화 교육
유럽의 유명 무용 페스티벌에서 컨템포러리 전문 무용단들의 신작 또는 대표작 감상과 안무가와의 대담 등의 전문 무용인 중심의 프로그램에 익숙한 필자에게, APDF의 집중 교육 프로그램은 인상적인 전환이었다. 특히 미국 대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춤을 몸소 익히고, 그 속의 역사와 정신을 이해하며, 타 문화의 동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은 예술교육의 이상적인 장면이었다.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닌, 몸을 통해 사유하고 연대감을 형성하며, 나아가 공연 무대까지 함께 오르는 경험은 차세대 무용인과 문화주체를 양성하는 데 있어 매우 유의미한 방식임을 체감할 수 있었다.
학술 컨퍼런스: 춤, 기억, 저항의 언어
학술 컨퍼런스는 'Hulihia'라는 주제 아래 '불안정성을 수행하기(Performing Precarity)', '몸으로 구현된 혁명들(Embodied Revolutions)', '소리와 춤으로 되살리는 조상의 기억(Sounding and Dancing Ancestral Memory)' 등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예컨대, 에이미 리우 (Amy Liu, 미시건 대학교)는 중국 윈난 지역의 테마 레스토랑에서 공연되는 민속춤을 통해 전통의 재현과 상업화의 교차점을 분석했고, Pawinee Boonserm(탐마삿 대학교)은 태국 전통 가면극 콘(Khon)의 제도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보존을 제안했다.
인상 깊었던 발표 중 하나는 Li Chiao-Ping Dance(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의 발표였다. 이들이 소개한 댄스 필름 작품 〈기원(Provenance)〉과 〈결코 잃지 않는다(Never Lost)〉는 미국 내 아시아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세대 트라우마, 정체성의 회복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었다. 특히 〈결코 잃지 않는다〉는 어린 시절 미국으로 입양된 한국계 미국인이 엄마로, 여성으로, 무용가로 성장하며 정체성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백한 움직임과 영상으로 풀어내 관객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또한 리사 푸질로(Lisa Fusillo, 조지아 대학교)는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이 지난 110년 동안 세계 각지에서 29개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며, 이 작품이 시대적 전환의 신체적 재현 방식과 전복적 의미를 어떻게 담아왔는지를 조명했다. 그녀는 이를 통해 춤이 예술 양식을 넘어, 강력한 사회적 언어로 기능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필자 역시 본 컨퍼런스에서 ”한인 문화간 교류를 통한 최승희 춤의 다층적 수용과 재구성”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1950–60년대 중앙아시아에서 북한 예술가들에 의해 고려인 예술가들에게 전수된 최승희 춤의 현지화 과정을 통해 문화 전파와 재구성의 사례를 고찰했다.
Talk Story: 열린 대화, 공동 사유의 공간
6월 1일 오전, Kennedy Theatre 옆에서 열린 Talk Story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컨퍼런스 발표자, 인텐시브 참여 학생, 하와이대학교 관계자들이 고루 섞여 팀을 이루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훌리히아’의 대주제 아래 제공된 다양한 질문들에 대해 각 팀은 타인의 말을 경청하며 열린 자세로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춤이 전환의 시대에 어떻게 응답할 수 있을지, 전통은 어떻게 현재를 향해 살아 움직일 수 있을지, 춤은 공동체 회복의 언어가 될 수 있을지를 함께 고민하는 시간은 단순한 학술 토론 이상의 울림을 주었다.
나가며: 몸으로 기억하고, 몸으로 사유하고, 몸으로 연결되는 예술
올해 APDF는 단지 춤을 ‘보는’ 축제가 아니라, 춤을 통해 세계와 나 자신을 ‘다시 보는’ 시간이었다. 공연은 전통춤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했고, 교육은 문화를 몸으로 이해하게 했으며, 컨퍼런스는 춤과 사회가 만나는 지점을 예리하고도 섬세하게 짚어냈다. 즉 APDF는 몸을 통한 전환의 예술’을 실천한 페스티벌 이었다. 무엇보다 이 페스티벌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남긴다. “우리가 바꿔야 할 시스템은 무엇인가?”, “춤은 변화의 언어가 될 수 있는가?”, “몸은 어떻게 기억하고, 전환하고, 연대하는가?”
그 질문에 대한 해답은 어쩌면 이미 그 자리에 있었던 춤추는 몸들 속에 담겨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대전환의 시대에 춤이 기억이자, 저항이며, 사유이고, 치유이며, 다음 세대에게 건네는 가장 아름다운 유산될 수 있기를 ...”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Mina Yang
(Chung-Ang University, Institute for Historical Studies, Research Professor)
Embodied Transformations: A Reflection on the 2025 Asia Pacific Dance Festival
Introduction: Reading an Era of Transformation through Dance, 'Hulihia’
From May 19 to June 1, 2025, the Asia Pacific Dance Festival (APDF) was held at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unfolding as a journey that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transformation through the body under the theme "Hulihia" — a Hawaiian word meaning "to turn upside down, to overturn, to undergo a fundamental change." This evocative term framed the festival as a journey to explore transformation through the body. It became a space where dance not only served as a form of artistic expression but also posed pressing questions about identity, community, history, and memory in a rapidly changing world.
Since its founding in 2011 by the University of Hawai‘i Outreach college and the East-West Center, APDF has been held biennially as a leading multicultural arts platform in the Asia-Pacific region. The festival is distinguished by its multilayered structure that integrat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scholarship. The 2025 edition featured three core components: an intensive dance education program led by residency artists, the signature performance series "Ike Hana I & II," and a three-day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Particularly notable wa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intensive program, where they not only learned diverse traditional dances but also engaged 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behind the movements. At the culmination of the program, participants even took the stage in the final "Ike Hana" performance.
ʻIke Hana: The Body that Sees, Experiences, and Understands
ʻIke Hana, which means "the body that sees, experiences, and understands" in Hawaiian, was one of the festival's central performance events. This year, the stage welcomed Hālau Pua Ali‘i ʻIlima (Hawai‘i), Rako Pasefika (Fiji), and Arzoo Dance Theatre (India/Canada). Each group brought its unique cultural lens and embodied histories. The Hawaiian hula company presented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ieces, including dedications to Queen Emma and Queen Lili‘uokalani, illuminating the tension between colonialism and cultural preservation. Rako Pasefika narrated a legend of female warriors from Rotuma, emphasizing themes of healing and community recovery through movement. Arzoo Dance Theatre reimagined kathak through the lens of Amrita Sher-Gil, an Indian-Hungarian painter whose reflections on identity and womanhood were compellingly translated into dance. Each performance was followed by a "Talk Story" session, where artists and audiences engaged in direct dialogue, deepening mutual understanding. The final scene of the performance featured students from the intensive program joining the artists on stage, symbolizing a truly communal act of creation and learning.
Intensive Program: Embodied Multicultural Education
Having been accustomed to European contemporary dance festivals that focus on polished works by professional companies and choreographer-led artist talks, I found APDF’s intensive education program to be a refreshing shift. Here,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were immersed in traditional dances from diverse cultures, not merely to master technique but to comprehend the embedded histories, values, and identities. These students approached the program not as passive recipients but as active participants, fostering cross-cultural dialogue and solidarity through movement. Their participation in the final "Ike Hana" performance underscored the transformational potential of this program in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dance artists and cultural thinkers.
Academic Conference: Dance as Memory, Resistance, and Language
The academic conference unfolded under the broader theme of "Hulihia," with session titles such as "Performing Precarity," "Embodied Revolutions," and "Sounding and Dancing Ancestral Memory." Amy Liu (University of Michigan) examined how folk dance performed in Yunnan's theme restaurants reflected both commodification and re-articulation of tradition. Pawinee Boonserm (Thammasat University) propos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hai masked dance Khon as a model for sustaina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One of the most memorable presentations came from Li Chiao-Ping Danc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which introduced the dance films 〈Provenance〉 and 〈Never Lost〉. These screen-dance works addressed themes of migration, generational trauma, and identity reclamation within the Asian diaspora in the United States. Particularly moving was 〈Never Lost〉, which chronicled the life of a Korean adoptee growing up in America as a woman, mother, and dancer. Her narrative, rendered through quiet, poignant movements, deeply resonated with the audience.
Lisa Fusillo (University of Georgia) examined how Stravinsky's 〈The Rite of Spring〉 has been reinterpreted in 29 different productions across the world over the past 110 years. She highlighted how these works have embodied radical shifts and subversive meanings through the dancing body, emphasizing that dance can function as a powerful social language beyond its role as a mere artistic form. My own presentation, titled "Multifaceted Appropriations and Reinterpretations of Choi Seung-hee’s Dance through Inter-Korean Cultural Exchanges," examined how Korean diaspora artists in Central Asia adapted Choi’s choreography during the 1950s and 60s through training with North Korean artists, demonstrating dance as a dynamic and localized cultural text.
Talk Story: Open Dialogue and Shared Reflection
On the morning of June 1, a roundtable discussion called Talk Story gathered conference presenters, intensive students, and faculty in mixed teams. Prompted by questions like “What systems of practices need to be overthrown to enable transformation?”, participants engaged in vibrant, respectful conversations. The setting emphasized collective thinking and open listening, inviting all to consider how dance might respond to contemporary crises, reposition tradition, and restore community.
Conclusion: Remembering, Thinking, and Connecting through the Body
The 2025 APDF was more than a festival of dance to watch; it was an invitation to re-view the world and ourselves through dance. The performances interrogated what traditional dance means today. The education program facilitated a physical and cultural immersion. The conference critically examined the interface between dance and society. Altogether, the festival enacted a form of "art through embodied transformation.“
Most importantly, it left us with enduring questions: What systems must be changed? Can dance become a language of transformation? How does the body remember, revolt, and relate? Perhaps the answers already resided in the dancing bodies we encountered throughout the festival.
“In this era of great transformation, may dance endure as memory, rise as resistance, unfold as reflection, and heal as balm—becoming the most beautiful legacy we pass on to the next generation.”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