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현장

포커스

‘김묘선의 인연’, 헌정 그 이상의 무대

포커스

Vol.119-2 (2025.7.20.) 발행


글_ 임희정(대전시립무용단 단원)

사진제공_ 김묘선무용단




지난 7월 12일 부산국립국악원 연악당에서 있었던 공연 ‘김묘선의 인연’은 단순한 〈승무〉 전승자 기획 무대가 아니었다. 전통춤의 거목이었던 이매방 선생님의 타계 10주기와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는 ‘헌정’ 무대 그 이상이었다. 그날 공연은 이매방의 예술정신을 가슴에 새기며 그의 춤으로 살아가는 제자들의 고백이자, 이매방 춤의 숨결을 되살리는 깊은 울림의 무대였다.


‘김묘선의 인연’은 김묘선 선생님의 예술 철학과 안목이 하나의 큰 흐름을 만들며 공연 전체를 조율했다. 이번 공연에는 〈승무〉를 비롯해서 〈영남산조춤〉, 〈화랭이춤〉, 〈사풍정감〉, 〈살풀이춤〉, 〈장고춤〉, 〈소고춤〉 등 한국춤의 진수가 펼쳐졌으며, 명창 송재영(전라북도 무형유산 동초제 〈심청가〉 예능보유자)의 〈춘향가〉까지 더해지며 전통예술의 깊이를 온전히 체감할 수 있었다. 공연의 연출을 맡았던 전 부산시립 무용단 상임안무자 홍기태 선생님은 전체 작품을 하나의 흐름으로 조화롭게 엮어내며 공연의 중심축을 세웠다. 각 작품의 색과 결이 살아 있으면서도 공연 전체가 하나의 이야기처럼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홍기태 선생님의 통찰력 있는 연출과 세심한 감각 덕분이었다. 그는 무대 위의 작은 호흡, 장단의 고저, 전수자들의 심리적 흐름까지 세심히 조율하며, ‘이매방류 춤의 정신’을 공연 전체에 자연스럽게 녹여냈다.



공연의 서막을 연 작품은 〈승무〉였다. 염불장단에서는 홍기태, 박덕상, 이인태 선생님들이 무대에 올라 중후한 무게감으로 시작을 열었다. 깊이 있는 장단과 함께 울리는 법고 소리는 이매방 선생님의 숨결을 그대로 되살려내는 듯했다. 이어 타령장단에서는 이규운 선생님을 비롯한 네 분의 남자 전수자들이 등장해 흐름을 이었고, 도드리장단부터는 정진욱 교수님 포함해 39명의 전수생이 무대를 가득 채우며, 〈승무〉의 절정을 만들어냈다. 각자의 몸짓은 다를지언정, 그날 무대 위 전수생들의 마음은 하나였다. 오랜 시간 품어온 스승에 대한 존경, 전통을 이어야 한다는 책임감, 그리고 이 자리에 설 수 있음에 대한 감사가 춤사위 하나하나에 배어 있었다. 장삼 끝이 흩날릴 때마다, 고요한 발디딤이 장단 위에 포개질 때마다,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마음의 결이 무대를 가득 메웠다. 그 결은 곧 김묘선 선생님의 가르침이자, 이매방 선생님께 바치는 진실한 경의였다.


두 번째 무대는 경남대학교 정진욱 교수가 선보인 〈영남산조춤〉이었다. 이 작품은 최현 선생님이 창작한 1991년의 산조춤을 바탕으로, 정진욱 교수님이 영남 지역 특유의 춤사위를 접목해 재탄생시킨 홀춤이었다. 정진욱 교수님의 춤사위에는 세월의 흔적이 쌓인 내공과 지역성이 녹아 있었으며, 섬세한 몸짓과 묵직한 리듬은 보는 이들의 마음을 절로 집중하게 했다. 특히, 발디딤과 호흡의 흐름 속에서 드러난 춤의 여백과 긴장감은 “홀춤의 깊이란 무엇인가?”를 되묻게 했다. 움직임 하나하나에 담긴 농익은 감정과 절제된 표현은, 단순히 개인의 기량을 넘어 전통을 현재로 살아 숨 쉬게 하는 춤의 존재 방식을 보여주었다. 〈영남산조춤〉은 이날의 무대가 단순한 전승의 자리를 넘어서 개인 해석과 시대 감각을 아우르는 예술의 현장이었음을 분명히 보여준 순간이었다.



세 번째로 무대에 오른 작품은 국수호 선생님이 안무한 〈화랭이춤〉이었다. 원래 ‘화랭이’는 경기도당굿에서 모든 굿거리를 주관하는 남자 무당 혹은 ‘창부’라고 불리는 인물로, 제의와 예술의 경계에 선 상징적 존재다. 〈화랭이춤〉은 굿의 제의성과 리듬을 바탕으로 화랭이의 존재감을 앞세워 힘차고도 거침없이 남성적 에너지를 발산하는 춤이다. 무대 위에 선 17명의 전수자는 굿의 흐름을 이끌며 다양한 장단과 신명의 결을 몸으로 풀어냈고, 역동적인 발디딤과 휘몰아치는 장삼의 움직임 속에서 깊은 토속성과 극적 긴장감을 함께 전달했다.


뒤이어 펼쳐진 〈사풍정감〉은 사계절의 정서와 삶의 결을 담은 작품으로 7명의 남자 전수생이 멋들어진 춤사위로 남성 전통춤의 묘미를 맛깔스럽게 보여주었다. 계절마다 변해가는 자연의 흐름처럼, 춤도 때로는 부드럽고 서정적으로, 때로는 강하고 절제된 감정으로 관객의 심리를 흔들었다.




이어진 〈살풀이춤〉은 원래 김묘선 선생님께서 직접 출 예정이었으나, 안타깝게도 공연을 앞두고 손목 부상을 당해 정진욱 교수님을 비롯한 4명의 제자가 대리로 무대에 올랐다. 제자들은 스승의 마음을 가슴에 품고, 마치 수를 놓듯 발디딤 하나하나에 정성을 다해 춤을 이었다. 제자와 스승이 함께 만든 정신적 유산이자, 무형문화의 깊이를 새삼 실감하게 했다. 슬픔과 존경, 그리고 책임이 섞인 그 춤사위는 무형의 춤 유산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를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뒤이어 대전의 전수자 7인이 출연한 〈장고춤〉은 목원대학교 최은정 교수님을 중심으로 펼쳐졌다. 이 춤에는 이매방류 특유의 정제된 춤사위와 깊은 장단의 이해, 절제 속의 강인한 에너지가 고스란히 살아 있었다. 장고는 단순한 악기를 넘어 무용수의 감정과 혼을 담는 매개체였고, 그 안에서 춤은 더욱 완전해졌다. 이 공연을 위해 송재영 선생님께서 〈춘향가〉로 특별출연하였다. 소리와 몸짓이 어우러진 이 무대는 이날 공연의 정서를 절묘하게 수렴하며 마무리되었고, 전통예술의 확장성과 감성적 깊이를 동시에 보여준 진귀한 순간이었다.




마지막 무대는 〈소고춤〉으로 연출하였다. 이 춤은 1989년 국립국악원의 ‘중요무형문화재 초청공연’에 선정되었던 김묘선 선생님의 작품이다. 우면당에서 초연된 이후에 〈김묘선류 소고춤〉으로 이어져 왔다. 소고춤의 다양한 리듬과 형식이 어우러진 가운데 김묘선 선생님만의 독특한 춤사위와 흥의 정신이 도드라졌으며, 전수자들의 내공과 기량이 어우러져 무대는 더욱 깊은 울림으로 채워졌다.


이번 공연을 통해 놀라움과 감동을 표현한 관객이 많았는데 시각적, 예술적 완성도에 대한 찬사가 끊이지 않았다. “군무인데도 각자 색깔이 살아있었다.”는 반응과 “춤이 이렇게 사람을 엮어내는 줄 몰랐다.”는 등 무언의 공감대를 느낀 관객들이 많았다. 공연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모두가 흘린 땀과 인내는 결코 가볍지 않았다. 각자 남모를 희생을 감수했으며, 이는 춤을 대하는 자세이자 정신이 되어 무대 위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났다. 바로 그 자세, 그 정신이 그날의 무대를 성공적으로 이끈 가장 큰 힘이었다. 


‘김묘선의 인연’은 이매방 선생님을 기리는 무대이면서, 동시에 내게는 나 자신을 다시 춤추게 만든 ‘부활의 순간’이었다. 필자는 현재 대전시립무용단에서 활동하며 수많은 작품을 마주해왔다. 무대 위에서 유사한 춤을 추다 보니 점차 틀에 갇히고, 무용수로서 해야 할 역할이 정해진 움직임을 정확히 ‘맞추는 일’로 변해갈수록 내 안에는 채워지지 않는 갈증이 자라났다. “이것이 과연 내가 꿈꾸던 춤일까?” 기계적인 춤을 반복해서 추면서 내가 사랑했던 춤의 본질은 무엇인지, 점점 더 혼란스러워졌다. 그즈음에 김묘선 선생님을 만났다. 이번 무대에 참여하며, 그동안 적체되어 가던 나의 갈증은 놀랍도록 사라졌다. 김묘선 선생님의 가르침은 기술을 넘어 마음과 몸을 하나로 이끄는 지도였고, 우리가 함께한 춤은 단지 ‘동작을 맞춘 것’이 아니라 하나의 숨결, 하나의 결로 이어진 생명이었다.


무엇보다도 이 공연이 더욱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 이유는 무대 위의 완성도 그 너머에 있었다. 전국은 물론 해외 각지에서 모인 전수자들은 각자 다른 지역성과 표현의 결을 지니고 있었지만, 김묘선 선생님의 지도로 자연스럽게 하나의 춤결로 연결되었다. 모양새는 다르지만, 정신과 호흡이 하나로 이어진 그 장면은 너무도 신기하고 감동적이었다. 이처럼 다양함 속에서 만들어진 통일성은, “무엇이 전통춤을 살아 있게 하는가”에 대한 강력한 응답이었다.


부산 공연의 뜨거운 감동에 이어, 앞으로 대전·서울·인천 등 전국 여러 지역에서 감동의 무대를 이어갈 것이다. 춤은 멈추지 않고 흐르고, 그 결은 더 많은 사람에게 닿을 것이다. ‘김묘선의 인연’, 그 춤의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Lim Hee-jung (Daejeon City Dance Company Member)

Photo provided by Kim Myo-sun Dance Company


‘Kim Myo-sun’s Inyeon’, a stage that is more than a tribute


The performance ‘Kim Myo-sun’s Inyeon’ held at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Yeonakdang on July 12 was not a simple stage planned by the successor of 〈Seungmu〉. It was more than a ‘tribute’ stage commemorating the 10th anniversary of the passing of Lee Mae-bang, a master of traditional dance,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The performance that day was a confession of students who live by Lee Mae-bang’s dance while engraving his artistic spirit in their hearts, and a stage that resonated deeply, reviving the breath of Lee Mae-bang’s dance.


‘Kim Myo-sun’s Inyeon’ was orchestrated by Kim Myo-sun’s artistic philosophy and vision, creating a large flow and orchestrating the entire performance. This performance showcased the essence of Korean dance, including 〈Seungmu〉, 〈Yeongnam Sanjo Dance〉, 〈Hwarangi Dance〉, 〈Sapungjeonggam〉, 〈Salpuri Dance〉, 〈Janggo Dance〉, and 〈Sogo Dance〉. With the addition of 〈Chunhyangga〉 by master singer Song Jae-young (holder of the Jeollabuk-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ngchoje 〈Simcheongga〉), the depth of traditional art could be fully experienced. Hong Ki-tae, former permanent choreographer of the Busan City Dance Company, who directed the performance, harmoniously woven the entire work into a single flow and established the central axis of the performance. The fact that the color and texture of each work were alive while the entire performance was able to continue as one story was thanks to Hong Ki-tae’s insightful directing and meticulous sense. He meticulously adjusted the small breathing on stage, the highs and lows of the rhythm, and the psychological flow of the trainees, and naturally incorporated the ‘spirit of Imaebangryu dance’ into the entire performance. 


The opening piece of the performance was 〈Seungmu〉. In the Yeombuljangdan, teachers Hong Ki-tae, Park Deok-sang, and Lee In-tae came on stage and started off with a heavy sense of weight. The sound of the beopgo, which resonated with the deep rhythm, seemed to revive the breath of teacher Lee Mae-bang. Then, in the Taryeongjangdan, four male trainees including teacher Lee Gyu-un appeared and continued the flow, and from the Dodurijangdan, 39 trainees including Professor Jeong Jin-wook filled the stage, creating the climax of 〈Seungmu〉. Although each person’s gestures were different, the hearts of the trainees on stage that day were one. Respect for the teacher they had cherished for a long tim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continue the tradition, and gratitude for being able to stand here were imbued in each dance step. Every time the ends of the long robes fluttered, every time the quiet steps were covered over the rhythm, the invisible knots of the heart filled the stage. The conclusion was the teachings of Professor Kim Myo-seon and a sincere tribute to Professor Lee Mae-bang.


The second stage was 〈Yeongnam Sanjo Dance〉 presented by Professor Jeong Jin-wook of Kyungnam University. This work was a solo dance that Professor Jeong Jin-wook recreated by grafting the unique dance movements of the Yeongnam region onto the Sanjo Dance created by Professor Choi Hyeon in 1991. Professor Jeong Jin-wook’s dance movements were imbued with the inner strength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ccumulated over time, and the delicate gestures and heavy rhythm naturally focused the hearts of the viewers. In particular, the space and tension of the dance revealed in the flow of footwork and breathing made us ask, “What is the depth of solo dance?” The mature emotions and restrained expressions contained in each movement showed the way of dance that goes beyond mere individual skills and makes tradition alive and breathing in the present. 〈Yeongnam Sanjo Dance〉 was a moment that clearly showed that the stage that day was a place of art that went beyond a place of simple transmission and embraced personal interpretation and a sense of the times.


The third piece to be performed was 〈Hwarangi Dance〉 choreographed by Kook Su-ho. Originally, ‘Hwarangi’ was a male shaman or ‘prostitute’ who presided over all the rituals in Gyeonggi-do Danggut, and was a symbolic figure standing on the border between ritual and art. 〈Hwarangi Dance〉 is a dance that powerfully and boldly exudes masculine energy based on the ritual and rhythm of the ritual and the presence of Hwarangi. The 17 trainees on stage led the flow of the ritual and expressed various rhythms and the knots of spirit with their bodies, conveying deep locality and dramatic tension through dynamic footwork and swirling movements of the long robes.


〈Sapungjeonggam〉, which followed, was a piece that contained the emotions of the four seasons and the knots of life, and the seven male trainees showed off the charm of traditional male dance with their splendid dance moves. Just like the flow of nature that changes with each season, the dance sometimes moved the audience's mind with gentle and lyrical emotions, and sometimes with strong and restrained emotions.


The following 〈Salpuri Dance〉 was originally scheduled to be performed by Professor Kim Myo-sun herself, but unfortunately, she broke her wrist before the performance, so four students including Professor Jeong Jin-wook took the stage as her substitutes. The students carried their teacher's heart in their hearts and danced with sincerity in each step as if they were embroidering. It made us realize anew the depth of the spiritual heritage and intangible culture that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created together. The dance steps, which were a mixture of sadness, respect, and responsibility, were a scene that showed how the intangible dance heritage lives and breathes.


The 〈Janggo Dance〉, which was followed by seven Daejeon masters, was performed by Professor Choi Eun-jung of Mokwon University. This dance fully embodied the refined dance steps, deep understanding of rhythm, and strong energy within restraint that are characteristic of Lee Mae-bang. Janggo was not just a simple instrument, but a medium that contained the emotions and soul of the dancer, and the dance became more complete within it. For this performance, Mr. Song Jae-young made a special appearance with 〈Chunhyangga〉. This stage, where sounds and gestures were combined, exquisitely captured the emotions of the performance that day and concluded, and it was a rare moment that simultaneously showed the expansiveness and emotional depth of traditional art.


The last stage was performed with 〈Sogochum〉. This dance is a work by Mr. Kim Myo-seon that was selec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vitational Performance”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1989. It was first performed at Umyeondang and has since been passed down as 〈Kim Myo-seon-style Sogochum〉. Amid the various rhythms and forms of Sogochum, Mr. Kim Myo-seon’s unique dance moves and spirit of excitement stood out, and the masters’ skills and inner strength combined to fill the stage with even deeper resonance.


Many audience members expressed surprise and emotion through this performance, and there was endless praise for the visual and artistic perfection. Many audience members felt a sense of unspoken empathy, such as, “Even though it was a group dance, each person had their own unique color,” and “I didn’t know dance could bring people together like this.” The sweat and perseverance that everyone shed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performance was by no means light. Each person made sacrifices that no one else knew about, and this naturally emerged on stage as an attitude and spirit toward dancing. That attitude and spirit were the greatest forces that led the stage to success that day.


‘Kim Myo-sun’s Destiny’ was a stage that honored Mr. Lee Mae-bang,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moment of resurrection’ that made me dance again. I am currently working at the Daejeon City Dance Company and have encountered numerous works. As I continued to dance similar dances on stage, I gradually became confined to a mold, and as my role as a dancer became ‘matching’ the movements that were set, an unquenchable thirst grew within me. “Is this really the dance I dreamed of?” As I continued to dance mechanical dances, I became increasingly confused about the essence of the dance I loved. Around that time, I met Master Kim Myo-sun. While participating in this performance, my thirst that had been pent up for a long time surprisingly disappeared. Master Kim Myo-sun’s teachings were guidance that led the mind and body together beyond technique, and the dance we did together was not just ‘matching movements’ but a life that was connected by one breath and one knot.


Above all, the reason why this performance resonated so deeply was because it was beyond the perfection on stage. The trainees who gathered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even overseas each had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knots of expression, but under Master Kim Myo-sun’s guidance, they naturally connected as one dance knot. Although the shapes were different, the scene where the spirit and breathing became one was so amazing and moving. The unity created in such diversity was a powerful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makes traditional dance alive?”


 

Following the passionate emotion of the Busan performance, we will continue to present moving stages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Daejeon, Seoul, and Incheon. The dance will continue to flow without stopping, and its knots will reach more people. ‘Kim Myo-seon’s Destiny’, the journey of dance is not over yet.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