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비평문은 2025년도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지역공연 비평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포커스
Vol.121-2 (2025.9.20.) 발행
글_ 김수인(무용이론가)
사진제공_ 부산오페라발레단
몽환적인 바다를 동화처럼 그려낸 〈Shining Wave〉는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의 오프닝공연으로 2024년 11월에 초연된 작품이다.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의 예술감독 김주원이 2025 대한민국발레축제의 총 예술감독을 맡아 동일 작품이 6월 4일 서울의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에서 공연되었다. 〈Shining Wave〉는 부산시립무용단 이정윤 안무가와 발레리나 출신 박소연 안무가가 공동 안무한 작품으로, 정영 시인의 시 8편을 연시를 바탕으로 손성제가 작곡 및 편곡한 음악에 맞추어 펼쳐진다.
제일 먼저 천장에서부터 바닥까지 늘어뜨려진 반투명한 흰 천들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 천들은 배경 이미지를 투사하는 스크린의 역할을 하면서 무용수들의 등퇴장에 이용되기도 하고, 때로는 무대 앞과 뒤의 장면을 구분하는 기능을 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뿐만아니라 그 자체로 떨어지는 폭포수나 심해로의 잠수처럼 수직적인 깊이감을 전달하기도 하였고, 그 천들의 부드러운 흔들림이 깊은 바다의 고요한 물결같이 느껴지기도 하는 등 단순한 무대장치가 아닌 미학적으로 다층적인 의미를 표현하였다.
여기서도 감지되듯이 〈Shining Wave〉는 바다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 부산 지역에 기반을 둔 발레단으로서 지역의 특성을 뚜렷하게 내세우려는 기획의도가 감지된다. 모티브가 된 정영 시인의 시는 소녀와 고래 그리고 바다를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기원과 어린아이의 꿈을 표현했다고 하는데, 이번 공연에서 사용된 전자 프로그램에서는 원작 시가 제공되지 않아 시의 어떤 내용을 안무적으로 표현했는지 알 수 없어 아쉬웠다. 이 시를 바탕으로 하여 발레에서는 고래와 소녀라는 두 주요 캐릭터를 중심으로 바다의 정령들 군무와 고래잡이 선원들을 출연진으로 설정하였다. 이날 공연에서는 고래 역에 이은수, 소녀 역에 정혜윤이 출연하였다.
작품 전체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암각화 이미지는 이 바다가 한국의 역사이자 문화의 일부임을 일깨운다.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울산 반구대 암각화는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에 고래를 중심으로 한 해양동물의 모습과 생태 및 사냥방법 등을 새긴 것으로 한반도의 삶을 추적할 수 있는 귀한 문화유산이다. 〈Shining Wave〉는 이런 암각화를 상기시키는 이미지를 활용해서 공연자의 그림자를 영상으로 투영하는데, 아마도 실시간 송출일 것으로 짐작되는 이 이미지가 공연자의 모습을 거꾸로 비춰서 그림자와 함께 대칭으로 움직이는 무용수의 모습이 마치 수면에 비치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었다. 그리고 암각화의 질박한 형상은 토속적이고 담백한 분위기를 더한다.
이런 분위기에서 소녀와 고래가 서로의 존재를 확인한다. 이 한 쌍은 자연과 인간의 평화로운 공존을 상징한다. 순수하고 천진하게 아름다운 소녀와 바다를 자유로이 누비는 고래가 어떤 이해관계나 의심 없이 만나 교류한다. 머리를 반만 묶어 늘어뜨리고 청록색 로맨틱 튀튀를 입은 소녀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짙은 남색에 흰 무늬가 그려진 민소매 셔츠에 바지를 입은 고래는 무게감이 있으면서도 유연한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이 평화로운 분위기는 바다의 정령을 표현하는 12명의 발레리나 군무로 이어진다. 마찬가지로 청록색이지만 다양한 채도와 색감의 로맨틱 튀튀를 입고 머리에 베일을 매단 무용수들은 부드러운 물결과 포말을 표현하는 듯 번갈아 움직인다. 초연 때에는 다소 아쉬웠다는 평가를 받았던 무용수들의 기량이 이번 무대에서는 무리없는 공연 역량을 보여주어 한층 성장했다고 생각되었다.
여기에 대응되는 캐릭터가 고래잡이 사내들이다. 이 작품에서 자연을 파괴하는 악역으로 설정된 고래잡이 사내들은 어둡고 종종 붉은 조명과 함께 등장하며 힘을 강조하는 동작을 주로 한다. 상체 곳곳에 타투를 한 사내들이 배를 타고 등장하면 긴장감이 고조된다. 이들이 고래를 잡기 위해 대결하는 장면은 격정적으로 펼쳐진다. 바다의 정령들도 이런 폭력에 고통을 받는다. 천장에서 내려온 돛의 장치와 출연자들이 들고 움직이는 나무판이 배를 형상화한다. 그 나무판으로 고래를 내려찍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연출된 후 바다는 붉은색 조명으로 물든다. 비바람이 몰아치는 가운데 돛이 부러지고 배와 사내들이 가라앉는다. 사내들은 파도에 휩쓸려 점차 커튼 뒤로 사라지고, 상처 입은 고래는 더 깊은 바다로 들어간다.
바다의 정령들이 다시 등장해서 고래를 건져 구해낸다. 파도가 잦아들고 어두워진 하늘에는 점차 별빛이 드러난다. 마치 반딧불이 가득한 호수에 온 것 같은 몽환적인 분위기가 연출된다. 상처입은 고래는 홀로 춤을 추며 슬픔을 표현한다. 이은수는 절제된 연기로 고통과 혼란을 표현하였다. 소녀는 고래의 상처에 슬퍼하면 눈물을 흘리며 함께 춤을 춘다. 소녀의 눈물과 헌신으로 고래는 다시 회복하고 평화를 기원하며 춤은 마무리된다.
전체적으로 세련된 무대미술이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무대 전체를 감싸는 영상 연출은 이 작품의 주인공 중 하나라고 할 만했다. 최근 디자인에 힘을 주는 시각적 무용 연출 경향과 일맥상통하는 현상이다. 구구절절한 설명이 없어도 영상 효과로 작품의 분위기를 설정하고 전체적인 스펙터클을 구성하기에 충분했다. 영상이 단순히 무용의 배경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춤을 추는 동반자적 콜라보레이션을 이루었다. 그래서 무용수들도 그 안에서 움직이는 이미지 같은 장면들이 관찰되었다. 일종의 살아있는 물감 같은 느낌도 들었다.
안무는 네오클래식 발레 스타일로 짜여졌는데, 우아하고 부드러운 여성 발레리나의 움직임과 강인한 남성 발레리노의 고전적인 성역할에 기초하였다. 창작발레이지만 고전 발레 테크닉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았으며, 군무와 파드되의 구성도 의외의 혁신성보다는 예상할 수 있는 범위 안의 변화를 포함하였다. 전형적인 발레의 아름다움에 충실한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동작들이 주로 포진되었다. 클래식 발레로 훈련된 무용수들이 비교적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움직임이었고, 난이도가 아주 높은 테크닉이 강조되지는 않았다. 전반적으로 유려하게 흐르는 작품 분위기에 맞춰 동작들도 튀지 않는 스타일로 보여졌다.
작품 자체가 실험적이거나 도전적인 전위성을 목표로 하지 않다 보니 발레 입문자, 특히 지역에서 새롭게 발레 관객으로 유입되는 인구층에서 발레의 매력을 접할 수 있는 작품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이번 공연은 서울의 예술의 전당에서 열렸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거두었는지는 미지수이다. 그보다는 대한민국의 신생 지역 발레단을 알리는 기능이 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발레단은 현재 지나치게 중앙집중화되는 한국 발레계에 귀중한 자산이다. 앞으로 발레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도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이 더 많은 성장과 발전을 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 기반 발레단의 정체성을 위해서 지역의 특성을 내세운 창작 발레를 레퍼토리로 삼는 것은 필요한 전략이다. 또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섭외하여 한 작품 안에 시각, 청각, 운동감각을 융합하고 녹여내는 시도는 훌륭하다. 춤을 잘 모르는 입문자 관객들에게도 매혹적인 스펙터클과 극장 경험을 선사한다.
그러나 아쉬운 점도 몇 가지 관찰된다. 먼저 연출 혹은 대본의 깊이이다. 장영 시인의 시 8편을 표현한 8개의 춤 내용은 시적인 표현이라기보다 자연과의 만남, 악역의 출연, 갈등, 회복으로 이어지는 기승전결 구조의 서사였는데, 상당히 단순하였다. 서사의 복잡함이나 깊이보다는 이미지와 분위기에 집중하는 시적인 작품이라고 할지라도, 인물 설정과 기승전결의 구조에서 매우 전형적인 선택을 하였다. 자연과 교류하고 구원하는 인물은 순결한 소녀, 고래 사냥은 자연 파괴의 악행이라는 설정은 좋게 표현하면 단순하고 직관적이다. 대중친화적인 관람객 장소에서 볼 수 있는 수준의 깊이여서 발레에 입문하는 관객들에게는 편하게 즐기며 관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남녀 무용수들의 구분도 전형적인 성역할 구분에 의존하고 있다. 여성 군무가 바다의 정령인데, 바다는 마냥 부드럽고 우아하지 않음에도 춤은 우아하고 섬세함으로 제한되고 있는 것 같다. 고래잡이 사내들과 고래가 격돌하는 장면에서 바다는 격노하는 비바람과 함께 몰아치는데 바다정령들의 춤은 힘을 보여주기보다는 인간의 폭력 앞에 피해자가 되는 느낌이었다. 안무의 측면에서 동작의 안무는 네오클래식을 표방했다고 보여지지만, 구성의 안무는 기존 클래식 작품들을 연상시키는 장면들을 다수 포함하였다. 거칠고 강인한 바다 선원들의 남성 군무와 쓰러진 남자 주인공을 구원하는 여성 무용수의 설정은 유명한 발레 작품들에서 잘 알려진 장면들이다. 지역의 발레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사료되며 쉬운 내용과 편안하고 우아한 동작들은 무난하게 발레의 아름다움을 전달한다. 다만 보다 진지한 취향의 관객에게는 다소 밋밋하고 진부한 내용일 수 있다. 많은 무게가 영상과 시각적 연출에 실렸고, 그 와중에 춤은 보다 안전한 선택을 하였다. 한 작품에서 모든 것을 다 바랄 수는 없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이 더 많은 레퍼토리를 시도하면 발레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실험적으로 도전하는 작품도 등장하리라고 기대한다.
또 한 가지 이날 공연에서 의아했던 것은 오케스트라의 역할이다. 제공된 전자 프로그램에서는 이 공연이 라이브 연주로 진행된다고 설명했고, 연주자들을 소상히 소개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높을 것으로 짐작하였는데, 공연 시작 시에 지휘자의 인사가 없었고, 오케스트라 박스가 낮게 설정되어 있어서 커튼콜 때도 전혀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라이브 뮤직과 함께 하고 있었는지 의아할 만큼 존재감이 없었다.
그럼에도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의 레퍼토리 공연은 그 자체로 주목할만하다. 아직 부산오페라하우스 건물의 완공과 개관을 기다리고 있는 과정에서 선제적으로 발레단을 출범시키고 지역의 특성을 주제로 삼은 레퍼토리 작품까지 완성시킨 것은 진취적이다. 모든 것이 서울로 집중되는 서울공화국 현상이 발레에서도 다르지 않은데, 더 건강한 발전과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 균형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점에서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의 〈Shining Wave〉는 발레 전공자들과 향유자 양측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창이 된다.
다만 각 시즌을 위해 무용수를 선발하는 시즌제를 채택하고 있다 보니 안정적인 출연진 구성을 위해서는 고민과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발레라는 장르, 특히 고전발레 작품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출연자와 스태프가 필요하며 일회성 공연이 아닌 장기간 그리고 지속적 공연을 전망하고 계획해야 한다. 시즌제가 불가피하다면 발레단의 지향을 어디에 둘 것인지, 이를 통해 다른 발레단들과 어떻게 차별화를 할 것인지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 해당 지역에 맞는 발레 생태계가 무엇일지 연구하는 것도 요구된다. 이러한 고민과 논의가 관객에게 의미있게 다가가는 발레작품 창작 및 제작과 무관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신생의 지역 발레단으로서 부산오페라하우스발레단의 다음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 This critique was written with support from the 2025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s Regional Performance Criticism Support Project.
Focus
Vol. 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Kim Su-in (Dance Theorist)
Photos provided by Busan Opera Ballet
A Fairytale-Like Departure for a Regional Ballet: Busan Opera House Ballet's 〈Shining Wave〉
〈Shining Wave〉, a dreamy, fairytale-like depiction of the sea, premiered in November 2024 as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Busan Opera House Ballet. Kim Joo-won, Artistic Director of the Busan Opera House Ballet, served as the Executive Artistic Director of the 2025 Korea Ballet Festival, where the same work was performed on June 4th at the Towol Theater of the Seoul Arts Center in Seoul. 〈Shining Wave〉, co-choreographed by Busan Metropolitan Dance Company choreographer Lee Jeong-yoon and former ballerina Park So-yeon, is set to music composed and arranged by Son Seong-je, based on eight poems by poet Jeong Yeong.
The first thing that catches the eye is the translucent white fabrics hanging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These fabrics served a variety of purposes: they projected background images, were used for dancers' entrances and exits, and sometimes even delineated the front and back of the stage. Furthermore, they conveyed a sense of vertical depth, reminiscent of a cascading waterfall or a deep-sea dive. The gentle sway of the fabrics also evoked the tranquil ripples of the deep sea. This aesthetic conveys a multi-layered meaning, transcending mere stage design.
As evident here, 〈Shining Wave〉 is a work themed on the sea. As a Busan-based ballet company, this project clearly demonstrates the company's intention to highlight the region's unique characteristics. The poem by poet Jeong Yeong, which served as the motif, is said to express a child's dream and a wish for a peaceful world through a girl, a whale, and the sea. However, the electronic program used in this performance did not provide the original poem,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oem choreographically expressed. Based on this poem, the ballet features two main characters: a whale and a girl, with a corps of sea spirits and whaling crews performing. In this performance, Lee Eun-soo played the whale and Jeong Hye-yoon played the girl.
The recurring image of petroglyphs throughout the piece reminds us that the sea is a part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e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now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depict the depictions of marine animals, including whales, as well as their ecology and hunting methods from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making them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at provides insight into the lives of the Korean Peninsula. 〈Shining Wave〉 utilizes images reminiscent of these petroglyphs to project the performer's shadow onto a video. This image, likely streamed live, reflects the performer's figure upside down, creating the impression that the dancer, moving symmetrically with her shadow,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simple forms of the petroglyphs add to the earthy, simple atmosphere.
In this atmosphere, the girl and the whale confirm each other's existence. This pair symbolizes the peaceful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ity. The pure and innocently beautiful girl and the whale, freely navigating the sea, meet and interact without any conflict or suspicion. The girl, with her hair half-tied and wearing a romantic turquoise tutu, moves delicately and smoothly, while the whale, wearing a sleeveless shirt and pants with a dark blue pattern, moves with a weighty yet supple movement.
This peaceful atmosphere is followed by a corps of twelve ballerinas, representing the spirits of the sea. Likewise, the dancers, dressed in romantic tutus of varying hues and shades of turquoise and veiled on their heads, alternately move as if to express gentle waves and foam. The dancers' skills, which were criticized as somewhat lacking in the premiere, were greatly enhanced in this performance, demonstrating their ability to perform without difficulty.
These characters correspond to the whalers. In this production, the whalers, portrayed as villains destroying nature, appear in dark, often red lighting, and their movements emphasize power. The tension builds when the men, tattooed all over their upper bodies, appear on a boat. The scene where they battle to capture a whale unfolds with ferocity. The spirits of the sea are also tormented by this violence. A sail suspended from the ceiling and a wooden plank carried by the performers symbolize a ship. After a repeated sequence of striking the whale with the plank, the sea is bathed in red light. Amidst the storm, the sail breaks, and the boat and the men sink. The men are swept away by the waves, gradually disappearing behind the curtain, while the wounded whale plunges deeper into the sea.
Sea spirits reappear and rescue the whale. The waves subside, and the darkened sky gradually reveals starlight. A dreamlike atmosphere is created, reminiscent of a lake filled with fireflies. The wounded whale dances alone, expressing its sorrow. Lee Eun-soo's restrained performance conveys the pain and confusion. The girl, grieving the whale's wounds, sheds tears and joins in the dance. Thanks to the girl's tears and devotion, the whale recovers, and the dance concludes with a prayer for peace.
Overall, the sophisticated stage design stands out as the most striking aspect of this piece. The video projection that envelops the entire stage is a key element of the piece, in line with the recent trend of visual dance productions that emphasize design. Even without detailed explanations, the video effects were sufficient to set the mood and create the overall spectacle. The video wasn't simply a backdrop for the dance; it became a collaborative, collaborative dance. Consequently, the dancers themselves appeared as moving images within the piece, almost like living paint.
The choreography was conceived in a neoclassical ballet style, drawing on the graceful, fluid movements of the female ballerina and the powerful, classical gender roles of the male ballerino. While a creative ballet, it didn't deviate significantly from classical ballet technique. The composition of the corps de deux and pas de deux included variations within the expected range rather than unexpected innovations. The movement style was primarily emotional and romantic, remaining true to the classic beauty of ballet. The movements were relatively easy for classically trained dancers to execute, and there was no emphasis on highly challenging techniques. The movements, in keeping with the overall flowing atmosphere of the piece, were presented in a discreet style.
Since the work itself does not aim for experimental or challenging avant-garde performances, it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valuable introduction to the allure of ballet for ballet beginners, especially for new audiences from the region. However, given that this performance took place at the Seoul Arts Center, it is uncertain whether it achieved the same effect. Rather, it likely served as a means of promoting emerging regional ballet companies in Korea. Locally based ballet companies are a valuable asset in the overly centralized Korean ballet scene. We anticipate further growth and development for the Busan Opera House Ballet, further expanding the base of ballet. Furthermore, incorporating original ballets that emphasize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its repertoire is a necessary strategy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se regional ballet companies. Furthermore, the work's successful attempt to integrate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elements by inviting experts from various fields to perform in a single production is admirable. It offers a captivating spectacle and theatrical experience, even for novice audiences unfamiliar with dance.
However, several shortcomings are noted. First, the depth of the direction and script. The eight dances, which express eight poems by poet Jang Young, are not poetic expressions, but rather narratives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 encounter with nature, the appearance of a villain, conflict, and recovery. Although the work focuses on imagery and atmosphere rather than narrative complexity or depth, the characterization and structure are quite typical. The character who interacts with and saves nature is a pure maiden, and the premise that whaling is an evil act that destroys nature is, to put it mildly, simple and intuitive. This depth is suitable for viewing in a public-friendly venue, making it a comfortable experience for audiences new to ballet. Furthermore, the division of male and female dancers relies on stereotypical gender roles. The female corps de corps represents the spirits of the sea, and while the sea is not always gentle and graceful, the dance seems to be limited to elegance and delicacy. In the scene where the whalers clash with the whales, the sea rages with raging winds and rain, and the spirits' dances convey a sense of victimhood before human violence rather than a demonstration of strength. In terms of choreography, the movement choreography appears to be neoclassical, but the compositional choreography incorporates numerous scenes reminiscent of existing classical works. The rough and tough male corps de ballet and the female dancer rescuing the fallen male protagonist are well-known scenes from famous ballets. This choice appears to have been made to expand the local ballet scene. The simple content and relaxed, elegant movements successfully convey the beauty of ballet. However, for more serious audiences, the content may seem somewhat bland and cliche. Much of the weight was placed on the visuals and presentation, while the dance was a safer choice. Since one cannot expect everything from a single work, it is natural to select and focus based on the purpose. As the Busan Opera House Ballet expands its repertoi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duce works that experimentally challenge what ballet can do.
Another questionable aspect of this performance was the role of the orchestra. The provided electronic program described the performance as a live performance and included detailed introductions of the performers, suggesting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However, the conductor's greetings were absent at the start of the performance, and the orchestra box was set low, so he was completely invisible during the curtain call. His presence was so minimal that it was hard to believe he was even present during the live music.
Nevertheless, the Busan Opera House Ballet's repertoire performances are noteworthy in their own right. While the Busan Opera House building is still awaiting completion and opening, the company's proactive launch and completion of a repertoire featuring regionally-focused works are a bold step forward. The "Republic of Seoul," where everything is concentrated in Seoul, is no exception in ballet. For healthier development and growth,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essential. In this regard, the Busan Opera House Ballet's "Shining Wave" offers a window into new possibilities for both ballet professionals and ballet enthusiasts.
However, given the company's seasonal approach, where dancers are selected for each season, careful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are needed to ensure a stable cast. Ballet, especially classical ballet, requires a large cast and staff, and planning for long-term, sustained performances, not one-off performances, is crucial. If a seasonal approach is unavoidable, the company will need to carefully consider its direction and how it can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companies. Research into the appropriate ballet ecosystem for each region is also crucial. I believe these concerns and discussions are not unrelated to the creation and production of ballet works that meaningfully connect with audiences. This is why the Busan Opera House Ballet's next steps as a new regional ballet company are drawing keen attention.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