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Vol.122-1 (2025.10.5.) 발행
글_ 한성주(본지 에디터)
사진제공_ 국립정동극장
국립정동극장에서 9월 한 달간 이어진 협업 공연 〈춤 스케치〉는 부산·목포·익산·울산, 네 개 지역의 시립무용단이 차례로 무대에 올라 자신들의 작품을 선보인 자리였다. 지역의 전통과 역사 그리고 동시대적 문제의식을 담아낸 창작 무용들을 한 무대에서 만난다는 것 자체가 흔치 않은 기회였고 이번 공연이 지닌 가장 큰 의미 역시 여기에 있다. 지역 시립무용단의 공연은 각 도시의 경계 안에서만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번 공연은 지역 무용단의 창작 역량을 수도권의 관객과 직접 연결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은 부산시립무용단의 〈용호상박〉, 목포시립무용단의 〈Again 2025 목포: 우리는 아직 여기에 있다〉, 익산시립무용단의 〈환생(幻生) - SECRET 外傳〉, 울산시립무용단의 〈덧배기 블루스〉까지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뿌리 그리고 각 예술감독의 해석이 결합된 작품들을 차례로 경험할 수 있었다.
부산은 판소리 〈적벽가〉를 바탕으로 전쟁과 대립의 허무함을 춤으로 풀어내며 공존과 화합의 메시지를 전했고 목포는 근현대사의 상흔과 침묵 당한 목소리를 무용으로 불러내며 기억의 무게를 무대 위에 올렸다. 익산은 백제 사택왕후라는 역사적 인물을 모티프로 하여 환생과 사후 세계를 상상하는 독특한 서사를 펼쳤고 울산은 지역 고유의 덧배기를 현대적 감각과 블루스와의 결합으로 풀어내며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무대를 선보였다.
특정 지역에서만 살아 움직이는 춤의 어법과 몸짓이 서울이라는 무대에 옮겨졌을 때 그것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선 교류와 확산의 의미를 지닌다. 이번 공연은 춤을 통해 현재성을 담은 살아 있는 예술 언어로 재확인하는 과정이었다. 각 무용단은 전통의 토대 위에서 자신들의 감각을 담아내려 했고 관객은 그 다양한 시도를 한자리에서 목격할 수 있었다. 바로 이 지점에서 국립정동극장 협업 공연 〈춤 스케치〉는 단순한 협업을 넘어 한국무용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조망하는 장이 될 수 있었다. 국립정동극장이 지역 시립무용단과 공동 주최한 이번 무대는 공적 기관이 지역 예술을 어떻게 지원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도 의미가 깊다. 수도권 관객에게 공연과 예술단체를 소개하는 동시에 지역과 서울 간의 예술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관객층 확장에도 기여하는 구조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예술은 언제나 특정 지역의 울타리에 머무를 때보다 공유될 때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지역에서 싹튼 무용의 언어들이 서울의 무대에 오르는 순간 그것은 단순히 공연 일정의 나열이 아니라 한국무용의 스펙트럼을 확장하는 사건이 된다. 그렇기에 〈춤 스케치〉는 그러한 과정을 가능케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물론 작품 하나하나가 지닌 완성도에 대한 논의는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번 기획이 보여준 방향성과 의미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시도가 단발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제도적으로 뿌리내린다면 한국 무용의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은 더욱 풍부하게 확장될 것이다. 무용은 지역을 넘어, 무대를 넘어, 관객의 삶 속으로 스며드는 예술이라는 것. 이번 〈춤 스케치〉가 던진 메시지는 바로 그 점에서 오래도록 기억될 가치가 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ocus
Vol. 122-1 (2025.10.5.) Issue
Written by Han Sungjoo (Editor of Dance Post. Korea)
Photo provided by National Jeongdong Theater
Regional Dance in Seoul: National Jeongdong Theater Collaborative Performance 〈Dance Sketch〉
The collaborative performance 〈Dance Sketch〉 held at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throughout September, featured four regional dance companies from Busan, Mokpo, Iksan, and Ulsan performing their works. The mere presence of creative dances embodying regional traditions, history, and contemporary concerns on a single stage was a rare opportunity, and this is precisely the significance of this performance. Performances by regional dance companies are often limited to the boundaries of their respective cities. Therefore, this performance is noteworthy for directly connecting the creative capabilities of regional dance companies with audien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udiences attending the performances experienced a series of works that combined regional history and cultural roots with the interpretations of their respective artistic directors, including the Busan Metropolitan Dance Company's 〈Yongho Sangbak〉, the Mokpo Metropolitan Dance Company's 〈Again 2025 Mokpo: We Are Still Here〉, the Iksan Metropolitan Dance Company's 〈Hwansaeng (幻生) - SECRET 外傳〉 and the Ulsan Metropolitan Dance Company's 〈Deotbaegi Blues〉.
Busan, drawing on the pansori "Jeokbyeokga," danced the futility of war and conflict, conveying a message of coexistence and harmony. Mokpo, through dance, brought the weight of memory to the stage, summoning the scar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silenced voices. Iksan, inspired by the historical figure of Queen Sataek of Baekje, unfolded a unique narrative imagining reincarnation and the afterlife. Ulsan, incorporating the region's unique "Deotbaegi" with a contemporary sensibility and blues, presented a stage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ed.
When the idioms and gestures of dance, unique to a specific region, are brought to the stage of Seoul, they transcend mere representation and signify exchange and expansion. This performance was a process of reaffirming dance as a living artistic language, embodying contemporary expression. Each dance company sought to express its own sensibilities within the foundation of tradition, and the audience was able to witness these diverse endeavors in one place. It is precisely at this point that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collaborative performance, 〈Dance Sketch〉 transcended mere collaboration and became a forum for explor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dance. This performance, co-hosted by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and local municipal dance companies, is also a significant example of how public institutions can support and expand local arts. I believe that by introducing performances and arts organizations to audien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 have established a structure that strengthens the arts network between the region and Seoul and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audience base.
Art is always more powerful when shared than when confined to a specific region. When the dance languages that sprouted from local communities ascend to the Seoul stage, it becomes more than just a performance schedule; it becomes an event that expands the spectrum of Korean dance. Therefore, 〈Dance Sketch〉 deserves praise for facilitating this process. While the individual works' individual quality can certainly be debated separately, what I want to emphasize is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this project demonstrates. If such efforts continue to take root institutionally, rather than being one-off events, the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Korean dance will be further enriched. Dance is an art that transcends the region and the stage, permeating the lives of its audiences. For this very reason, the message conveyed by "Dance Sketch" deserves to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