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Vol.122-2 (2025.10.20.)발행
글_ 김수인(무용이론가)
사진_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제공
실천 속에서 리서치를 찾아가는 연출가 김재리와의 인터뷰
“신발과 짐은 입구에 비치된 바구니에 놓고 입장해 주세요.” 들어가는 순간부터 낯선 안내 사항이 주어진다. 내게 익숙했던 무언가를 내려놓고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일은 약간의 불안감을 동반한다. 이곳에서 맞닥뜨릴 일은 바깥 사회의 규칙과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도 품게 된다. 9월 21일 모두예술극장에서 발표된 〈야호 야호 Echoing Dance〉는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주관하고 2025 모두예술극장이 기획한 프로젝트의 공연이다. 드라마투르그 김재리를 연출로 영입하여 1년간 리서치, 워크숍, 세미나, 오픈 클래스, 무용-놀이 수업, 원데이클래스, 쇼케이스, 공연에 이르는 프로세스를 거쳤고 이제 10회의 무용-놀이 수업 투어를 앞두고 있다. 8-10세의 신경다양성(neurodiversity) 어린이를 중심으로 하는데, 신경다양성이란 발달장애, 자폐 스펙트럼, 지적장애, ADHD 등을 장애의 유형이 아닌 다양한 행동 양식으로 이해하는 개념이자 운동이다. 내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이 어린이들의 특성을 일반 사회에서 비규범적이라고 규정하는 틀에 따르지 않고 다양성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가 우리 존재를 이해하는 방식에 새로운 관점을 더 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번 공연은 일반 관객에게 공개되는 것이 아니었다. 나의 관람도 ‘모니터링’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그리고 공연장 안에서 만나게 되는 것들도 이전과는 달랐다.
하고 싶은 대로 해도 야단맞지 않는 시간
들어가니 천장이 높아 확 트인 느낌을 주는 널찍한 공간에 중앙의 무대 공간을 두고 3면에 방석이 비치되어 있다. 나는 그중 벽에 등을 기댈 수 있는 곳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무대 중앙 뒤편에는 사운드 담당자의 공간이 있었고, 그 양옆으로 하늘색 블록들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이어져 있었다. 미끄럼방지 양말을 신은 예닐곱 명의 아이들이 주위를 자유롭게 돌아다닌다. 어린이들 외에 몇 명의 어른들도 움직이고 있다. 전체적인 인상은 키즈카페, 그러나 놀이기구를 타는 게 목적이 아닌 그저 공간 속에서 시간을 즐기는 실내놀이터 같았다.
나는 이 공연이 신경다양성 어린이를 위한 이벤트라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이는 움직임에 흥미를 가지고 지켜보았다. 너무나 많은 일이 한꺼번에 벌어지고 있다. 블록 위에서 달리다가 넘어지는 아이, 원을 그리며 달리다가 웃는 아이, 드러누워 천장을 보고 있는 아이, 손가락을 하나씩 세어보는 아이, 모자를 이로 물고 있는 아이, 방석을 꾹꾹 눌러보는 아이, 보호자인 것으로 보이는 어른에게 뛰어가 안기는 아이, 쪼그려 앉아 다른 사람들을 바라보는 아이, 빙빙 회전하는 아이, 다양한 소리를 외치는 아이. 어른 공연자들은 누워있는 아이 옆에 함께 눕기도 하고, 아이들과 상관없이 동작을 하기도 하고, 옆 사람과 대화도 하는 등 편안한 분위기에서 움직이고 있다.
점차 조명이 변화하고 박동하는 리듬의 사운드가 들리면서 본격적인 공연이 시작된다. 그러나 편안한 분위기는 지속된다. 어른 공연자들의 춤 움직임도 아이들의 놀이적 움직임과 닮아있다. 어떤 아이는 춤을 추는 공연자 옆에 스스럼없이 와서 손을 잡고 같이 움직임을 따라한다. 공연자들은 아이들에게 반응하고, 아이들이 안전하게 움직이도록 환경을 정돈한다. 공연자들은 일종의 오브제나 움직이는 놀이기구 같기도 하다. 아이가 등에 업히자 업고 이동해 본다. 아이가 ‘아니야, 아니야’라고 하니까 다시 내려놓는다. 멈추니까 아이는 다시 등에 업힌다. 그 어느 것에도 상관없이 여전히 주위를 원을 그리며 뛰고 돌아다니는 아이도 있다.
리듬이 좀더 빠르게 변화하고, “땡” “야호” 등 청각적 자극이 주어진다. 서로의 몸을 통과하면서 좀 더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아이들도, 지켜보는 보호자들도 표정이 밝다. 이때까지 가만히 쪼그려 앉아있던 아이가 하늘색 블록 쪽으로 다가가 만지고 블록의 위치를 바꾼다.
어느 순간 빨간색 털실 뭉치가 나타난다. 던지고 노는 사이에 실이 풀려 무대 위를 가로지르며 이리저리 놓인다. 모자를 이로 물고 다른 사람들을 바라보던 아이가 일어나 실을 가지고 움직인다. 실 사이를 통과하고, 뛰어넘고, 끌고 간다. 다른 아이는 한쪽 손을 얼굴에 대고 실을 몸에 감아본다. 그냥 잡고 서 있거나, 밟고 있는 아이도 있다. 실이 물결치기 시작하자 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이리저리 얽힌 그물 같은 실에 잡혀 오는 물고기가 된 것 같은 아이도 있다.
초록색 조명에 찌르륵거리는 사운드가 들린다. 공연자들은 일렬로 누워 꿈틀꿈틀 애벌레처럼 움직이기도 하고 뒹굴기도 한다. 아이들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자유롭게 끼어드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무대 밖으로 나가 물을 먹기도 한다. 계속 소리지르는 아이도 있다. 하지만 아무도 조용히 하라고 말하지 않는다.
주위가 더 어두워지고 위에서 조명이 작은 원의 모양들로 떨어진다. 새롭게 나타난 빛기둥에 아이들은 처음엔 잘 반응하지 않는다. 한 번 정도 빛 동그라미를 밟아본다. 이런 반응은 안무 의도와 맞지 않는 게 아닐까? 소리를 내던 아이가 빛에 자기 손바닥을 비춰본다. 다른 원에 가서 선다. 흩어졌던 빛들이 하나로 모이지 아이들이 신기한지 접근해 본다. 그러다가도 곧 다른 데로 이동해서 자신의 놀이로 돌아간다. 빛 나는 작은 공들이 던져진다. 뒤에서 서서 신경 쓰지 않는 아이에게도 공을 던져서 주의를 끌어본다. 공은 관객과 무대를 넘나들며 함께 놀이하는 도구가 된다. 밖에 구경꾼으로 앉아있던 아이도 공을 따라 함께 참여한다. 그 와중에 바닥에 앉아 공을 감싼 비닐을 하나하나 까보는 아이도 있다. 그래도 오브제를 망친다고 야단맞지 않는다.
위에서 구름 같은 종이 더미가 내려온다. 바람 소리와 함께 독수리 형상의 영상 이미지가 무대를 가로지른다. 종이 더미가 앞뒤로, 좌우로, 위아래로 움직인다. 구름 속을 거닐 듯, 종이에 파묻혀 걸어본다. 누군가 붙잡았는지 종이가 북 찢어진다. 저래도 괜찮은지 걱정이 될 때, 공연자들이 적극적으로 종이를 찢어 바닥에 흩뿌린다. 바닥에 공과 종이가 가득하다. 블록을 밀어 움직여 공과 종이를 밀어낸다. 그 위에 드러눕는 아이도 있다. 맘껏 어지럽히고 가만히 서서 종이랑 공을 조물조물거리기도 한다. 공연자들이 관객의 손을 잡고 무대로 초대한다. 함께 한바탕 뛰고 논다. 뭘 해야 하는 게 정해진 게 아니니까, 난 뛰고 춤추는 사람들의 손을 놓고 혼자 블록 위에 드러누워 천장을 본다. 아까 누워있던 아이를 보고 그건 어떤 느낌일지 궁금했었다. 내 위로 종이를 뿌리는 사람들이 있다. 이게 끝인가 싶게 시간이 마무리된다. 인사를 한다. 여전히 아이들은 공간을 돌아다니며 논다. 보호자들은 아이와 함께 사진을 찍는다.
개인의 자유로움이 유기적인 미학으로
어떻게 이렇게까지 아무렇지 않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까? 많은 숫자는 아니지만 지켜보는 낯선 사람들이 있고 공연의 형식을 하고 있는데 말이다. 일반 아이들이었어도 공연 상황을 의식하지 않고 이렇게 마음껏 움직였을지 궁금하다. 프로그램 북에 제공된 연출가와 미학자 양효실과의 대화에는 아이가 여기는 자신을 포용하는 곳이라는 걸 직관적으로 아는 것 같다고 한 참여 어린이 보호자의 말이 있었다. 뒤집어 생각해 보면 세상의 다른 곳들은 그렇지 않다는 말이다. 자신만의 에너지와 방식대로 움직이는 아이들을 포용하는 공간에서 춤은 그저 자신의 모습이 된다.
흥미로운 것은 각자의 방식대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아이들의 모습이 무질서한 것이 아니라 미학적으로 보였다는 것이다. 일반 컨템포러리 댄스 공연으로 보아도 심미적으로 감상할 수 있을 만큼 세련된 장면들이 펼쳐졌다. 안무가의 호명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아이들과 어떻게 이런 장면을 연출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안무를 통해 함께하기'에 골몰해 온 연출가 김재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천에서 리서치를 발견하기
김수인: 안녕하세요. 선생님은 이번 작업에서 신경다양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하셨나요?
김재리: 신경다양성은 의학적으로 장애를 유형화해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성을 인정하고 개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획단계에서부터 리서치와 공연의 전 과정에 어드바이저로 참여한 에린 매닝(Erin manning)은 신경다양성을 춤과 세상에 대해 비평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여지를 주었습니다. 저는 아이들과 만나면서 신경다양성이라는 개념도 ‘뇌’의 다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했어요. 몸이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과 만나면서 발생하는 리듬이나 감각의 차이, 서로 이질적인 것들이 연결되었을 때 발생하는 아름다운 풍경 같은 것을 생각했습니다. 이것은 제가 춤에서 발견하고 싶어 했던 그런 것이었습니다.
김수인: 오랜 기간 리서치, 워크샵, 쇼케이스를 거쳐서 작업하셨는데, 단계마다 새롭게 수정되는 점은 무엇이었을까요?
김재리: 매 단계마다 내가 얼마나 신경전형적인 인간인가에 대한 깨달음이 있었어요. 우리 팀은 무용-놀이 수업에 참여하는 어린이들을 선생님이라고 불렀는데요, 그들로부터 배우는 것이 많았기 때문이에요. 아이들이 제안하는 몸짓들이나 관심을 기울이는 사물들, 사물과의 관계 맺는 방식으로부터 이 작품의 거의 모든 소스들을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 아이들에게 자주 보이는 상동행동이나 반향어들은 의학적으로는 치료의 대상이지만, 저희는 그것을 감각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움직임의 한 종류로 인식했습니다. 장애의 진단적인 범주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무용의 범주는 그것을 개인의 고유한 리듬이자, 움직임이 됩니다.
김수인: 본인의 예술적 방법론에 대해 새롭게 깨우친 점이 있다면?
김재리: 저는 안무를 예술에서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미학보다는 공적인 행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연은 결국에는 공공의 공간에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아이디어나 개념을 어떻게 전달하고 형식으로 만드느냐는 안무의 방법론을 개발하고 객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법론 없이 안무를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것이 없어도 춤을 만들 수는 있지만, 작품의 안무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어요. 그리고 이 작품의 특성상 창작의 단계에서부터 관객을 개입시켜야 했습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대상과 함께하기 위한 방법론을 구축해야 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하는 무용-놀이 수업에서 우리는 방법론적인 실험과 더불어 안무의 조건들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삼았으며 이것은 우리 작품에서 관객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포착하고 컴포지션으로 발전시키는 real time composition이나 무용수와 아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신체적, 사물적인 접촉의 방법론 등으로 구체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무용수들과 대화하는 과정도 작업의 주요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우리는 공연이나 춤의 관습적인 용어를 피하고, 신경다양성의 관점에서 말하기와 같은 연습을 했습니다.
김수인: 일반에게 공개되는 작품이 아닌데, 미학적인 것과 치료적인 것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셨을까요?
김재리: 저희는 치료사도 아니고, 치료의 전문적인 툴이나 방법론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아이들과 만나기 전에 무용치료나 연극치료에서 사용하는 방법론을 워크숍을 통해 배우기는 했지만, 그 역시 치료적인 접근을 위해서라기보다는 신경다양성 어린이들과의 만남에서 발생하는 많은 경험을 공유받고, 아이들과 ‘함께 있기’를 연습하기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보호자들이 가끔, 우리가 제공하는 수업을 하고 나서 아이들이 변화된 모습들에 대해서 공유해 주시는데요, 저희도 어떻게 아이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가갔는지 전혀 몰라요. 치료보다는 춤이 만들어 내는 사건 같다고 생각합니다.
김수인: 현실적인 어려움은 어떤 것이 있었으며,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김재리: 처음에 무용-놀이 수업을 했을 때가 기억나요. 너무 걱정이 많았습니다. 혹시 아이들이 다치지는 않을까, 친구들끼리 싸우지는 않을까, 우리가 준비한 수업에 참여하기 싫어하면 어떡하지… 등등. 지금은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요. 아이들은 스스로 돌보는 방법을 알고 있고, 오히려 저희에게 위로를 해주는 경우도 있어요. 그리고 놀이를 하다가 다치기도 하지만, 큰 문제가 아니라면 그런 점도 학습이 될 거라고 생각하죠. 나의 의도를 버리면 되는 것 같아요. 에린매닝이 movement moving이라는 개념을 저희에게 소개해 주면서 나의 의도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먼저 움직이고 있는 것들이, 그리고 나를 부르는 것들에 반응하는 것이 춤이라고 했습니다. 저는 이 말이 이 작품에서도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고 생각하고요, 세상에 있는 존재들과 공존하기 위한 태도라고도 생각합니다.
김수인: 앞으로의 계획은 어떻게 되시나요?
김재리: 11월부터 무용-놀이 수업을 학교에서 진행하는 투어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워크북과 아카이브 출판을 계획하고 있고요, 모두예술극장에서도 이 공연을 레퍼토리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아이들을 만나고 저에게 보이지 않는 세상을 더 많이 보여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자아중심적 근대적 주체를 내려놓기
이 공연의 미학적 유기성은 자아와 타자 사이를 구분 짓는 경계에 대한 믿음을 잠시 내려놓는 것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동시대예술을 포스트-개념예술로 주장한 피터 오스본(Peter Osborne)은 픽션적, 순간적, 해체적 작가성을 이야기한다. 이와 유사하게 〈야호 야호 Echoing Dance〉의 창작자는 단일하고 고정된 주체가 아니라 함께하는 시공간에서 흐르는 존재이다. 연출가도 전문 무용수도 규범적 안무를 의도하고 생산하지 않는다. 오히려 기다리고 반응하는 것으로 춤 속에 스며든다. 아이들이 자기만의 방식으로 움직이고 멈출 때도 무질서하게 보이지 않은 것은 이러한 틈새에 스며듦이 있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런 순간에 벽에 등을 기대고 앉은 나의 위치도 점차 감정이입이 된 참여자로 바뀌었다. 야단맞지 않아도 되는 경험을 한다는 것은 굳이 자폐 스펙트럼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어린 아동을 동반하는 현장에서 매우 귀한 시간이다. 나의 아이들이 어렸을 때, 대중적인 패스트푸드 식당에 갈 때조차 ‘민폐’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긴장되고 스트레스를 받은 나머지 결국 가지 않았던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하물며 온갖 관람매너가 요구되는 극장에 가는 것은 훨씬 더 힘든 일이다. 자기 계발과 자기관리가 ‘선’으로 읽히는 오늘날 사회는 주체의 경계를 내려놓고 스며드는 시간을 기다려 줄 여유가 없다. 각자 자유로우면서도 유기적으로 함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돌아가는 길이 만족스러우면서도 울적했던 이유이다.
Focus
Vol. 122-2 (2025.10.20.) Issue
Written by Kim Sue In (Dance Researcher)
Photos provided by Korea Disabled Arts and Culture Center
A Theater Experience Without Being Scolded: An Interview with Director Kim Jaelee, Who Finds Research Through Practice
〈Yaho Yaho, Echoing Dance〉: A Participatory Dance Performance for Neurodiverse Children
“Please place your shoes and luggage in the basket provided at the entrance.” From the moment you enter, I was greeted with unfamiliar instructions. Leaving behind something familiar and entering a new world brought a sense of unease. It also fostered the anticipation that what I would encounter there would differ from the rules of society outside. 〈Yaho Yaho, Echoing Dance〉, presented at the Modu Arts Theater on September 21st, was a project performance hosted by the Korea Disabled Artists' Foundation and planned by the 2025 Modu Arts Theater. With dramaturg Kim Jaelee as director, the project underwent a year-long process of research, workshops, seminars, open classes, dance-play classes, showcases, and performances. The performance involved children aged 8-10 with neurodiversity. Neurodiversity is a concept and movement that understan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DHD as diverse behavioral patterns rather than specific types of disabilities. Therefore, this performance was not open to the general public. My viewing was also called "monitoring." And what I encountered inside the performance hall was different from before.
A space where you can be free without being scolded
Entering, the high ceiling gave the space an open feel. There were cushions on three sides. I sat down against the wall. Behind the center of the stage was the sound engineer's area, flanked by gently sloping sky-blue blocks. Six or seven children wearing non-slip socks wandered freely around the area. A few adults were also moving about. It felt more like an indoor playground, where the goal was simply to enjoy the space.
I watched with fascination at the children's movements. So much was happening at once: a child running on blocks and falling, a child running in circles and laughing, a child lying down and looking at the ceiling, a child counting on his fingers, a child biting a hat, a child squeezing a cushion, a child running to an adult who seemed to be their guardian and hugging them, a child crouching and looking at others, a child spinning around, a child shouting various sounds. The adult performers moved in a relaxed manner, sometimes lying down next to the children, sometimes moving independently of the children, and sometimes even talking to each other.
The lights gradually changed, and the pulsating rhythmic sounds began. However, the relaxed atmosphere persists. The adult performers' dance movements mirror the children's playful movements. Some children even approach the performers without hesitation, holding hands and mimicking their movements. The performers respond to the children and organize the environment to ensure their safety. The performers themselves resemble objects or moving play equipment.
At one point, a ball of red yarn appeared. As they tossed and played, the yarn unraveled and flew across the stage, scattering here and there. A child, who had been holding his hat between his teeth and watching the others, stood up and moved with the yarn. He passed through it, jumped over it, and draged it along. Another child put one hand to his face and wraped the yarn around his body. Some simply held it and stoond, others stepped on it. As the yarn began to ripple, the interaction became more active. One child seemed to be a fish being caught in a tangled net of yarn.
A squeaking sound was heard under the green lights. The performers lied in a row, wriggling and rolling like caterpillars. The children payed little attention to them. Some joined in freely, while others ventured offstage to drink water. Some continued to scream, but no one told them to be quiet.
The surroundings grew darker, and the lights from above fell in small circles. The children initially reacted poorly to the newly appearing columns of light. They stepped on the circles once. Perhaps this reaction doesn't align with the choreographic intention? The child who had been making noise held his palm in the light. He moved to another circle. The scattered lights converged, and the children approached, fascinated. But soon they moved away and returned to their own play. Small glowing balls were thrown. They tossed them to the unsuspecting child standing behind, drawing his attention. The balls became a plaything, moving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performers. Even the children sitting outside as onlookers followed the balls and joined in. Meanwhile, there was a child sitting on the floor, peeling back the plastic wrap around the ball one by one. Still, he was not scolded for ruining the object.
A cloud of paper descended from above. Accompanied by the sound of the wind, a video image of an eagle swept across the stage. The paper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up and down. The performers actively tore up the paper and scattered it across the floor. The floor was littered with balls and paper. People pushed blocks to push the balls and paper away. Some children lied down on them. Some made a mess of things, while others stood still, fiddling with the paper and balls. The performers took audience members' hands and invited them onto the stage. We jumped and played together. Since there was no set plan, I let go of the hands of the people and lied down on the blocks, staring at the ceiling. I'd seen a child lying down earlier, wondering what that would feel like. People were throwing paper over me. Time drews to a close, as if it was the end. The children continued to roam the space, playing. Parents took pictures with their children.
Individual freedom becomes organic aesthetics
How could they move so freely and without any sense of inadequacy? Even though it was not a large number, there were strangers watching, and it was a performance format. I wondered if even neurotypical children would have moved so freely, oblivious to the performance situation. In the program booklet, a parent of a participating child remarked that the child seemed to intuitively know that this was a place that embraced them. In a space that embraces children, allowing them to move with their own energy and style, dance becomes a way for them to simply exist as they are.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children's free movement, each in their own way, was not chaotic but aesthetically pleasing. Even when viewed as a typical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 the scenes presented were sophisticated enough to be appreciated aesthetically. To explore how this scene was created with children who did not follow the choreographer's instructions, I interviewed director Kim Jaelee.
Discovering Research in Practice
Kim Sue In: How did you understand and approach neurodiversity in this work?
Kim Jaelee: Neurodiversity isn't about medically categorizing disabilities. It's about recognizing individuality and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in diverse ways. Erin Manning, who served as an advisor from the planning stage through the entire research and performance process, provided the space for a critical approach to neurodiversity in relation to dance and the world. While meeting with the children, I questioned whether the concept of neurodiversity isn't limited to differences in the "brain." I thought about the rhythmic and sensory differences that arise when the body encounters various substances in the world, and the beautiful landscapes that emerge when disparate elements connect. This is what I hoped to discover in dance.
Kim Sue In: You worked on this piece through extensive research, workshops, and showcases. What were the key elements of each stage of development?
Kim Jaelee: At each stage, I realized just how neurotypical I am. Our team called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dance-play classes our "teachers," because we learned so much from them. We were able to gather nearly all the sources for this work from the gestures they suggested, the objects they focused on, and the ways they engaged with them. Furthermore, while stereotyped behaviors and echolalia, often seen in children on the autism spectrum, are medically treatable, we recognized them as a key movement pattern that contributes to sensory differences. Rather than operating within the diagnostic categories of disability, the dance context allows for these movements to become a unique rhythm and movement for each individual.
Kim Sue In: What new insights have you gained about your artistic methodology?
Kim Jaelee: I view choreography as a public act, rather than a matter of personal taste or aesthetics. Ultimately, a performance is about meeting people in a public space. It's crucial to develop a choreographic methodology that allows you to communicate your personal ideas and concepts. Choreography without a methodology is nearly impossible. While dance can be created without a methodology, it's impossible to say a piece has a choreographic quality. Furthermore, due to the nature of this piece, we had to involve the audience from the very beginning. We had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engaging with something we were unfamiliar with. In our dance-play classes with children, we explored the conditions of choreography alongside methodological experimentation. This was concretized in our work through real-time composition, which captures audience movements in real time and develops them into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hysical and object-based contact to connect dancers and children. And I think talking to the dancers is also a key part of the work. We practiced avoiding the conventional terminology of performance or dance, and speaking from a neurodiversity perspective.
Kim Sue In: Since this isn't a work open to the public, how did you manage to balance aesthetic and therapeutic elements?
Kim Jaelee: We're not therapists, nor do we possess specialized therapeutic tools or methodologies. While we did learn dance and drama therapy methods through workshops before meeting with the children, these were more about sharing experiences with neurodiverse children and practicing "being together" with them than providing a therapeutic approach. Parents sometimes share stories of changes in their children after attending our classes, but we have no idea how we effectively reached them. I think it's more about the dance itself than the therapy itself.
Kim Sue In: What practical challenges did you face, and how did you overcome them?
Kim Jaelee: I remember when I first taught dance and play classes. I was so worried. What if the children got hurt? What if they fought with each other? What if they didn't want to participate in the lessons we had prepared? Now, I don't worry about that. The children know how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sometimes they even comfort us. And while they do get hurt while playing, if it's not a major problem, I believe that's a learning experience. I think it's about letting go of my own intentions. Erin Manning introduced us to the concept of "movement moving," saying that dance isn't about moving with my own intentions, but about responding to things already moving in the world and calling out to me. I believe this is an important keyword in this work, and I also think of it as an attitude toward coexistence with all beings in the world.
Kim Sue In: What are your plans for the future?
Kim Jaelee: We're planning a tour to present dance and play classes at schools starting in November. We're also planning to publish a workbook and archive, and we're exploring ways to incorporate this performance into our repertoire at the Modu Arts Theater. I hope to meet more children and show them more of a world they haven't seen before.
Letting go of the egocentric modern subject
Perhaps the aesthetic nature of this performance arises from a temporary relinquishment of belief in the boundaries that divide the self and the other. Peter Osborne, who argued for contemporary art as post-conceptual, speaks of fictional, fleeting, and deconstructive authorship. Similarly, the creator of
In those moments, my position, leaning against the wall, gradually shifted to that of an empathetic participant. Even if you're not with a neurodiverse child, experiencing the freedom from scolding is a precious moment in a setting where you are with young children. When my children were young, I overwhelmed by the tension and stress of even going to a popular fast-food restaurant, lest I be called a nuisance. Sometimes I even gave up going out altogether. Going to a theater, where all manner of audience etiquette is demanded, is even more daunting. In today's society, where self-improvement and self-management are often considered "good," we don't have the luxury of letting go of our individual boundaries and waiting for time to permeate. This performance was a privileged moment, granted us a brief moment. So, as I left the venue, I felt a mixture of satisfaction and bitterness. I wonder if the possibility of each person being free and yet being able to work together organically can continue in society.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